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scular Plants in Coastal Wetland in Gyeongsangnam-do, Korea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 윤영철 (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 송봉근 (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04.09
  • Accepted : 2009.07.08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A coastal wetland is the important area of diverse biodiversity as a transitional zone between coast and land.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flora were recorded as 310 taxa; 85 families, 212 genera, 278 species, 27 varieties and 5 forma. The halophytes were 14 taxa; Atriplex gmelini, Salsola komarovii, Suaeda asparagoides and so forth. The hydrophytes and hygrophytes were 23 taxa; Boehmeria spicata, Persicaria hydropiper, Persicaria japonic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0 taxa; Fagopyrum esculentum, Rumex crispus, Chenopodium ambrosioide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for the floral region were 28 taxa; Pteris multifida, Cyrtomium fortunei, Dryopteris erythrosora and so forth. In future, the flora of coastal wetland will be analyzed in series, and community dynamics and species composition for the halophytes will be studied.

연안습지는 바다와 육지의 전이지대로서 다양한 생물종다양성을 가진 중요한 지역이다. 식물상 분석 결과, 85과 212속 278종 27변종 5품종 등 총 3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은 가는갯능쟁이, 수송나물, 나문재등 총 1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수생 및 습생식물은 좀깨잎나무, 여뀌, 흰꽃여뀌 등 총 2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메밀, 소리쟁이, 양명아주 등 4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평균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는 각각 17.9 % 및 3.67 %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봉의꼬리, 쇠고비, 홍지네고사리 등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향후 연안습지의 식물상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이며, 염생식물에 대한 군락 동태 및 종조성에 대한 조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환, 간척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생분포와의 관계 연구 -대호간척지를 사례로-, 지리학연구, 제39권, 제3호, pp. 337-345, 2005.
  2. 김은규, 정영상, 정형근, 주영규, 천소을,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포구 일대의 식생분포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6호, pp. 494-505, 2007.
  3. 김중현, 김용현, 윤창영, 김주환,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5호, pp. 481-504, 2008.
  4. 김창환, 이경보, 김재덕, 조태동, 김문숙,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4권, 제9호, pp. 817-825, 2005.
  5. 김창환, 이경보, 조두성, 명현, 전북 만경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289-298, 2006.
  6. 김창환, 조두성, 이경보, 최송열,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299-310, 2006.
  7. 김철수, 송태곤,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IV)-입지조건이 다른 염생식물군집-, 한국생태학회지, 제6권, 제3호, pp. 167-176, 1983.
  8. 김철환, 자연환경 평가-I.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제18권, 제1호, pp. 163-198, 2000.
  9. 김하송, 임병선, 이점숙, 박송희,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123-132, 2003
  10. 박수현,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1994.
  11. 박태윤, 우리나라 연안습지의 보전과 환경친화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제2권, 제3호, pp. 64-73, 1999.
  12. 방상원, 김문희, 노태호, 생태계위해외래종의 통합 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13. 신재기, 황순진, 윤춘경, 간척호(화옹호) 생성 초기의 수온과 염분의 공간적 구조와 계절적 변화, 한국하천호수학회지, 제39권, 제3호, pp. 352-365, 2006.
  14. 심현보, 서석민, 최병희,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환경생물, 제20권, 제1호, pp. 25-34, 2002.
  15. 안영희, 신경미, 제부도 갯벌식생과 소산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1호, pp. 52-69, 2006.
  16. 양효식, 전남 해안지역에 분포하는 폐염전 염생식물의 군락분류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제22권, 제5호, pp. 265-270, 1999.
  17. 오현경, 김영하, 이원규, 태안반도 백리포-의항리 해안의 관속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9권, 제2호, pp. 37-46, 2005.
  18. 오현경, 변무섭, 전주 삼천천 일대의 수생식물 분류와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9권, 제3호, pp. 17-30, 2005.
  19. 오현경, 변무섭, 이명우, 황보철, 부암대 기수역 내부의 염생식물에 관한 생태적 주제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311-318, 2006.
  20. 이기철, 남정칠, 신불산 고산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한국습지학회, 제10권, 제2호, pp. 1-14, 2008.
  21. 신범식, 김규한,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갯벌의 수질정화능력 산정,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42-49, 2007.
  22. 이점숙, 임병선, 명현호, 박정원, 김하송, 한국 서 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의 생육지와 토양환경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22권, 제1호, pp. 102-110, 2009.
  23.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0.
  24. 임양재, 전의식,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제23권, 제3/4호, pp. 69-83, 1980.
  25. 정용현, 성기준, 강대석, 이석모, 박소영, 을숙도 생태공원내 서식지별 환경요인과 갈대분포 특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11권, 제3호, pp. 50-61, 2008.
  26. 최도성, 돼지풀속(Ambrosia) 식물 2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환경생물, 제23권, 제2호, pp.200-205, 2005.
  27.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