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phyte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Coastal Wetland in Gyeongsangnam-do, Korea)

  • 유주한;박경훈;윤영철;송봉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9-38
    • /
    • 2009
  • 연안습지는 바다와 육지의 전이지대로서 다양한 생물종다양성을 가진 중요한 지역이다. 식물상 분석 결과, 85과 212속 278종 27변종 5품종 등 총 3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은 가는갯능쟁이, 수송나물, 나문재등 총 1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수생 및 습생식물은 좀깨잎나무, 여뀌, 흰꽃여뀌 등 총 2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메밀, 소리쟁이, 양명아주 등 4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평균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는 각각 17.9 % 및 3.67 %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봉의꼬리, 쇠고비, 홍지네고사리 등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향후 연안습지의 식물상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이며, 염생식물에 대한 군락 동태 및 종조성에 대한 조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충남 서천 유부도와 인근 섬에 분포하는 식물상 연구 (Study on Flora Distributed of Nearby Island and Yubu-do in Seocheon, Chungnam)

  • 오현경;손병율;윤상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27
    • /
    • 2016
  • This study is a survey of the flora distributed in Seocheon tidal flat wetland protected area of nearby island (Daejuk-do, Tokki-deung, Muk-do) and Yubo-do Seocheon-gun Chuncheongnam-do,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31 taxa including 65 families, 167 genera, 204 species, 2 subspecies, 23 varieties and 2 forms. The halophytes were 33 taxa including 15 families, 29 genera, 29 species, 3 varieties and 1 form (Chenopodium album var. stenophyllum, Cnidium japonicum, Juncus haenkei and so on). The rare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Pseudoraphis ukishiba (VU), Belamcanda chinensis (VU), Phacelurus latifolius (LC) and Polygonum bellardii (D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Salix pseudolasiogyne and Forsythia koreana.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24 taxa, a degree I were 19 taxa (Rhodotypos scandens, Zanthoxylum planispinum, Cynodon dactylon and so on), 2 taxa of a degree III (Elymus mollis and Asparagus oligoclonos), 3 taxa of a degree IV (Polygonum bellardii, Wisteria floribunda and Pseudoraphis ukishiba) and degree II, V were not foun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0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Sicyos angulatus, Lactuca scariola and so on. Naturalization rate (NR) was 17.3% of all 231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2.5%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sed as a basic data to identify the protected from plant ecosystems of type classify into analyz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based on flora distributed in Yubu-do and nearby islands.

Soil factors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Phragmites australis and Phacelurus latifolius in upper tidal zone

  • Nam, Bo Eun;Hong, Mun Gi;Park, Hyun J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05-210
    • /
    • 2018
  • To assess the environmental factors determining the zonation between Phacelurus latifolius and Phragmites australis, vegetation survey and soil analysis were performed at a tidal marsh. The vegetation of the tidal marsh was classified into P. latifolius and Suaeda japonica dominated quadrats, P. latifolius and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and P. australis and other land plants dominated quadrats. The density of P. latifolius ($83.7{\pm}5.5\;shoots\;m^{-2}$) was higher than that of P. australis ($79.3{\pm}12.1\;shoots\;m^{-2}$) in each dominated quadrat but height of two species were similar.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 latifolius dominated quadrats appeared to be affected by tide based on higher soil electric conductivity ($EC_{PL}=1530{\pm}152{\mu}Scm^{-1}$ ; $EC_{PA+PL}=689{\pm}578{\mu}Scm^{-1}$ ; $EC_{PA}=689{\pm}578{\mu}Scm^{-1$) and lower pH ($pH_{PL}=5.96{\pm}0.16$ ; $pH_{PA+PL}=6.28{\pm}0.31$ ; $pH_{PA}=6.38{\pm}0.22$). In redundancy analysi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 latifolius dominated quadrats and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were clearly separated and those of P. latifolius and P. australis co-dominated quadrats were similar to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From our investigation, P. latifolius showed relatively high competitiveness when compared to P. australis in lower tidal zone rather than upper tidal zone. Zonation of P. latifolius and P. australis seems to be a transitional zone between halophytes and land plant species.

나문재속 한반도 미기록식물 1종 (One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Suaeda malacosperma Hara)

  • 심현보;정주영;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3-387
    • /
    • 2001
  • 한반도 서남해안에서 나문재속에 속하는 한반도 미기록식물 1종을 발견하여 보고한다. 이 종의 형태적 특징과 서식지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종은 국내에 분포하는 나문재속의 다른 종과는 얇고 넓은 잎과 별 모양의 열매 형태에서 뚜렷이 구별된다.

  • PDF

Postharvest Biological Control of Colletotrichum acutatum on Apple by Bacillus subtilis HM1 and the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Antagonists

  • Kim, Hae-Min;Lee, Kui-Jae;Chae, Jong-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1호
    • /
    • pp.1954-1959
    • /
    • 2015
  • Bacillus subtilis HM1 was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region of halophytes for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acutatum, the causative agent of anthracnose. Treatment of postharvest apples with the cell culture or with a cell-free culture supernatant reduced disease severity 80.7% and 69.4%, respectively. Both treatments also exhibit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in vitro. The antifungal substances were purified and analyzed by acid precipitation, gel filtratio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Thre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fengycin, iturin, and surfactin. The MALDI-TOF/TOF mass spectrum revealed the presence of cyclized fengycin homologs A and B, which were distinguishable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f either alanine or valine, respectively, at position 6 of the peptide sequence. In addition, the cyclized structure of fengycin was shown to play a critical role in antifungal activity.

새만금 신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식생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on Soils Having Different Salinity in Recently Reclaimed Saemangeumin Region of Korea)

  • 김선;김택겸;정재혁;양창휴;이장희;최원영;김영두;김시주;성기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12
  • 간척지를 농업용지로 개발하는데 간척지에 자생하는 식생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새만금 간척지 내 계화지구에서 식생군락에 따라 식물종을 분류하고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수면 토양을 기점으로 조사된 위치별 토양염농도는 담수면 인접부가 22.3dS $m^{-1}$ 로 가장 높았고 육지쪽으로 진행될수록 낮아져 해수면에서 2km이상 되는 지점에서는 1.1~3.44dS $m^{-1}$를 나타냈다. 자생하는 식물은 6과 26종이 조사되었으며, 식물종별 발생빈도는 갯개미취, 비짜루국화가 61.5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이어 갈대와 갯꾸러미풀이 53.8이었다. 식생의 발생은 토양 염농도 14dS $m^{-1}$ 지점에서 시작되었고 주로 명아주과 염생식물들인 퉁퉁마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등이 나타났다. 이후 6.7dS $m^{-1}$ 지점에서부터 화본과 식물인 갈대, 갯꾸러미풀 등이 나타났고, 5dS $m^{-1}$ 에서 사초과 식물이 나타났다. 3dS $m^{-1}$이하에서는 비짜루국화, 갈대, 피, 갯잔디, 망초 등 중성식물들이 나타났다. 식생 종수는 염생식물과 중생식물이 동시에 나타나는 5dS $m^{-1}$ 지점에서 많았고, Biomass는 갈대가 우점한 식생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갈대+자귀풀이 우점한 식생에서 많았다. 식생의 생장량은 토양 염농도와는 부의상관을 나타냈고, 유기물함량과는 정의상관을 나타냈으며, pH와 식생의 우점도간에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변화 (Changes in Flora Dynam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 김은규;정영상;천소을;주영규;정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9-300
    • /
    • 2009
  • 간척후 식생변화를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간척지에서 식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2002년 간척된 경기만 행담간석지, 체절후 각각 7년, 9년, 18년 된 충남 석문과 대호, 경기만 행담 간척지이다. 신간척지에서 주 식생은 Suaeda japonica이었으며 다른 식생은 드물었다. 기존 간척지에서는 다양한 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간척지에서는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그리고 Suaeda maritime 등 4종의 염생선구종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간척연대가 진전되면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차례로 출현하고 있었다. 기존 간척지에서 다양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복합하여 나타났고, 이들이 선구종 염생식물보다 우점하였으며, Suaeda japonica는 출현하지 않았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선구종염생식물이 감소되는 현상은 식생이 간척후 숙성에 따라 식생이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혼합으로 천이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간척초기에 신간척지에서는 외부식물의 침입에 따라 식생종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은 간척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선구종염생식물의 상대적 밀도와 빈도는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보다 높았다. 간척후 3년 이후 연구에 의하면 외부식물이 선구종 염생식물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식생의 변화에도 선구종염생식물로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그리고 Suaeda glauca, 통성염생식물로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votus, 그리고 Phragmites communis 등이 간척지에서는 공통적인 주 염생식물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한국 자생 염생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다재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한 항생물막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Native Korean Halophyte Extracts and Their Anti-biofilmActivity against Acinetobacter baumannii)

  • 이은성;박정우;문기환;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015-1024
    • /
    • 2023
  • 항생제는 인간을 비롯한 가축 및 어류의 세균성 감염 질환의 치료에 크게 기여해 왔으나, 그 오남용으로 인해 많은 다제약제 내성균의 등장을 야기하였다. 최근, 항생제 내성균의 제어를 위한 새로운 항생물질 소재 발굴 및 신약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생식물은 염분이 높은 토양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산화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염분에 대한 적응으로 독특한 대사과정을 통한 특이한 이차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항생제의 오용 및 남용으로 항생제 내성균이 증가해 천연물질을 활용한 새로운 신약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세균의 생물막 형성은 적대적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적응 및 생존을 위한 전략으로 인식되며, 감염성 세균의 경우 숙주 내 부착 및 집락화를 위한 주요병원성 인자로 여겨진다. 특히, 생물막을 형성한 세균은 항생제에 대해 더 큰 내성을 보이며 쉽게 죽지 않아 치료가 더욱 어려워진다. 부유성 세균은 다양한 외부 환경을 인식하여 표면 부착을 통한 생물막 형성이 유도되는데 산화적 스트레스는 이를 유도할 수 있는 주요 신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항산화제와 같은 산소 스트레스 조절 효과를 갖는 화학 물질은 세균의 생물막 형성과 관련된 감염성 질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8종의 국내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 나아가 Acinetobacter baumannii ATCC 17978균주에 대한 항생물막 효과 및 세포 독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해국, 통보리사초, 해당화, 천문동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와 항생물막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세포독성 역시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국내 자생 염생식물 유래 항산화 물질의 항생물막 활성을 함께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천연물 유래 신약 후보군을 제시하고 향후 다제약제 내성균의 제어를 위한 의약 소재로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간척지 식물군락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목포지방을 중심으로- (An Ecological Study on the Process of Plant Community Formation in Tidal Land)

  • 김철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4호
    • /
    • pp.27-33
    • /
    • 1971
  • Informatio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in the tidal area surrounding Mokpo City the examined area included the stand in Sam-Hak Do wherein sands have inflowed, and the stand in Kat-Ba-Woo which has been left as tidal soil land. Two hundred stands were sampled by making 100m line transects 5m apart and establishing 30cm$\times$30cm quadrates 10m apart on each tape. These data were used to establish frequency, cover degree, density, standing crop (g/$m^2$), contained Cl in the soil, and pH.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1. There were 25 species of plants in the stands from Sam-Hak Do, 18 in the stands from Kat-Ba-Woo, and so 28 species in all. Regardings the importance value, the rank of dominant species is Salicornia herbacea L., Suaeda maritima Dumorties, Diplachne fusca L., Echinochola hispidula Nakai, Cyperus iria L., Setaria lutescens Hubbard in Sam-Hak Do, and Suaeda maritima Dumorties, Echinochloa hispidula Nakai, Aster tripolium L., Scripus maritimus L., Salicornia herbacea L., Diplachne fusca L., in the lands from Kat-Ba-Woo. Among them are five kinds of halophytes Salicornia herbacea L., Suaeda maritima Dumorties, Atriplex Gmelini C.A. Meyer, Aster tripolium L., and Limonium tetragonum Bullock; and two Kinds of naturalized plants Diplachan fusca L., Aster subulata. M. In the stands from Sam-Hak Do there was evidence of a secondary succession phenomena in the presence of Cyperaceae such as Cyperus liria L., Juncus decipiens Nakai, and Fimbristylis longispica Steudal, which could not be found in the stands from Kat-Ba-Woo. 2. On the number of species of vegetation, the further inland from the floodgate the higher the number; that is, the lower the content of Cl the higher the number of species. 3. On the distribution of the vegetation; comparing DFD index and Cl content, the main plants are Salicornia herbacea L., Suaeda maritima Dumorties, Atriplex gmelini C.A. Meyer, Diplachne fuscal, Echinochola hispidula Nakai where the Cl content of soil is more than 13.2%. 4. On the standing crop; Salicornia herbacea L., which has high resistance to salt, was half the total was production of 1090/$m^2$ while Suaeda maritima Dumorties was 1/4, Diplachne fusca L. 1/8, and Echinochloa the least. Analyzing the result,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main factor in plant community formation in tidal land is tolerance for Cl, and that a plan for utilizing the halophytes which are abundant in tidal land should be devised.

  • PDF

부안갯벌 생태계 복원을 위한 칠면초와 해홍나물의 내생진균류에 대한 유전학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Genomic Diversity of Endophyt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Suaeda japonica and S. maritima for the Restoration of Ecosystems in Buan Salt Marsh)

  • 유영현;윤혁준;서영교;김미애;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7-295
    • /
    • 2012
  • 부안갯벌에서 채집된 염생식물 칠면초와 해홍나물의 뿌리로부터 84종의 내생진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염생식물 샘플은 칠면초와 해홍나물이 부안갯벌로부터 분리되었다. 모든 내생진균류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영역의 서열에 의해 분석되었다. 내생진균류들은 Pleosporales (45%), Eurotiales (27%), Incertae sedis (11%), Dothideales (6%), Capnodiales (5%), Hypocreales (5%), 및 Agaricales (1%)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생진균류는 자낭균문과 담자균문의 Alternaria속, Ascomycota속, Aspergillus속, Aureobasidium속, Cladosporium속, Eupenicillium속, Fusarium속, Gibberella속, Hocrea속, Lewia속, Macrophoma속, Penicillium속, Peyronellaea속, Phoma속, Pleospora속, Pleosporales속, Pseudeurotium속, Schizophyllum속, 그리고 Talaromyces속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alternaria (21%)와 Penicillium (13%)이 우점종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칠면초와 해홍나물로부터 내생진균을 분리한 결과 Pleosporales 목과 Eurotiales 목의 Alternaria (21%)와 Penicillium (13%)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