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emophilus influenza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6초

Cloning of the Gene for Na$^{+}$/Serine-Threonine Symporter (sstT) from Haemophilus influenzae Rd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er

  • Kim, Young-Mo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3호
    • /
    • pp.202-206
    • /
    • 2003
  • A protein, exhibiting a high similarity to the major serine transporter of Escherichia coli, SstT, was found in Haemophilus influenzae Rd. A Na$\^$+/-stimulated serine transport activity was also detected in the cells. The gene (sstT) for the Na$\^$+//serine symporter from the chromosome of H. influenzae was cloned, and the properties of the transporter investigated. The serine transport activity was stimulated by Na$\^$+/. The uptake of Na$\^$+/ was elicited by the addition of serine or threonine into the cells, supporting the idea that these amino acids are transported by a mechanism of Na$\^$+//substrate symport. No uptake of H$\^$+/ was elicited by the influx of serine. The serine transport via the SstT of H. influenzae was inhibited by excess threonine, which was used as another substrate. The $K_{m}$ and the $V_{max}$ values for the serine transport were 2.5 ${\mu}$M and 14 nmol/min/mg protein, respectively.

세 가지 균주 유래의 N-acetylneuraminate lyase 비교; Escherichia coli, Haemophilus influenzae, Clostridium perfringens.

  • 이정호;김병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575-578
    • /
    • 2000
  • pNAN15b와 E. coli BL21(${\lambda}DE3$)를 써서 클로닝한 E. coli 유래의 NALase는 높은 수준으로 발현이 되었다. Escherichia coli, Haemophilus influenzae, Clostridium perfringens 세 가지 균주 유래의 NALase를 비교해본 결과 E. coli 유래의 NALase가 발현이 잘되어 전체 활성도는 높았지만 활성저해를 받는 경향이나 pH 11에서의 안정성을 보면 H. influenzae 유래의 NALase가 Neu5Ac 합성에 더 유리한 특성을 갖고 있어서 H. influenzae 유래의 NALase를 E. coli에서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면 H. influenzae 유래의 NALase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최근 5년간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분리된 Haemophilus influenzae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Trend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Haemophilus influenzae Isolated from Children, 2014-2019)

  • 이은택;박세라;김미나;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3호
    • /
    • pp.147-157
    • /
    • 2020
  • 목적: 최근 β-lactam 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Haemophilus influenzae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서울아산병원 어린이 병원에서 분리된 H. influenzae 균주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을 내원한 18세 미만의 소아청소년 환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H. influenzae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최근 5년간 총 69례의 H. influenzae가 분리되었으며 이들 환자의 연령 중앙값은 5.0 (2.8-8.6)세였다. 총 69례 중 3례(4.3%)가 혈액 배양에서 분리되었으며, 66례(95.7%)가 비침습성 균주로서 대부분 호흡기 검체(59례)에서 분리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분포는 ampicillin (AMP) 감수성/amoxicillin-clavulanate (AMC) 감수성 균주 15례(21.7%), AMP 내성/AMC 감수성 21례(30.4%), AMP 내성/AMC 내성 33례(47.8%)였으며, 최근 5년에 걸쳐 AMP 내성/AMC 내성 균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4-2015: 42.1% [8/19], 2016-2017: 46.4% [13/28], 2018-2019: 54.5% [12/22], P for trend=0.342). 2014-2015년에 비해 2018-2019년 기간에는 cefuroxime과 ceftriaxone에 대한 내성률은 각각 31.6%에서 77.3% 및 0.0% 에서 59.1% 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for trend 0.003 및 <0.001). 결론: 최근 국내의 3차 의료기관에 입원한 소아에서 분리되는 H. influenzae 균주는 AMP및 AMC에 대해 모두 내성인 경우가 흔하며, cefuroxime 및 ceftriaxone 에 대한 내성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균주의 내성 기전 분석과 함께 이의 출현과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Characteristics of $Na^{+}$-dependent Serine Transport in Haemophilus Influenzae Rd

  • Kim, Young-Mog;Rhee, In-Koo;Park, Mi-Yeon;Chang, Dong-Suck;Tomofusa Tsuchiya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2호
    • /
    • pp.78-82
    • /
    • 2003
  • We identified two proteins in Haemophilus influenzae Rd that exhibited high similarity to two major serine transporters of Escherichia coli (SstT and SdaC). Then, we investigated serine transport in H. influenzae Rd and detected $Na^{+}$-stimulated L-serine transport activity. The optimum NaCl concentration for this stimulation was about 20 mM. The uptake of $Na^{+}$ by H. influenzae Rd was found to be elicited by L-serine influx, which supports the idea that L-serine is transported by a mechanism of $Na^{+}$/serine symport. No uptake of $H^{+}$ elicited by L-serine influx was detected. $Na^{+}$/serine symport activity was not inhibited by other amino acids such as L-threonine or D-serine. Two distinct Km values were obtained from the kinetic analysis of serine transport. Thus, two serine transport pathways may exist in H. influenzae Rd, and it appears that both systems are stimulated by $Na^{+}$.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Hib) 백신 접종의 현황과 전망 (Present status and prospects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Hib) immunization)

  • 김경효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242-250
    • /
    • 2006
  •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Hib) conjugate vaccines prevent Hib disease in individuals and reduce the carriage and transmission of the organism in the community. The incidence of Hib disease has been decreased dramatically in a diverse range of countries through the use of a variety of conjugate vaccines and vaccine schedules. In some countries, the vaccine has caused a near-disappearance of invasive Hib disease through a combination of direct protection and herd immunity. The effectiveness of the vaccine was not modified by the type of conjugate vaccine, the number of doses given(two, three or four), age at first vaccination(two months, 42 to 90 days, three months) and whether the vaccine was tested in an industrialized or developing country. Over 15 years of international experience with vaccines has also demonstrated that they are safe. In 2004, Hib vaccines were adapted in routine immunization in 92 countries in the world. Decisions regarding the use of the Hib vaccine in routine immunization schedules depend not only on the effectiveness and efficacy of the vaccine but also on factors such as burden of disease, vaccine cost, and competing priorities. In Korea, Hib disease burden seemed to be lower than other developed countries(~10/100,000). Moreover Hib vaccines showed excellent immunogenicity in Korean children in many studies. Therefore, a potential approach to economize the cost of Hib vaccines could b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using reduced vaccine doses for immunization as some other countries.

Cloning of a Novel $Na^+$-Dependent L-Serine Specific Symporter Gene from Haemophilus influenzae Rd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er

  • Kim, Young-Mog;Rhee, In-Koo;Tsuchiya, Tomofus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520-524
    • /
    • 2004
  • A protein that exhibited a high similarity to a major serine transporter of Escherichia coli, SdaC, was found in Haemophilus injluenzae Rd. Also, $Na^+$-stimulated serine transport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cells. The sdaC of H. injluenzae was cloned and the properties of the transporter wer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serine transport was stimulated by $Na^+$. Uptake of $Na^+$ elicited by L-serine influx into cells was also observed, which supports the idea that L-serine is transported by a mechanism of $Na^+$serine symport. No uptake of $H^+$ elicited by L-serine influx was detected. This result was not consistent with that obtained with the homologous protein, SdaC of E. coli, which uses $H^+$as a coupling cation. The serine transport via the SdaC of H. influenzae was not inhibited by other amino acids such as threonine or D-serine like the SdaC of E. coli. Thus, the SdaC of H. influenzae is a $Na^+$-dependent L-serine specific symporter and an unusual natural mutant. The $K_m$ and the $V_{max}$, value for the serine transport in the SdaC of H. influenzae were $7.6\mu$M and 22.9 nmol/min/mg protein, respectively.

면역 기능이 정상인 소아에서 발생한 b형 Haemophilus influenzae에 의한 협부 봉와직염(Buccal Cellulitis) 1례 (A Case of Buccal Cellulitis Caused by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이진아;김동호;구자욱;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2호
    • /
    • pp.234-240
    • /
    • 2001
  • 어린 소아에서 상기도 감염의 증상이 선행한 후 수 시간 내에 급격히 진행하며 고열을 동반하는 적보라빛의 협부 및 경부 부종이 있는 경우, 반드시 H. influenzae에 의한 감염을 고려하여야 하며, 균혈증 및 무증상적 수막염이 동반될 가능성이 크므로 혈액배양검사 및 뇌척수액 천자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예방접종 시행 전 서구의 경우, 봉와직염이 Hib에 의한 침습성 질환 중 수막염, 후두염 등에 이어 5번째를 차지하며, 전체적으로 2~15%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저자들은 면역기능에 이상이 없었던 18개월 여아에서 상기도 감염의 증상 및 고열이 선행한지 수 시간 후 급격히 진행하는 적보라빛의 협부 봉와직염으로, Hib에 의한 균혈증이 동반되었고, 2주간 3세대 cephalosporin의 투여로 호전되었던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 with Meningitis and Septicemia due to Haemophilus influenzae Type f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Han, HyungKyu;Lee, Kyung Jae;Yu, Hee Joo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3호
    • /
    • pp.188-193
    • /
    • 2019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예방접종이 시행된 이후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감염률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non-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감염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뇌 정맥동 혈전증은 드물지만 세균성 수막염의 합병증 중 하나로 발생할 수 있다. 대뇌 정맥동 혈전증이 동반된 f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뇌수막염 환자를 진단 및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중이 삼출액 미생물의 16S rDNA 복합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인 진단 (Molecular Biological Identification of Bacteria in Middle Ear Effusion Using 16S rDNA Multiplex PCR)

  • 이정구;이인숙;박지연;정상운;오충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6-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16S rDNA복합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중이 삼출액에서 미생물병인원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았다. 중이염환자의 중이 삼출액에서의 미생물 병인원은 주로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와 Moraxella catarrhalis이다. 26명의 환자로부터 39개의 중이염의 삼출액을 얻었고, 중이 삼출액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PCR은 16S rDNA의 C4 region에서 21 base pair의 common primer와 각각 bacterium specific primers [(i) Haemophilus-specific primer (ii) Moraxella-specific primer and (iii) Streptococcus-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9 개의 중이염의 삼출액 시료 중에서, H. influenzae가 24 개(61.5%) 검출되었고, M. catarrhalis는 10 개(25.6%), S.pneumoniae는 3개 (7.7%)가 검출되었다. 16s rDNA 복합중합효소연쇄 반응 진단 결과,11 개(28%)의 중이삼출액 시료에서 음성을 나타내었다. 중이염의 중복감염은 9개의 중이 삼출액시료에서 관찰되었고, 이들은 모두 H.influenzae 와 M. catarrhalis 에 의한 중복감염이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 등은 165 rDNA 복합중합효소연쇄반응이 병원성 미생물을 빠르게 진단하고, 중이삼출액의 미생물 병인론을 추적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제시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