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CaT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34초

Levosulpiride, (S)-(-)-5-Aminosulfonyl-N-[(1-ethyl-2-pyrrolidinyl) methyl]-2-methoxybenzamide, enhances the transduction efficiency of PEP-1-ribosomal protein S3 in vitro and in vivo

  • Ahn, Eun-Hee;Kim, Dae-Won;Kim, Duk-Soo;Woo, Su-Jung;Kim, Hye-Ri;Kim, Joon;Lim, Soon-Sung;Kang, Tae-Cheon;Kim, Dong-Joon;Suk, Ki-Tae;Park, Jin-Seu;Luo, Qiuxiang;Eum, Won-Sik;Hwang, Hyun-Sook;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44권5호
    • /
    • pp.329-334
    • /
    • 2011
  • Many proteins with poor transduction efficiency were reported to be delivered to cells by fusion with protein transduction domains (PT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vosulpiride on the transduction of PEP-1 ribosomal protein S3 (PEP-1-rpS3), and examined its influence on the stimulation of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PEP-1-rpS3. PEP-1-rpS3 transduction into HaCaT human keratinocytes and mouse skin was stimulated by levosulpiride in a manner tha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ell viability. Following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inflammation in mice, levosulpiride alone was ineffective in reducing TPA-induced edema and in inhibiting the elevated productions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such as cyclooxygenase-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terleukin-6 and -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PEP-1-rpS3 + levosulpiride was significantly more potent than by PEP-1-rpS3 al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vosulpiride may be useful for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PEP-1-rpS3 against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Mechanism underlying Chios gum mastic-induced apoptosis on SCC25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 Lee, Seung-Eun;Hur, Young-Joo;Kim, In-Ryoung;Kwak, Hyun-Ho;Kim, Gyoo-Cheon;Shin, Sang-Hun;Kim, Chul-Hoon;Park, B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61-72
    • /
    • 2009
  • Chios gum mastic (CGM) is a resin produced from the stem and leaves of Pistiacia lentiscus L var chia, a plant which grows only on Chios Island in Greece. CGM has been used for many centuries as a dietary supplement and folk medicine for stomach and duodenal ulcers in many Mediterranean countries and is known also to induce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some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further investigated the induction and mechanisms underlying the apoptotic response to CGM treatment in the SCC25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The viability of SCC25 cells, human normal keratinocytes (HaCa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1 cells), and the growth inhibition of SCC25 cells were assessed by MTT assay and clonogenic assay, respectively. Staining with Hoechst and hemacolor dyes and TUNEL assays were employed to detect SCC25 cells undergoing apoptosis. SCC25 cells were treated with CGM, and this was followed by western blotting, immunocytochemistry, confocal microscopy, FACScan flow cytometry, MMP activity and proteasome activity analyses. CGM treatment of SCC25 cells was found to result in a time- and dos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a dos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apoptotic cell death. Interestingly, CGM showed a remarkable level of cytotoxicity in SCC25 cells but not in normal cells. Tested SCC25 cells also showed several lines of apoptotic manifestation. Taken together, our present findings demonstrate that CGM strongly inhibits cell proliferation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1 cell cycle-related proteins and induces apoptosis via the proteasome, mitochondria and caspase cascades in SCC25 cells.

Effects of Oral Intake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8 Lysates on Skin Moisturizing

  • Kim, Hangeun;Kim, Hye Rim;Jeong, Bong jun;Lee, Seung Su;Kim, Tae-Rahk;Jeong, Ji Hye;Lee, Miyeong;Lee, Sinai;Lee, Jong Suk;Chung, Dae K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74-80
    • /
    • 2015
  • Skin is the soft outer covering of vertebrates that provides protection from pathogenic infection, physical damage, or UV irradiation, and controls body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oral intake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8 lysates on skin moisturizing. In an in vitro study, we observed that the hyaluronic acid content increase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L. plantarum K8 lysates. Oral administration of L. plantarum K8 lysates effectively attenuated the horny layer formation and decreased epidermal thickening in DNCB-treated SKH-1 hairless mice skin. The damage to barrier function was reduced after 8 weeks of oral administration of L. plantarum K8 lysates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atopic dermatitis mice. For the test with volunteers, we manufactured experimental candy containing 2.1% L. plantarum K8 lysates, while control candy did not contain bacterial lysate. A significant increase in hydration in the experimental candy-administered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candy-administered group was observed on the face after 4 and 8 weeks, and on the forearm after 4 weeks. Decreases in horny layer thickness and TEWL value were observed on the face and forearm of the experimental group. Together, the in vitro cell line and in vivo mouse studies revealed that L. plantarum K8 lysates have a moisturizing effect. A clinical research study with healthy volunteers also showed an improvement in barrier repair and function when volunteers took L. plantarum K8 lysates-containing candy.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K8 lysates may help to improve skin barrier function.

호남평야지 숙답과 간척답의 수량 및 미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Mature and Reclaimed Paddy Fields in Honam Plain Area)

  • 정진일;이선용;김종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82-390
    • /
    • 1995
  • 우리나라 서남부평야지의 숙답과 간척답간 미질의 변이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 표준 재배법에 따라 재배한 동률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과 미질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간척지에서는 지역간 변이폭이 1~2cm였으나 숙답에서는 4~5cm로 컸으며, m$^2$당 수수는 숙답에 비하여 간척답에서 많았으나, m$^2$당 수수, 등숙비율 및 천입중은 간척답에 비하여숙답에서 많거나 높은 편이었다. 2. 쌀수량은 숙답평균(511kg/10a)에 비하여 간척답이 12%정도 감수경향이었고, 숙답에서는 대전(511kg/10a)이, 간척답에서는 영암(530kg/10a)이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3. 현미 완전입율은 숙답의 쌀이 놓았고 미숙입과 피해입은 간척지 쌀이 많아, 외관상 미질은 숙답의 쌀이 우수한 경향이었다. 4. 전분함량과 알칼리 붕괴도는 숙답미에 미하여 간척답미가 높았고, 단백질과 지방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간척미가 낮았다. 5. 간척답미가 숙답미에 비하여 Ca, Mg,Na 및 K등 무기성분 함량이 높았고 Mg/K 및 Na/K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6. 호화개시온도는 지역간 및 숙답과 간척답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정도는 대체로 간척답미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외관상 쌀품질은 숙답미에 비하여 간척답쌀이 떨어지는 편이었으나 식미는 약간 우수한 경향이었다.

  • PDF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보호 효과 (Beneficial Effect of a Collagen Peptide Supplement on the Epidermal Skin Barrier)

  • 김정기;이지해;배일홍;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8-463
    • /
    • 2011
  • In vivo에서 10주간의 UV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 및 2주간의 아세톤 도포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피부장벽손상에 대한 콜라겐 펩타이드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주름 증가, 비정상적 각질 세포 증식에 의한 피부 두께 증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 등이 콜라겐 펩타이드의 경구 섭취에 의해 개선됨을 확인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피부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회복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회복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람 각질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콜라겐 펩타이드는 SPT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및 급성 피부장벽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진피 및 표피 층의 손상을 회복 혹은 보호하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보호 또는 피부장벽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령버섯에서 분리된 Glucosylceramide 및 Sterol의 피부 세포 개선 효과 (Effect of Glucosylceramides and Sterols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Extract on Improvement of Skin Cell)

  • 김정은;이소영;장윤희;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5-117
    • /
    • 2020
  •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은 항암, 면역력 개선, 항비만 등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피부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 미백 등에 대하여 보고되었다. 이러한 효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신령버섯의 성분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 추출물의 피부 효능을 재확인하고 유용한 효능성분을 밝혀내어 이를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신령버섯 추출물은 100 ㎍/mL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 콜라겐 합성 증진, 보습과 관련된 유전자(hyaluronan synthase-2, 3와 aquaporin-3)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은 분광학적 데이터와 문헌값을 비교하여 ergosterol (1), 5-dihydroergosterol (2), cerevisterol (3), cerebroside B (4), cerebroside D (5), adenosine (6), 및 benzoic acid (7)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비교적 효능이 알려지지 않은 3종의 sterol (1-3)과 2종의 glucosylceramide (4, 5)에 대하여 피부효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5-dihydroergosterol (2)이 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하였다. 그리고 cerevisterol (3), cerebroside B (4), cerebroside D (5)는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cerebroside D (5)는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 hyaluronan synthase-2와 aquaporin-3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신령버섯 추출물과 분리 화합물은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차가버섯 추출물의 MMPs 발현 저해 및 HAS-2 발현 증가효과 (Effect of Inonotus obliquus Extract on the Expression MMPs and HAS-2)

  • 이소헌;박선희;이강혁;박수진;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7-24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가버섯의 70 %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엘라스타제 저해능,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 저해 및 HAS-2 (hyaluronan synthase-2) 발현 저해 효능을 측정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 및 함유성분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과 엘라스타제 저해 효능을 측정한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 및 엘라스타제 저해 효능을 보였으며($SC_{50}$ = 91 ${\mu}g$/mL, $IC_{50}$ = 124 ${\mu}g$/mL), 함유성분 중 Gallic acid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MMPs 발현능 평가에서, 차가버섯 추출물은 5 ~ 25 ${\mu}g$/mL의 농도에서 50 ~ 79 % MMP-1 mRNA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MMP-2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10 ${\mu}g$/mL에서 약 20 %를 감소시켰다. MMP-9의 발현에서도 5 ~ 25 ${\mu}g$/mL의 농도에서 54 ~ 70 %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AS-2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이 전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HAS-2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가버섯 추출물은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ranscription factor EGR-1 transactivates the MMP1 gene promoter in response to TNFα in HaCaT keratinocytes

  • Yeo, Hyunjin;Lee, Jeong Yeon;Kim, JuHwan;Ahn, Sung Shin;Jeong, Jeong You;Choi, Ji Hye;Lee, Young Han;Shin, Soon Young
    • BMB Reports
    • /
    • 제53권6호
    • /
    • pp.323-328
    • /
    • 2020
  • 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1), a calcium-dependent zinccontaining collagenase, is involved in the initial degradation of native fibrillar collagen. Tissue necrosis factor-alpha (TNFα) is a pro-inflammatory cytokine that is rapidly produced by dermal fibroblasts, monocytes/macrophages, and keratinocytes and regulates inflammation and damaged-tissue remodeling. MMP-1 is induced by TNFα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tissue remodeling and skin aging processes. However, the regulation of the MMP1 gene by TNFα is not fully understood. We aimed to find additional cis-acting element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NFα-induced MMP1 gene transcription in addition to the nuclear factor-kappa B (NF-κB) and activator protein 1 (AP1) sites. Assessments of the 5'-regulatory region of the MMP1 gene, using a series of deletion constructs, revealed the requirement of the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 (EGR-1)-binding sequence (EBS) in the proximal region for proper transcription by TNFα. Ectopic expression of EGR-1, a zinc-finger transcription factor that binds to G-C rich sequences, stimulated MMP1 promoter activity. The silencing of EGR-1 by RNA interference reduced TNFα-induced MMP-1 expression. EGR-1 directly binds to the proximal region and transactivates the MMP1 gene promoter. Mutation of the EBS within the MMP1 promoter abolished EGR-1-mediated MMP-1 promoter activation. These data suggest that EGR-1 is required for TNFα-induced MMP1 transcriptional activa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all three MAPKs, ERK1/2, JNK, and p38 kinase, mediate TNFα-induced MMP-1 expression via EGR-1 upreg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R-1 may represent a good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agents to reduce inflammation-induced MMP-1 expression.

세토카 가지 정유의 성분 분석 및 생리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Setoka' Branches)

  • 현주미;김정은;염현숙;송정민;김미량;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7-23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세토카 가지 정유의 주요 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항균, 항염 및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토카는 제주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감귤류의 품종이다. 세토카 나무의 가지는 간벌 작업으로 인해 대부분 폐기되고 있고, 이러한 폐자원의 활용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유 성분은 세토카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을 호호바오일로 처리하여 얻었다. 세토카 정유의 주요 성분은 ethyl linoleate (64.1%), ethyl palmitate(16.5%), neophytadiene (11.1%) 및 ${\beta}$-citronellol (5.1%)임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관련 미생물에 대한 paper disc 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및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좋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염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이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세토카 정유 성분은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였다. WST-1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RAW 264.7 macrophage 및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토카 가지 정유는 세포독성이 없으면서 염증억제 및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응용한 화장품소재로써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제주 자생 물사과 가지 유래 Flavonoid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the Flavonoids of the Syzygium aqueum Burm.f. Alston Branches from Jeju Island)

  • 염현숙;이남호;현주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1-1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세포보호효과를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_2O_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20{\mu}g/mL$의 농도에서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보호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좋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실시하여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pinocembrin (1), desmethoxymatteucinol (2).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1,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100{\mu}M$의 농도에서 화합물 1, 2는 $H_2O_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하여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물사과 가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