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E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6초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oots Extracts from Calystegia japonica

  • Lee, Yang-Suk;Choi, Bok-Dong;Joo, Eun-Young;Kim, Nam-W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5-342
    • /
    • 200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Calystegia japonica roots for making good use of their functional materials. The roots of C.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water (WE), ethanol (EE) and hot water (HWE) by different methods. Among these extracts, the highest extracting yield was 30.30% of HWE, while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40.85% and 6.40% of WE, respectively.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ranged from 31.31% (HWE) to 37.46% (EE) at pH 1.2 and 1.0 mg/ml concentration. In the measurements of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E showed the highest effect as 91.83% at 0.3 mg/ml assay concentration, an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decreased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the results of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HWE showed the highest effect as 7.15% at 1.0 mg/ml.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WE and EE were 15.28% and 14.97%, respectively.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were ranged from 97.50 to 99.28% at 1.0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 japonica extract has a good antioxidant effects and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 PDF

간접적인 카니발리즘경험에 의한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Phenotypic Difference by the Indirect Cannibalism in Larvae of the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김은지;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2-347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이 표현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수행되었다. 우리는 유생의 생활사 초반에 개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종의 카니발리즘(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폴리페니즘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폴리페니즘의 발생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을 경험하는 그룹과 그렇지 아니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두 그룹의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HWE), 코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HWE를 LHW로 나누어 비율을 구한 후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유생의 생활사초반에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에 노출될 경우 그렇지 못한 그룹보다 머리크기의 비율(HWE/LHW)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주변의 다른 개체들로부터 전달되는 화학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권지웅;이희권;박희전;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concerning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from unripened fruit of Rubus coreanus Miq. The extraction methods were HWE (hot water extraction for 4 hr at $100^{\circ}C$), SFE (extraction for 3 hr at $40^{\circ}C$ under 300 bar, 100% of $CO_2$ fluid), U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for 4 hr at $50^{\circ}C$ with water), USE+HWE (hot water extraction for 2 hr at $100^{\circ}C$ after ultrasonification process for 2 hr), VE (vacuum extraction for 4 hr at $90^{\circ}C$ under 0.9 bar with water). VE extrac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78.78{\pm}3.79\;mg/g$) and total flavonoid ($40.93{\pm}0.68\;mg/g$). $I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HWE extract showed the lowest $35.39{\pm}0.25{\mu}g/mL$, $12.61{\pm}0.31{\mu}g/mL$ and $1.31{\pm}0.02{\mu}g/m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IC_{50}$ values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VE and HWE extracts showed lower $14.34{\pm}0.20{\mu}g/mL$ and $15.83{\pm}0.20{\mu}g/mL$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HWE and VE extracts have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xtracts; these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헛개열매추출액발효물이 흰쥐의 에탄올 경구투여에 의한 간손상 지표와 체중 감량 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Hovenia dulcis Thunb fruit water extract on biomarker for liver injury and body weight changes in rats given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 최지영;김준한;김지호;김춘경;최명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2-420
    • /
    • 2014
  • 발효에 의한 헛개열매의 기능성 상승 정도를 검토하고자, 헛개열매열수추출물을 발효시킨 후 급성 및 만성 알코올 투여 간손상 동물모델을 통하여 체중감량 억제, 알코올 분해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검증하였다. 급성 알코올 투여 동물모델에서 헛개열매발효군(ET-FHWE)은 알코올대조군(ET)에 비하여 혈청 알코올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특히 알코올 투여 3시간 후의 알코올 농도는 헛개열매추출액발효물에 의해 46.1%, 헛개열매열수추출물에 의해 19.1%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청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헛개열매추출액발효물에 의해 알코올 투여 3시간 후에는 48.7%, 5시간 후에는 39%로 알코올대조군(ET)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헛개열매열수추출물은 발효에 의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만성 알코올 투여 간손상 동물모델 실험에서 알코올 투여에 의해 상승된 혈청 알코올 농도는 헛개열매열수추출물과 헛개열매추출액발효물 투여에 의해 각각 31%, 41%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와 ${\gamma}$-GTP 활성도는 헛개열매열수추출물과 헛개열매추출액발효물 투여에 의해 알코올대조군(ET)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장기간 알코올 투여에 의한 체중 감소 억제 및 간조직 지질수준의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헛개열매추출액발효물은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해 감소된 혈당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급성 알코올 투여 동물모델에서 헛개열매열수추출물은 발효에 의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이 증진되었고, 만성 알코올 투여 모델을 통한 실험에서는 발효에 의해 헛개열매의 간기능 개선효능이 유지됨과 동시에 일부 효능(혈청 지질 및 혈당 수준 개선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헛개열매추출액발효물은 급성 및 만성 알코올성 간손상 억제에 있어서 헛개열매열수추출물보다 더욱 강력한 기능성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만형자(Vitex rotundifoli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eeds)

  • 이양숙;최복동;주은영;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1-108
    • /
    • 2009
  • 한방 약용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의 종자를 건조시킨 만형자를 새로운 항산화제나 생리활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추출물(WE)과 에탄올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분석하였고, 각 추출물을 $0.1{\sim}1.0\;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은 만형자 추출물 중 EE에서 31.05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은 물을 용매로 추출한 WE에서 186.69 mg/g, HWE는 182.55 mg/g을 함유하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12.48{\sim}83.40%$로 HWE가 EE보다 6배 이상 높은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91.14{\sim}95.08%$로 0.1 mg/mL 농도에서도 세가지 추출물 모두 88%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xanthine oxidase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94.02{\sim}97.51%$였으며, 0.5 mg/mL에서도 90% 이상의 저해활성 나타내어 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59.27{\sim}86.61%$로 EE에서 가장 높았으며, pH 3.0에서는 $26.53{\sim}35.73%$, pH 6.0에서는 $14.07{\sim}19.55%$의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29.09{\sim}48.58%$로 HWE가 가장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며 WE도 46.67%로 EE보다 약 1.5배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만형자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E에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폴리페놀 화합물은 WE와 HWE가 EE보다 약 1.8배 많았고 SOD 유사활성과 tyrosinase 저해율 또한 높았으며, 전자공여능은 EE에서 더 높았으나 WE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는 EE가 높았으나 pH 3.0의 조건에서는 WE와 HWE가 더 우수한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만형자는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항산화제나 미백제 및 기능성 식품 그리고 의약품 등의 원료 및 첨가물로써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한방 약용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HWE 방법으로 성장한 ZnSe:Cl 박막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l-doped ZnSe epilayers grown by hot wall epitaxy)

  • 이경준;전경남;강한솔;정원기;두하영;이춘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71-275
    • /
    • 1997
  • HWE방법으로 GaAs 기관위에 Cl이 첨가된 ZnSe 박막을 성장하였다. 성장된 박막의 표면 상태는 경면이 있었으며 좋은 결정성과 낮은 비저항 n 형 전도성을 나타내었다. 성장된 박막의 운반자 농도는 $10^{16}Cm{-3}$ 정도였으며 비저항값은 10$\\Omega$\cdotcm였다. 실온에서 청색 발광을 하는 photoluminescence를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 PDF

추출 방법에 따른 포도 추출액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grape juice obtained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김미향;곽현지;유병혁;김덕진;윤선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4-790
    • /
    • 2013
  • 가압가열추출(AE), 열수추출(HWE) 및 효소처리추출(EE) 방법으로 추출한 포도 추출액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액이 79.8%, 열수추출액이 82,3% 및 효소추출액이 92.6%로 효소 추출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pH는 추출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산도와 당도는 효소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색상에 있어서는 $a^*$$b^*$값은 효소 추출이 5.24 및 5.09로서 열수추출(3.79, 3.83)과 가압가열추출(1.83, 3.16)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L^*$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는 효소추출이 42.1 cP 이었으며 가압가열추출과 열수추출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포도당과 과당의 함량이 높으며,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효소추출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사과산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효소 추출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효소추출이 55.7 mg% 수준으로 가압추출 31.3 mg%와 열수추출 39.5 mg%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은 효소추출이 22.1 mg%로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2~4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에 있어서 효소추출이 가압추출과 열수추출에 비하여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포도 추출에 있어 가압과 가열에 의한 방법보다 효소 처리에 의한 추출이 맛과 색소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따른 항산화 활성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 남호섭;정지욱;김도완;하효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34-841
    • /
    • 2017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산채지역으로 알려져 있는 영양군 곰취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사람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를 이용하여 PMACI을 처리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켜 세포 생존률을 확인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6, IL-8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곰취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원물 건조량 대비 $24.43{\pm}1.82%$(w/w), 총 폴리페놀 함량은 $198.07{\pm}0.24mg/g$으로 다른 곰취 추출물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IC_{50}$ 값이 $28.2{\pm}0.04{\mu}g/mL$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IC_{50}$$3.5{\pm}0.01{\mu}g/mL$보다 낮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나 일반 천연물 유래 추출물보다 비교적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을 HMC-1 세포에 처리했을 때 MTT assay법으로 분석한 결과, 세포 생존률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TNF-{\alpha}$, IL-6, IL-8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항산화력 및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실시한 결과 영양군 곰취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염증효과도 뛰어나 향후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나 보다 다양하고 진보된 연구로 곰취의 염증성 질환 치료에 대한 정확한 기전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 를 이용한 레드비트 생물전환물의 항산화, 피부 미백과 자외선 흡수 효능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Skin-Whitening and UV Absorption Effect of Beta vulagaris Using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

  • 염서희;강민호;박제훈;김소희;김진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5-2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를 이용하여 Beta vulagaris의 생물전환물(BBE)의 피부미백 및 자외선 흡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TPC),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 라디칼 소거 활성(RSA),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TAI)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BBE의 TPC와 TFC는 25.0 mg GAE/g DM, 8.05 mg QE/g DM으로 각각 열수 추출물(HWE) 대비 1.3, 1.1 배 높았다. 항산화 활성 지표인 RSA와 피부 미백 효과 지표인 TAI가 각각 36.8%, 68.6%로 HWE보다 1.1, 1.2 배 높았다. BBE의 UVA와 UVB 흡수율은 각각 21.4, 87.6%로 HWE보다 1.4, 1.7 배 높았다. 또한 LC-MS/MS를 이용한 BBE의 주요 물질을 분석을 통해 항산화 및 피부 미백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의 일종인 kaempferol과 isorhamnetin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BBE는 항산화, 피부 미백, 자외선 흡수 특성이 우수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i(001) 기판 위에 HWE 방법으로 성장한 GaN 박막 성장 (Growth of GaN epilayer on the Si(001) substrate by hot wall epitaxy)

  • 이훈;윤창주;양전욱;신영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3-279
    • /
    • 1999
  • Si(001)을 기판으로 한 GaN 박막을 성장하기 위하여 hot wall epitaxy(HWE) 장치를 자체 제작하였다. HWE 장치를 이용하여 Si(001) 기판 위에 GaN 박막에 대한 상온에서의 광 발광(PL) 측정에서 GaN 초기층 성장온도가 $700^{\circ}C$ 보다 낮은 온도 조건에서 성장된 GaN 박막이 Zinc blende 구조와 Wurzite 구조가 혼합되어 성장되어지는 것으로 추측되며, $7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성장된 GaN 박막이 주로 wurtzite 구조로 성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x-선 회절 측정으로부터 성장한 GaN 박막이 Zinc blende와 Wurtzite의 두가지 구조가 혼합된 형태로 성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aN 박막을 성장하기 위한 조건에서 초기층 성장조건은 증발부의 온도 $860^{\circ}C$와 기판부의 온도가 $720^{\circ}C$ 근처에서 4분동안 성장하였을 때 Wurtzite의 특성을 보이며, GaN 박막의 성장조건은 기판부의 온도 $1020^{\circ}C$, 증발부의 온도 $910^{\circ}C$에서 그리고 Ammonia gas의 유량을 120 sccm으로 하였을 때 보다 안정한 Wurtzite 구조특성을 보이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