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CaT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29초

편백(扁柏) 유령(幼齡) 인공림(人工林)의 임령(林齡)에 따른 물질생산(物質生産) 및 무기양료(無機養料) 분배(分配) (Biomass, Net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Related to Age of Young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s)

  • 박인협;임도형;류석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85-92
    • /
    • 2000
  • 전남 순천시 모후산지역의 순천대학교 연습림에 식재되어 있는 6, 9, 14, 20년생 등 4개 편백 유령 임분을 대상으로 줄기의 목질부, 수피, 가지, 고사지, 잎, 뿌리 등 임목 각 기관의 물질생산과 N, P, K, Ca, Mg 등의 무기양료 분배를 조사분석하였다. 편백림은 경사도, 토양수분, 토양의 화학적 특성 등의 지형 및 토양 조건에 따라 흉고직경과 수고 성장에 큰 차이가 있었다. 경사가 완만하고 토양조건이 양호한 14년생과 20년생 임분의 임목 전체 현존량은 각각 96.2, 145.0t/ha이었으며, 순생산량은 각각 22.4, 23.5t/ha/yr이었다. 경사가 급하고 토양조건이 불량한 6년생과 9년생 임분의 현존량은 각각 0.7, 14.0t/ha이었으며, 순생산량은 각각 0.3, 4.7t/ha/yr이었다. 임령이 많아짐에 따라 축적기관인 줄기의 목질부와 가지의 현존량과 순생산량 구성비는 증가하는 반면, 생산기관인 잎의 현존량과 순생산량 구성비, 뿌리의 현존량 구성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임령에 따라 물질생산 분배에 차이가 있었다. 무기양료의 농도는 N, P, K, Mg는 잎이 가장 높았으며, Ca의 경우 수피가 가장 높았다. 임령이 많아짐에 따라 수피, 가지, 고사지, 뿌리의 N 농도와 가지의 K 농도는 감소하는 반면, 수피의 Ca 농도는 증가하였다. 임목 전체의 무기양료 함량은 N, K, Ca, Mg, P의 순으로 많은 경향이었으며, 온대 침엽수림의 평균치에 비하여 K 함량은 높은 반면, Ca 함량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 PDF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에 의한 HaCaT 피부각질세포의 전사체 분석 (Transcriptome Analysis of Human HaCaT Keratinicytes by Ginsenosides Rb1 and Rg1)

  • 김정민;조원준;윤희승;방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74-6781
    • /
    • 2014
  •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과 Rg1의 효능검증 및 작용점을 규명하고자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유전체 분석(gene expression profiles)을 실시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의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0{\mu}g/mL$의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을 6 및 24 시간 처리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유전자인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의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b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는 항산화 작용점에 있는 일련의 유전자군, FANCD2, FGF2, LEPR, FAS 등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확인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주요인자들의 작용 및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특히 진세노사이드 Rb1의 신호전달을 완성하고자 한다.

종대황과 선복화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피부 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NRF2/ARE에 의존적인 유전자 발현의 유도를 통한 항산화 효과 (Ethanol Extracts of Rheum undulatum and Inula japonica Protect Against Oxidative Damages o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hrough the Induction of ARE/NRF2-dependent Phase II Cytoprotective Enzymes)

  • 유옥경;이용걸;도기환;금영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0-317
    • /
    • 2017
  • 본 연구진은 HaCaT-ARE-luciferase 세포를 이용하여 400 여개의 약용식물 에탄올 추출물 중 NRF2/ARE 유도효과가 있는 신규 추출물을 검색하였고 이를 통하여 종대황(Rheum undulatum)과 선복화(Inula japonica)의 주정 추출물이 HaCaT-ARE-luciferase 세포에서 ARE 활성을 강하게 유도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종대황과 선복화 에탄올 추출물은 HaCaT 세포에서 생존(viability)을 증가시켰고 NRF2/ARE에 의존적인 phase II cytoprotective 효소인 heme oxygenase-1 (HO-1)와 NADPH:quinone oxidoreductase-1 (NQO1)의 전사 및 단백질 발현을 강하게 유도하였다. 또한 종대황과 선복화 추출물은 HaCaT 세포에서 TPA로 유도한 세포 내 활성 산소 및 이를 통하여 생성되는 스트레스 마커인 8-hydroxydeoxyguanosine (8-OH-dG)과 4-hydroxynonenal (4HNE)의 발생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종대황과 선복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인간 피부 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NRF2/ARE에 의존적인 유전자 발현의 유도를 통하여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자외선 B에 유도된 사람유래 HaCaT cells에서의 오미자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Treatment with Schisandra chinensis Seeds Fractions in UVB-irradiated Human HaCaT Cells)

  • 최은영;손호용;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71-1079
    • /
    • 2019
  • 본 연구에서 우리는 오미자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자외선에 유도된 human HaCaT cell에서의 MMPs의 발현억제에 의한 항노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분석, 그리고 hydrogen peroxide 소거분석 실험을 통해, 오미자 종자의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CEAf)이 가장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졌고, collagen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SCEAf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2.3% 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SCEAf의 HaCaT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SCEAf는 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나타낼 뿐 아니라 UVB에 손상된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 활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EAf의 HaCaT cell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UVB $50mJ/cm^2$에 유도된 HaCaT cell에 SCEAf를 처리한 후 MMP-1과 -3의 발현을 Western blotting과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Af가 MMP-1과 -3의 단백질과 mRNAs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오미자 종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자외선의 손상을 받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의 collageanse 활성을 억제하여 노화를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오미자 종자가 화장품과 식품 산업에서 항노화 효과가 있는 기능성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잠재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소목(蘇木)과 그 지표물질인 brazilin이 인간 유래 각질 형성 세포의 tight junction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appan Lignum and Brazilin on Expression of Tight Junction Related-genes in Human Keratinocyte)

  • 천성혜;최선경;조남준;김기광;이웅희;황형서;김균언;한효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6-112
    • /
    • 2018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diverse effects of Sappan Lignum extract and brazilin o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We confirmed the antioxidant effect of Sappan Lignum extract and brazilin was analyzed by using an ABTS assay, confirming the efficacy of water extraction method. Also, we examined effect of Sappan Lignum extract and brazilin on the cell viability, using the MTS assay in HaCaT cells. mRNA expression levels of tight junction-related genes associated with skin barrier in HaCaT cells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Sappan Lignum extract increased the cellular activity of HaCaT cells and the expression of the tight junction-related genes claudin 3, claudin 6, and ZO-2. Brazilin displayed the same effects as that of the extract on HaCaT cells activity and tight junction-related genes expression. Furthermore, dispase assay demonstrated altered cell-cell adhesion strength of Sappan Lignum extract or brazilin treated HaCaT cells. Sappan Lignum extract or brazilin might be an useful ingredient in skin-mosturizinng and anti-wrinkle cosmetics, given its effects of altering mRNA expression of tight junction-related genes and enhancing cell-cell adhesion strength of HaCaT cells.

Analysis of the Apoptotic Mechanisms of Snake Venom Toxin on Inflammation-induced HaCaT Cell-line

  • Chun, Youl Woong;Song, Ho 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23-30
    • /
    • 2017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roles of Interleukin (IL)-4 an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6 (STAT6), which have been reported to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ion and cancer, were evaluated in snake venom toxin (SVT)-induced apoptosis. Methods : Inflammation was induced in human HaCaT kerationocytes, by lipopolysaccharide (LPS; $1{\mu}g/mL$) or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followed by treatment with SVT (0, 1, or $2{\mu}g/mL$).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MTT assays after 24 h, and the expression of levels of IL-4, STAT6, and the apoptosis-related proteins p53, Bax, and Bcl-2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Electro mobility shift assays (EMSA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DNA binding capacity of STAT6. Results : MTT assays showed that inflammation-induced growth of HaCaT cells following LPS or TNF-${\alpha}$ stimulation was inhibited by SVT.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p53 and Bax, which promote apoptosis, were increased, whereas that of Bcl-2, an anti-apoptotic protein, was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LPS- or TNF-${\alpha}$-induced HaCaT cells following treatment with SVT. Moreover, following treatment of HaCaT cells with LPS, IL-4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and treatment with SVT further increased IL-4 express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estern blotting and EMSAs showed that the phosphorylated form of STAT6 was increased in HaCaT cells in the context of LPS- or TNF-${\alpha}$-induced inflamm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omitant with an increase in the DNA binding activity of STAT6. Conclusion : SVT can effectively promote apoptosis in HaCaT cells in the presence of inflammation through a pathway involving IL-4 and STAT6.

나복자(萊菔子) 에탄올 추출물이 HaCaT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피부염증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phani Semen Ethanol Extracts on Skin Inflammation in HaCaT Keratinocytes)

  • 김근립;홍철희;이규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2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인간피부각질형성세포(HaCaT keratinocytes) 모델을 TNF-α와 IFN-γ로 자극하여 내복자(萊菔子)의 피부염증 감소 및 만성 염증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내복자(萊菔子) 에탄올 추출물(RSE)이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또한 RSE가 TNF-α와 IFN-γ로 자극한 HaCaT 세포에서 p-IκBα, p-ERK, p-JAK2, p-STAT1, p-STAT6의 발현과 periostin, TSLP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결과 : RSE는 200㎍/㎖ 이하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HaCaT keratinocytes에서 TNF-α와 IFN-γ자극에 의하여 증가된 IκBα,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JAK2와 STAT1, STAT6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periostin과 TSLP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결론 : RSE는 HaCaT keratinocytes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s 및 transcription factors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부염증 감소 효능을 보였고,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 내복자(萊菔子)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산백국(山白菊) 열수추출물이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미치는 항염증 효과 (Effects of Aster glehni Water Extracts on Skin Inflammation in HaCaT Keratinocytes)

  • 김세중;이규영;김근립;홍철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2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ster glehni water extracts in HaCaT keratinocytes. Methods : In this study, cell viability was confirmed by MTT assay. Production of TNF-α and IL-6 was determined by ELISA. mRNA expression of TARC and MDC were measusred by qRT-PCR. Also, expressions of p-JNK, JNK, p-ERK, ERK, p-p38, and p-38 were investigated by using western blot assay. Results : Aster glehni water extracts were not shown any significant cytotoxicity at 15.625-500㎍/㎖ in HaCaT keratinocytes. Aster glehni extracts inhibited the TNF-α and IL-6 production in HaCaT keratinocytes treated with TNF-α and IFN-γ. Also, expression of TARC, MDC, p-ERK, and p-STAT1 was decreased.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ter glehni water extracts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in HaCaT keratinocytes and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ti-inflammatory treatment substances.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각질 세포 손상에서 몰약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yrrh Ethanol Extract on Particulate Matter-induced Skin Injury)

  • 정영희;노연화;정명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15
    • /
    • 2022
  • Objectives: Myrrh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to treat infectious and inflammatory diseases. However, it is largely unknown whether myrrh ethanol extract could exhibit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particulate matter (PM)-induced skin injury o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activity of myrrh ethanol extract on PM-induced skin injury in HaCaT cells. Method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myrrh ethanol extract in HaCaT cells, the skin injury model of HaCaT cells was established under PM treatment. HaCaT keratinocyte cells were pre-treated with myrrh ethanol extract for 1 h, and then stimulated with PM. Then, the cells were harvested to measure the cell viabilit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nterleukin (IL) 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𝛼, hyaluronidase, collagen, MMP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inhibitory kappa B alpha (I𝜅-B𝛼) as inhibitory mechanisms of myrrh ethanol extract. Results: The treatment of myrrh 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PM-induced cell death and ROS production in HaCaT cells. In addition, myrrh ethanol extract treatment inhibited the PM-induced elevation of IL-1beta, IL-6, and TNF-𝛼. Also, myrrh ethanol extract treatment inhibited the increase of hyaluronidase, MMP and decrease of collagen. Furthermore, myrrh ethanol extract treatment inhibited the activation of MAPKs and the degradation of I𝜅-B𝛼. Conclusions: Our result suggest that treatment of myrrh ethanol extract could inhibit the PM-induced skin injury via deactivation of MAPKs and nuclear factor (NF)-𝜅B in HaCaT cells. This study could suggest that myrrh ethanol extract could be a beneficial agent to prevent skin damage or inflammation.

HaCaT Cell에서 황기 에탄올 추출물의 Aquaporin-3 발현 효과 (Ethanol Extra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nduces Aquaporin-3 Expression in HaCaT Cells)

  • 박현철;김희택;하헌용;이평재;윤경섭
    • KSBB Journal
    • /
    • 제28권6호
    • /
    • pp.394-399
    • /
    • 2013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s used in herbal medicine in Easter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ects of A. membranaceus extract (AM) on the aquaporin-3 (AQP3) protein expression in HaCaT cells. AM did not affect viability of HaCaT cells. AQP3 expression and cell migration seem to be maximal at $100{\mu}g/mL$ concentratio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kinase inhibitor, PD153035, blocked AM-induced AQP3 expression and cell migration. In addition, an 80% ethanol extracts of herbal prescription, SinhyoTakleesan (ST), which is composed of A. membranaceus, Angelicae gigantis, Glycyrrhiza glabra Linne, and Lonicera japonica Flos also induced AQP3 expression at $20{\mu}g/mL$ in HaCaT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 induce AQP3 expression via EGFR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