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aman area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낙동강 중류 유역의 단열계 특성 및 지하수계와의 관련성 (Characteristics of Joint System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Groundwater System in the Nakdong River Mid-basin)

  • 김득호;이종현;박규태;김성창;최유미;서유리;노경명;함세영
    • 지질공학
    • /
    • 제18권4호
    • /
    • pp.483-492
    • /
    • 2008
  • 낙동강 중류 지역(함안근, 창령군, 의령군)의 백악기 퇴적암의 단열계 특성(단열 방향성과 단열계 밀도도)을 파악하고, 단열과 단층, 수계 그리고 연구지역내 지하수공의 일일 사용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단열계는 JI($N90^{\circ}-110^{\circ}E$), J2($N0^{\circ}-35^{\circ}E$), J3($N0^{\circ}-35^{\circ}W$)로 분류되며, 주로 남북방향과 동서방향 단열군의 방항성이 우세하다. 연구지역의 동편과 서편의 함안층 분포지역에서는 남북방향의 단열계가 우세한 반면에, 연구지역의 중간부분인 칠곡층 분포지역에서는 동서방향의 단열계기 우세하다. 이는 연구지역의 동편과 서편에 위치하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단층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낙동강 주변에서도 단열 밀도가 높게 나타나며, 이는 동서방향의 단열계가 낙동강과 연관됨을 암시한다. 한편, 연구지역내 지하수공의 일일 사용량과 단열 밀도 간에는 약한 양의 상관성을 보이며, 지하수 비양수량과 단열 밀도간에는 음의 상관성을 보인다. 이는 단열 밀도가 지하수 산출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없음을 지시한다.

경남지구(慶南地區) 동광상(銅鑛床)의 종합개발(綜合開發)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Regional Study for Developments of Kyeongnam Copper Metallogenic Province)

  • 김선억
    • 자원환경지질
    • /
    • 제6권3호
    • /
    • pp.133-170
    • /
    • 1973
  • The metamorphosed belt on cherty and andesitic rocks of the Gyeongnam province area has been well known as the most important copper matallogenetic province in Korea and locally has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geologists. This report is summarized about geology, occurrence of ore deposits, the study of the present status of mine developments and exploitations and the suggestions of future proposed of copper mine developments and harmoniously and reseonably planning of demands and supply of copper ore. For convenience of study the writer divided the survey region as 4 area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mine location. They are (1) Goseong copper area (2) Gunbuk-Haman copper area (3) Masan-Changwon copper area (4) Tongrae-Ilgwang copper area. The geology of the above 4 areas consits of Cretaceous Gyongsang System, which is divided into Silla series, Nakdong Series and Bulguksa Series. The former has intrusive and extrusive andesite and sedimentary formation, and the latter has dioritic and hornblende granite. Ore deposits which is mostly vein types are confined mostly in the andesite and cherty rocks of Silla and Nakdong Series. It is observed slight hydrothermal alteration, i. e. propylitization, chloritization, saussuritization and silicification. It seems that the ore was formed by hydrothermal solution and secondary enrichement. The ore minerals are mainly chalcopyrite and pyrite, with small amounts of malachite, azurite, chalcocite, cuprite, galena, and sphalerite, magnetite, tetrahedrite and etc.. The efficient plan of copper mine developments in surveyed region are as following; (a) Gyeongnam Copper districts are divided in 4 area as mentioned above. (b) Each area would be likely developed as group-working as one unit. For the sufficiently supplying a demand of electric copper, the importations of high grade copper ore in foreign country are invitable at present status of copper mine developments and exploitations.

  • PDF

도라지 재배환경 및 토양 형태학적 특성 (Survey on Cultural Environment and Soi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tycodon grangiflorus)

  • 이영한;박상렬;류재산;임선택;고병구;윤한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5-222
    • /
    • 1999
  • 토양 이화학적 성질에 따른 도라지 재배적지를 경남 진주 6, 김해 7, 고성 3, 함안 6, 거창 4개소 강원도 홍천 6개소 등 32개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온은 발병율과 $Y=3.07X^2-87.16X+649.26(R^2=0.947^{**})$, 수량과 $Y=-478.68X^2+13403X-90836(R^2=0.763^*)$의 유의성 있는 상관이 있었다. 재배년수는 진주 8.0년으로 다년생이었고 홍천 1.30ha로 가장 넓었으며 김해가 0.08ha로 좁았다. 평균 퇴비시용량은 홍천이 $108Mg\;ha^{-1}$로 과다시용하는 경향이었고 김해지역이 $4.96Mg\;ha^{-1}$로 적게 시용하였다. 경사는 고성이 35.0%로 급경지였고 거창은 28%로 구릉지이며 진주, 김해, 홍천은 경사가 11.7 11.0, 7.5%로 기복지를 나타냈다. 배수상태는 거창, 김해, 진주, 고성지역이 양호한 반면 홍천, 함안은 불량한 편이었고 농가재배지의 포장방향은 거창, 진주, 고성이 동남향이었으며 김해, 함안, 홍천지역은 북서방향이었다. 재배년수가 긴 진주지역이 근경 4.20cm, 주당 근중 57g으로 수량이 $36.17Mg\;ha^{-1}$로 높게 나타났다. 발병율은 함안, 홍천지역이 각각 56.8, 52.5%로 높게 나타났고 고성 진주지역이 30.0. 32.2%로 낮게 나타났다. 발병율은 배수등급과 Y=19.1X-5.26($R^2=0.592{***}$)지형과는 Y=9.68X+10.77($R^2=0.205^{**}$)의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을 나타냈고, 수량은 배수등급과 Y=-10X+42($R^2=0.348^{**}$), 지형과는 Y=-5.34X+34.5 ($R^2=0.134^*$)의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 PDF

농촌과 도시 중학생의 카페인 함유 기호식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 비교 (Study on Perceptions and Intake of Caffeine-Containing Favorite Foods by Rural and Urban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nam)

  • 김은주;정효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50-66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caffeine intake from their favorite foods containing caffeine as well as several factors related to their intake. The objects of the investigation were 369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urban area of Changwon-si and 358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ural area of Haman-gun. The average height was 162.3cm, average weight was 52.3 kg and average BMI was 19.8. The food habit score was generally positive at an average of 3.37. The food habit scores of rural area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urban area students (p<.05). The average stress score was somewhat low at 2.82. The stress index for rural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urban students (p<.01). The recognition of caffeine in favorite foods was 8.12 out of a 12 point scale.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regarding caffeine was very low at 3.08 out of a 10 point scale. The main reason for selecting favorite foods was 'tast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don't check food labels was 49.1%. 'House' was the main location while 'good taste' was the biggest reason for eating caffeine-containing foods. The main side effect of caffeine intake was 'nausea'. The average daily caffeine intake for all subjects was 26.96 mg, with the urban students averaging 27.90 mg and the rural students averaging 25.99 mg. The correlations between several factors and caffeine intake were examined. Food hab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score and caffeine intake. Nutritional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caffein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ffeine intake. Hence nutritional education about caffeine should be emphasized to improve students' healthy food habits.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호랑이, 늑대, 표범의 서식분포 (Habitat Distribution of Tiger, Wolf, and Leopard in Joseonwangjosilok)

  • 김남신;차진열;이승은;임치홍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4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abitat distribution on tiger, wolf, and leopard in Joseonwangjosilok. Nowaday, we only come to meet these kind of animals at the historical records because of haman-induced habitat encroachment. Historically, extinct animal became an object of game by people. So, we try to get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restoration on historical extinct animals. We made distribution map by constructing 402 counts on tiger(350), leopard(51) and wolf(1) recordsfrom 14th to Early 20th century for study. Analyzing historical materials, criteria for data analysis took into account objectivity, location information, accuracy for extinct animals. We carried out location identification of animals by using geocoding comparing with geographical nam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opographic map of tim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present place name and historical materials. Database items are constructed 20 types for example appearance year of animal, population, location, damage, etc. As a result of analysis for appearance regions, tigers were recorded in capital area of higher density population intensively, and also were frequently seen at Daegu, Andong etc. Leopard and wolf were founded at regionally Gyeonggi-do and Jinju with limitation, relatively seen a few number. The reason of the appearance records like this, tiger prefer game of open and water-front area in near human residential area, there are lots of historical records such as 'Hosang'(mourning someone who killed by Tiger) and hunting. But leopard and wolf inhabit rocky area and dense forest, the reason why they made a few contact with human. Results of this are expect to be applicable restoration research for extinct animal by providing for populations, habitat 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information.

함안지역 습지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Wetlands in Haman Area)

  • 정선우;김인택;서정윤;박중석;오경환;이찬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함안지역에 소재하는 습지 중 생태관련 학술적 연구가 되어있지 않아서 그 생물학적 차원분포를 알 수 없는 7개소에 대하여 수온, pH, DO, COD, T-N, T-P, SS 등의 수질, 식생과 식물상을 조사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으며, 서식하고 있는 곤충, 어류 그리고 양서류의 분포를 각 습지별로 조사하였다. 조사 습지별 수질은 옥수늪이 가장 오염이 가장 심하였고, 평기늪과 돋을양지늪이 양호하였으며 모든 늪의 수질 오염은 겨울철에 가장 심하였다. 본 조사지의 식물군락은 9개 자연군락과 1개의 연꽃식재군락을 포함하여 모두 10개 군락으로 조사되었다. 수독늪은 41과 78종 16 변종, 뜬늪은 19과 42종 8변종, 은안늪은 33과 61종 12변종, 강주앞늪은 25과 35종 7변종, 옥수늪은 29과 50종 8변종, 평기늪은 30과 50종 6변종, 돋을양지늪은 17과 30종 5변종이 각각 확인되었다. 각 조사지역별로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종 수는 편차가 심한데, 그 이유는 각 조사지역별로 늪지의 규모가 다양하고 상류지역 및 육지 생태계로부터의 영향이 심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곤충류가 가장 풍부한 지역은 수곡늪이었으며, 10목 76과 224종 1082개체가 확인되었다. 종다양도는 2.05, 종풍부도는 73.49였다. 뜬늪의 곤충상은 가장 빈약하였으며 6목, 23과 29종, 81개체가 동정 되었다. 어류는 4목 7과 11종이 조사되었다. 옥수늪과 평기늪의 어류상이 가장 풍부하며 은안늪이 가장 빈약하였다. 어류는 외래종인 파랑볼우럭과 큰입우럭이 서식하고 있었다. 양서류는 2목 3과 4종이 조사 되었다. 6개 습지에서 황소개구리가 서식 하였으며 돋을양지늪에는 개구리가 다수 서식하였으며 황소개구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산성 강우에 의한 수목의 쇠퇴현상(I) - 음이온을 중심으로 - (Study on Decline of Trees by Acid Rainfall)

  • 이총규;황진형;김종갑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6호
    • /
    • pp.347-353
    • /
    • 2004
  •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산성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공단지역과 도시 근교 지역, 농촌 지역으로 나누어 각 산림지역 내에 있는 임외우와 수관 통과우에 대한 강우의 pH, EC 및 이온특성, 대기중 $SO_2,\;NO_2$의 농도, 해송림의 쇠퇴도를 분석하였다. 도시 근교 및 농촌 지역의 임외우는 $pH\;5.29{\sim}5.76$으로 공단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관 통과우는 공단 지역(온산, 농소)이 $pH\;4.64{\sim}4.98$, 도시 근교 지역(진주)이 $pH\;4.87{\sim}5.13$이었으며 전기전도도는 농촌 지역이나 도시 근교 지역보다 공단 지역이 높게 조사되었다. 임외우와 수관 통과의 음이온 중 $SO_4^{2-}$는 공단 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해 각각 3배, 8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해송의 쇠퇴도와 강우의 음이온 성분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해송의 쇠퇴도와 강우의 pH(r=-0.8374), pH와 $Cl^-$(r=-0.9324)이온 간에는 부의 상관이 나타났다.

플로팅 슬래브 궤도용 방진시스템 현장성능 평가 (Fiel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Floating Slab Track to Isolation System)

  • 박상곤;구형욱;한현희;전종균;장승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2-357
    • /
    • 2014
  •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stations under railway lines and railway sections passing through central area of cities are increasing, calling for an urgent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against railway vibration and its subsequent second-phase noise. Of technology developed up to now, the most efficient countermeasure is the floating slab track, a track system isolated from the sub-structure by springs. Developed in this study, anti-vibration device for floating slab track (HLRM-High Load Rubber Mount) Haman station affiliated to the primary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October 2012, one year after the second measurement after 2013 to be carried out in November and we want to change that. It is expected to raise awareness for the need of technology self-support an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mitigating vibration and noise produced by the next-generation high-speed railway.

  • PDF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한 홍수범람 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 Inundation with Quadtree Grid)

  • 김종호;김형준;이승오;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통권25호
    • /
    • pp.45-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사면구조(quadtree) 격자기법을 이용하여 경상남도 의령군과 함안군을 통과하는 남강 유역에서의 홍수범람을 모의하였다. Saint Venant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제방선을 따라 적합화 된 계층적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하여 leap-frog 기법으로 양해적 유한차분하였다. 본 모형과 상용 프로그램인 HEC-RAS 및 FLUMEN과의 수치결과를 서로 비교하였고, 빈도에 따른 홍수 사상을 다르게 하여 홍수범람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세 모형의 결과가 거의 일치함을 보였다. 그리고 500년 빈도의 홍수 사상에서 제내지로 홍수가 범람함을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지반조사에 의한 함안군 도항리 6호 고분 특성 규명 (Characterizing Hamangun Dohangri 6th Tumulus Using Ground Survey)

  • 이현재;함세영;박삼규;이충모;오윤영;웨이밍량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4호
    • /
    • pp.351-360
    • /
    • 2015
  • 지질학적, 물리탐사기법, 지질공학적 방법을 통하여 함안군 도항리 6호고분의 축조 형태, 고분 축조에 사용된 재료의 원산지와 공학적 성질, 봉분과 석실부에 대한 안정성 등을 고찰하였다. 고분의 기반암인 함안층은 풍화를 받아 인력으로 굴착이 용이한 암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전기비저항 탐사에 의하면 봉분은 토사부를 나타내는 저비저항대와 암석편의 함량이 많은 암석부의 고비저항대로 구분되었다. 대부분의 석실부 개석은 함안층과 동일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개석의 일부는 연구지역의 최남단에서 산출되는 흑운모화강암과 동일하다. 토질 시험에 의하면, 봉분의 토사부는 낮은 함수비, 낮은 간극비, 적정한 단위중량으로 보아 다짐 정도가 매우 높은 재료임을 지시한다. 또한 봉분의 암석부의 강도는 일반적인 암반의 전단강도를 초과하고 있어 매우 안정성 있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