• 제목/요약/키워드: Han river watershed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5초

Derivation of Design Flood Using Multisite Rainfall Simulation Technique and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 Kwon, Hyun-H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540-544
    • /
    • 2009
  • Hydrologic pattern under climate change has been paid attention to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hydrologic science group. Rainfall and runoff is a key element in the Earth's hydrological cycle, and associated with many different aspects such as water supply, flood prevention and river restoration. In this regard, a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esign flood using simulation techniques which can consider a full spectrum of uncertainty. Here we utilize a weather state based stochastic multivariate model as conditional probability model for simulating the rainfall field. A major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large scale climatic patterns are a major driver of such persistent year to year changes in rainfall probabilities. Uncertainty analysis in estimating design flood is inevitably needed to examine reliability for the estimated results. With regard to this point, this study applies a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scheme to the NWS-PC rainfall-runoff model that has been widely used, and a case study is performed in Soyang Dam watershed in Korea.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design flood under climate change is provided.

  • PDF

Pollutant Flux Releases During Summer Monsoon Period based on Hydrological Modeling in Two Forested Watersheds, Soyang Lake

  • Kang, S.H.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13-18
    • /
    • 2009
  • In this study, specific pollutant releases during the Asian monsoon season were estimated and the information was applied to the non-point pollutant sources management from two forested watersheds of the Soyang Lake. The two watersheds are part of the 2,703 km2 Soyang Lake watershed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Han River. The outlets of the two watersheds were respectively analyzed for continuous water quality concentration and for discharge during various single rainfall events. Statistical power function methods are utilized to compare stream discharge and pollutant flux release during the study period.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pecific load flux method using simulated discharge was conducted and validated in the two watersheds. The model predictions corresponded well with the measured and calculated pollutant releases. The modeling approach taken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pplicable for the two forested watersheds.

충주호의 환경특성에 관한연구 (The Study on Envionmental Characteristics of Chungju Reservoir)

  • 사성오;정영도;김학성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3호
    • /
    • pp.1-8
    • /
    • 1998
  • Chungju reservoir is a multipurpose dam lake located at the upstream of Nm Han river and known as having the biggest watershed and the second water volume in korea. Conclusions are made as follows. 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appear to be as follows. Chungju reservoir has long hydaulic retention time, 60-160 days. Water column has oxygen depletion zone in hypolimnion. Chungju reservoir is found to be in the midst of eutrophication. Chlorophyll-a and other physical parameters a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pendent. 2. Nitrogen to phosphorus ratio was 50-350 for the water samples taken from the reservoir in 1996. It is very important clue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relation to phytoplankton growing kinetics. Variations in chlorophyll-a contents appear to be related closely to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 PDF

안양시 관내하천 수질모형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al Model for Water Quality Forecasting at Anyang Stream)

  • 김갑진;이양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2-123
    • /
    • 1997
  • The Anyang stream is one of the Han riv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35.1km long, has a basin area of $282.26km^2$ and touches seven cities of Kyounggido and some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ituations of Anyang stream have resulted in severe stream water pollution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to make the countermeasures to achieve the stream water quality, to suggest the future conditions to improve water quality trough the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al(WASP4). As the result of Anyang stream water quality forecsat, they are follows. Sewerage systems in the watershed of the Anyang stream have to be amended for wrong systemn and constructed in the upstream area of Anyang. The discharge of industrial wastewater has to be throughly controlled from the upstream area of the Anyang stream.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WASP4) for this study revealed the future water quality of the Anyang stream by computer simulation.

  • PDF

팔당호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Lake Paldang)

  • 심연보;정현기;임종권;윤석제;변명섭;유순주
    • 생태와환경
    • /
    • 제51권4호
    • /
    • pp.287-298
    • /
    • 2018
  • 강우부족현상이 지속되었던 2015년 팔당호에서의 이화학적 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특성은 선행연구에서의 몬순기후에 의한 강우와 수리 수문학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던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조사기간 동안 팔당호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2014년부터 지속된 강우부족현상에 영향을 받아 2013년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유입 방류량이 감소하여 팔당댐앞(St.1)의 이화학적 수질은 호소형 특성의 남한강수역(St.2) 수질보다 하천형 특성의 북한강수역(St.3) 수질과 비슷한 특성이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군집변화는 봄(3~5월)에는 주로 소형 윤충류(Syncheata, Keratella)가 우점하였으며, 여름(7~9월)에는 집중호우가 적어 연중 가장 높은 현존량을 기록했으며 우점종은 윤충류인 Keratella cochlearis와 원생동물인 Difflugia corona로 나타났다. 가을(9~11월)에는 수온이 감소함에 따라 윤충류와 원생동물의 현존량이 감소하고 요각류 유생(Nauplius)이 우점하는 천이를 보였다. 통계분석결과 복합적 수계의 특성을 보여주는 팔당호에서 북한강수역은 하천형, 남한강수역과 경안천수역은 호소형 특성으로 지점별 상이하게 구분되며, 이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군집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냈다.

다변량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전국 표준유역 대상 수문학적 군집화 연구 (A Study on Hydrologic Clustering for Standard Watersheds of Korea Water Resources Unit Map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 안소라;김상호;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106
    • /
    • 2014
  • 본 연구는 다변량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한국 수자원단위지도의 전국 795개 표준유역에 대하여 수문학적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국내 유역의 종합적인 특성인자 산정을 위해 지형, 하천, 기상, 토양, 토지이용 및 수문학 관련 유역특성인자 30개를 선정하였다. 다변량 통계기법인 요인분석을 통해 유역특성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16개의 대표 유역특성인자들을 추출하였으며, 유역의 특징을 결정짓는 인자는 토양특성, 유역위치, 유역크기, 기상 및 수문특성에 관련된 인자들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을 위해 전국의 기상, 강우, 수위관측소의 자료를 수집하고 양질의 자료보유현황을 검토하여 73개의 계측 유역을 구분하였다. 이 73개의 계측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미계측 유역 간에 16개의 대표 유역특성인자들과의 유클리드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수문학적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권역별로 동일권역 내 표준유역 사이의 유사성은 한강이 87%, 낙동강이 69%, 금강이 41%, 섬진강이 52%, 영산강이 27%로 분석되었다.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유달율 적용방안 검증 연구 (A Study on Verification of Delivery Ratio Methodology for Basic Plan at TPLMs(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 이성준;이한필;박지형;김용석;황하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714-722
    • /
    • 2017
  •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이하 총량제)는 하천의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 유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관리하는 제도이다. 유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허용총량은 수질모델을 활용하여 산정하며, 이과정에서 오염부하량은 발생, 배출, 유달부하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달부하량은 배출부하량과 유달율의 곱으로 계산되며 유달율은 유역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하천의 특정지점에 도달하는 비율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는 Hwang(2016) 등이 제시한 기준유량 조건의 유달율 추정방법을 영강유역에 적용하고 QUALKO2 수질모델의 수질 입력자료를 생성하여 기준유량 조건의 유달율 산정방법(식 (3))과 평균 개념의 유달율 산정 방법(식 (2))의 비교분석을 통해 유달율 추정방법에 대한 검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유달율 함수식은 식 (2)와 식 (3)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배출계수 적용에 따라 방법론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식 (2)를 사용할 경우는 배출계수를 저수량, 평수량 구분없이 1로 동일하게 사용해야 하며, 식 (3)을 사용할 경우는 기술지침에서 정한 배출계수(저수량 0.15, 평수량 0.5)를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WAT-MODFLOW를 활용한 남한강 복하천유역의 지하수 모의 평가 (Groundwater evaluation in the Bokha watershed of the Namhan River using SWAT-MODFLOW)

  • 한대영;이지완;장원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1호
    • /
    • pp.985-997
    • /
    • 2020
  • SWAT (Soil Water Assessment Tool)-MODFLOW은 준분포형 연속강우유출모형과 분포형 지하수 모형을 결합한 모델이다. 본 연구는 남한강에 위치한 복하천 유역의 지하수에 대해 SWAT과 SWAT-MODFLOW의 모의결과를 비교평가 하였다. 두 모델간의 비교에 앞서 각 모델은 유역 내 흥천 수위 관측소의 일별 유출량 자료와 율현 지하수위 관측데이터의 9년(2009 ~ 2017년)의 자료로 보정 및 검증되었다. SWAT의 경우 기저유량과 감수위에 영향을 주는 GW_DELAY, GWQMN과 ALPHA_BF를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그 결과 결정계수(R2)는 0.70, Nash-sutcliffe 모델효율(NSEQ, NSEinQ)은 각각 0.73, -0.1을 나타냈다. SWAT-MODFLOW의 경우는 토양속성별 대수층 수리전도도(K, m/day), 비저류량(Ss, 1/m), 비산출량(Sy) 및 유효토심(m) 자료가 추가로 적용되었다. 동일 기간의 모의 결과 R2, NSEQ, NSEinQ는 각각 0.69, 0.74, 0.51을 나타냈다. 특히, SWAT-MODFLOW 적용결과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자료 입력을 통해 저유량 모의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SWAT과 SWAT-MODFLOW의 총 유출량은 각각 718.6 mm, 854.9 mm이며 기저유량은 각각 342.9 mm, 423.5 mm로 산정되었다.

두 가지 El Niño 형태에 따른 한강 유역의 연최대홍수량 및 저유량의 변화 분석 (Impacts of Two Types of El Niño on Hydrologic Variability in Annual Maximum Flow and Low Flow in the Han River Basin)

  • 김종석;윤선권;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0호
    • /
    • pp.969-98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ENSO(El Ni$\tilde{n}$o Southern Oscillation) 형태에 따른 한강유역의 연최대홍수량과 저유량의 정량적 변화 및 발생시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경향성 분석결과, 연최대유출의 경우 한강 전체 유역면적의 48.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패턴을 보였으며, 연최대 유출의 발생시기는 한강 서부유역에서 늦어지고, 동부유역에서는 빨라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7일 저유량의 경우, 24개 중권역중 6개 유역(전체 면적의 26.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저유량의 발생시기는 한강중상류 유역에서 빨라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T(Cold tongue)/WP(Warm-pool) El Ni$\tilde{n}$o 시기에 연최대유출의 발생시점의 차이는 크지 않으나, CT El Ni$\tilde{n}$o 시기에는 전체유역의 89.0%에서 연최대유출량이 평년보다 작게 나타났다. 또한, 7일 저유량의 발생시점은 WP El Ni$\tilde{n}$o 시기에 평균적으로 약 17일 정도 빠르며, CT El Ni$\tilde{n}$o (WP El Ni$\tilde{n}$o)시기에는 전체 유역의 72.7%(2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감소)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형태의 CT/WP El Ni$\tilde{n}$o가 한강 유역 수자원의 양과 발생시점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형태의 ENSO에 따른 수문변량의 변화에 대한 진단연구를 통하여 장기적인 수자원관리 및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SWAP 지수를 활용한 한강유역의 가뭄-홍수 급변사상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drought-flood abrupt alternation events using SWAP index in the Han River basin)

  • 손호준;이진영;유지영;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25-932
    • /
    • 2021
  • 가뭄-홍수 급변사상은 가뭄과 홍수가 중첩된 사상으로, 생태계뿐만 아니라 산업과 농업 그리고 사회경제까지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뭄이나 홍수의 개별 사상보다 대처하기 어렵다. 하지만 국내의 가뭄-홍수 급변사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가중평균강수(SWAP) 지수를 사용하여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SWAP 지수는 일강수량에 시간 가중치를 적용한 가중평균강수(WAP) 지수를 표준화 것으로, 한강유역의 중권역별 면적평균강수량(1966-2018년)을 사용해 산정하였다. SWAP 지수는 가뭄·홍수의 단일사상 분석 뿐 아니라 가뭄-홍수 급변사상을 분석하는데 용이하고, 시간의 척도 측면에서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심각도 K를 사용해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상대적인 심각도를 지역별로 분석할 수 있다. 연구 결과, 한강유역 30개의 중권역 중 20개의 중권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심각도가 상승하는 추세가 확인되었고, 중권역별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발생 빈도와 심각도 등을 고려하여 위험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한강유역 내 가뭄-홍수 급변사상으로 인한 위험지역은 남한강상류(#1001) 유역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