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T-29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38초

표고와 새송이버섯이 대장암 세포 증식 및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eryngii Extracts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 황용주;남혜경;장문정;노건웅;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질병에 약리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버섯류 중 표고버섯과 새송이 버섯을 택하여 열수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인간의 대장암 세포인 HT-29및 Caco-2와 한국인 위암세포인 SNU484에 첨가한 후 세포증식과 세포사멸을 이끄는 caspase-3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장암 세포인 H-'29와 Caco-2에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 적으로 세포 수가 감소하였으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세포증식이 더 억제되었다.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을 HT-29에 첨가 후 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더니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96시간의 처리에 HT-29증식이 매우 억제됨을 볼 수가 있었다. 세포의 caspase-3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을 48 mg/mL 이 상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2배 이상 casuase-3 활성이 증가였으므로 알에서 본 HT-29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사멸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짐작된다. 위 암세포인 SNU484에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을 첨가한 경우에는 세포증식의 억제효과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caspase-3 활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즉 위암에는 이 두 종류의 버섯은 효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은 caspase-3 활성 을 증가 시켜 대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므로 대장암에 대한 항암 물질로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NA Bis-intercalating Agent, Echinomycin-induced Apoptosis via Bcl-2 Dependence Pathway in Human Colon Cancer Cells

  • Park, Ju-Youn;Ryang, Yong-Suk;Kim, Jong-Bae;Chang, Jae-Ho;Cho, Hyeon-Cheol;Kim, Soo-Ki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4권2호
    • /
    • pp.144-149
    • /
    • 2008
  • Despite versatile activity (cancericidal, antimicrobial, hypoxia inducible factor (HIF) inhibition, immune deactivation of DNA bis-intercalation agent, echinomycin, its specific mechanism has been elusive. Of these novel mechanisms, we reported that using human colon cancer cells (HT-29), apoptotic machinery induced by echinomycin might be dependent of caspase-3 pathway. Despite a partial enlightenment of prototypic signal path triggered by echinomycin, the role of Bcl-2 in this signaling pathway is unclear. To address this issue, we explored whether or not echinomycin would overcome the anti-apoptotic impact of Bcl-2 in HT-29 cells by the controlled Bcl-2 overexpression. Prior to this proof, we confirmed that echinomycin induces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then triggering the mitochondrial pathway of apoptosis with an involvement of upstream cas-pases-3. Transiently transfection with inactive Bax-DNA failed to prevent echinomycin-induced apoptosis in HT-29 cells. To dissect the role of Bcl-2 in echinomycin-induced apoptosis, HT-29 cells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with Bcl-2 DNA for overexpression and then treated with echinomycin for 24h. Combined analyses of DNA fragmentation and flow cytometric analysis clearly verified that echinomycin-induced apoptosis was drastically attenuated by Bcl-2 overexpression, whereas a control vector rarely affected echinomycin-induced apoptosis. Collectively, these data verify that Bcl-2 regulates echinomycin-induced apoptosis in HT-29 cells. To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evidence that of diverse, structured minor groove binders (MGB), the prototypic echinomycin might control the apoptotic signaling via Bcl-2-mitochondrial pathway.

Effect of Root Extracts of Medicinal Herb Glycyrrhiza glabra on HSP90 Gene Expression and Apoptosis in the HT-29 Colon Cancer Cell Line

  • Nourazarian, Seyed Manuchehr;Nourazarian, Alireza;Majidinia, Maryam;Roshaniasl, Elmi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563-8566
    • /
    • 2016
  • Colorectal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lethal cancer types worldwide. In recent years, widespread and large-scale studies have been done on medicinal plants for anti-cancer effects, including Glycyrrhiza glabr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Glycyrrhiza glabra on the expression of HSP90, growth and apoptosis in the HT-29 colon cancer cell line. HT-29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xtract (50,100,150, and $200{\mu}g/ml$). For evalua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we used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technique, respectively. RT-PCR was also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xpression levels of HSP90 genes. Results showed that Glycyrrhiza glabra inhibited proliferation of the HT-29 cell line at a concentration of $200{\mu}g/ml$ and this was confirmed by the highest rate of cell death as measured by trypan blue and MTT assays. RT-PCR results showed down-regulation of HSP90 gene expression which implied an ability of Glycyrrhiza glabra to induce apoptosis in HT-29 cells and confirmed its anticancer proper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effects of the extract on other genes and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an extensive in vivo biological evaluation and subsequently proceed with clinical evaluations.

인체 소장상피세포주 모델(HT-29)에서 $\beta$-알라닌이 타우린수송체 활성에 미치는 영향 ($\beta$-Alanine Induced Down-Regulation of the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in the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 (HT-29))

  • 박태선;윤미영;정한나;이해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4-319
    • /
    • 2001
  • In the present study, effects of $\beta$-alanine, a known taurine antagonist for its structural similarity, on the adaptive regulation and kinetic behavior of the taurine transporter were investigated in the HT-29,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 Pretreatment of the cell with $\beta$-alanine(10mM) for varying periods from 3 to 30 hrs significantly reduced the taurine uptake compared to the value for control cells. This decrease in the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was dependent on the incubation time with $\beta$-alanine, and the maximal down-regulation of the transporter activity was observed in cells pretreated with $\beta$-alanine for 24 hrs (25% of the control value, p<0.01). The taurine transporter appears to bind exclusively with $\beta$-alanine in the HT-29 cells since the same concentration of $\alpha$-alanine added in the culture medium for 24 hrs did not influence the taurine uptake. Kinetic analyses of the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was performed in the HT-29 cell line with varying taurine concentration (5~60$\mu$M) in the uptake medium. Active taurine up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eta$-alanine pretreated cells compared to the value for control cells in the range of taurine concentration used in the experiment (p<0.001). The cells pretreated with $\beta$-alanine showed a 50% lower maximal velocity (Vmax, 1.7$\pm$2.0 nmole.mg $protein^{-1}$.$30min^{-1}$), and a 99% higher Michaelis constant (Km, 40.3$\pm$7.6$\mu$M) than the control values (3.3$\pm$1.9 nmole.mg $protein^{-1}$.$30min^{-1}$, and 20.3$\pm$2.1$\mu$M, respectively). These results on kinetic data suggest that $\beta$-alanine induced down-regulation of the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both maximal velocity and affinity of the transporter.

  • PDF

오미자 열수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Effects on Hot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on Colon Cancer)

  • 유민주;정하숙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1호
    • /
    • pp.64-69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대장암 세포 HT-29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대장암 세포 HT-29의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MTT assay를 통해 인체 대장암세포 HT-29는 오미자 시료농도 0, 1.0, 2.0, 4.0 mg/mL에서 암세포 사멸농도가 각각 0%, 10%, 70%, 88%를 나타내었다. 대장암세포에 오미자 추출물을 처리하고 cell cycle 분석 결과, 시료농도 의존적으로 sub-G1기가 증가하였고, G0/G1기는 감소되는 것을 통해, apoptosis가 일어나 세포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장암세포 핵의 형태학적 변화를 보면, 오미자 추출물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수가 감소되는 것이 뚜렷이 관찰되었고 cell shrinking, chromatin condensation등 apototic body 등과 같은 형태학적 변화들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RT- 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은, 오미자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p53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통해 대장암세포의 증식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tro 실험에서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오미자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 본체 규명 및 apoptosis를 유도하는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가 수행중이다.

인체 대장암 세포주(HT-29)에서 담즙산 합성유도체(HS-1200)의 세포 사망 기전 (A Novel Chenodeoxycholic Derivative HS-1200 Induces Apoptosis in Human HT-29 Colon Cancer Cells)

  • 오신근;양광모;허원주;유영현;서홍석;이형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67-374
    • /
    • 2002
  • 목적 : 인체 대장암 세포주인 HT-29에 새로운 CDCA 합성유도체인 HS-1200을 처치하여 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아포토시스 유도 활성을 관찰하고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지수증식기의 HT-29 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CDCA 합성유도체인 HS-1200을 투약하여 $IC_{50}$를 구하였다. $IC_{50}$의 농도를 참조하여, 세포 생존능의 실험은 frypan blue exclusion assay를 이용하였고, 아포토시스 유도에 관한 관찰 실험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UNEL assay 및 Hoechst staining을 이용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통한 PARP [poly (ADP-ribose) polymerasel, caspase-3 및 DFF (DNA fragmentation factor)의 degradation 및 cleavage 등을 관찰하였다. Immunofluorescent method를 통한 cytochrome c 방출 측정 및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HS-1200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 실험에서 DNA ladder의 관찰, TUNEL assay 및 Hoechst staining 에서 아포토시스 세포들이 대량으로 관찰되는 결과로 미루어 아포토시스에 의한 세포 사망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포토시스에 의한 세포 사망을 검증하기 위한 Western blotting을 통한 PARP cleavage, caspase-3 및 DFF 발현 관찰에서 공히 HS-1200 처치 후 4시간 째부터 PARP, caspase-3 및 DFF의 degradation 및 cleavage가 관찰되었다. HS-1200의 아포토시스 유도에 이르는 기전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에 주목하고 시행한 cytochrome c 방출 측정 및 미토콘드리아막 전위 $(\Delta\Psi_m)$ 측정에서 공히 cytochrome c 방출 및 미토콘드리아막 전위 $(\Delta\Psi_m)$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 : 인체 대장암 세포주(HT-29)에서 CDCA 합성유도체인 HS-1200을 이용한 세포 증식억제 및 세포사망 기전 연구에서, 아포토시스의 유도가 HS-1200의 세포 사망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아포토시스의 유도에는 미토콘드리아의 역할이 중요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HS-1200의 항암 치료제로서의 역할에 관한 기초 자료로 서의 유용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에서 검정콩 된장의 in vitro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박의성;이재양;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70-1278
    • /
    • 2015
  • 시료 된장의 pH, 아미노태, 암모니아태 수치는 각 군 간 특별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검정콩 된장이 가장 높은 폴리페놀 농도,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된장 추출물은 0.1~0.5 mg/mL 범위까지는 RAW 264.7 cells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으며, HT-29를 이용한 MTT에서 BD 군이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보였다. HT-29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6와 염증관련 인자 COX-2의 mRNA 발현은 시료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BD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p21, p53과 cyclin D1의 mRNA 발현은 p21과 p53가 BD군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cyclin D1은 BD군에서 낮아졌다. Apoptosis 관련 유전자인 Bcl-2는 BD군이 가장 낮은 발현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BD군은 CD, SD군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농도, 항산화 효과, 대장암세포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s과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 등을 조절한다. 이 결과는 아마도 서목태 된장의 높은 총 페놀화합물의 양과 안토시아닌의 함량으로 얻어진 결과로 생각된다.

차가버섯 물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기전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sms by Which the Aqueous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Proliferation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김은지;이용진;신현경;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6-523
    • /
    • 2006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한랭한 삼림지대에서 자라는 자작나무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항종양 및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차가버섯의 항암기전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대장암에서 유래한 HT-29 세포를 사용하여 차가버섯 물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차가버섯을 열수추출하여 냉동 건조하여 얻은 물추출물을 HT-29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sim}100{\mu}g/mL$)로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의 증식은 차가버섯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였다. 차가버섯 물추출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DNA합성은 감소하였고, apoptotic cell의 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Apoptosis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 수준은 차가버섯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으나, cleaved caspase-8, -9, -3의 단백질 수준은 차가버섯에 의해 증가하였다. Caspase-8, -9, -3의 활성도 모두 차가버섯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aspase-3의 표적 단백질로 세포의 생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PARP단백질의 분해도 차가버섯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차가버섯 물추출물이 DNA합성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도하여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caspase 경로의 활성을 증가하므로써 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차가버섯 물추출물을 대장암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Sodium Butyrate 처리가 대장암 세포주인 HT29 Cell의 Sphingolipid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Butyrate on the Biosynthesis of Sphingolipids in HT29, a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 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0-168
    • /
    • 1999
  • Butyrate는 탄소사슬이 짧은 지방산 중 하나로 소화되지 않은 식이성 섬유의 혐기적 발효결과 포유동물의 위장관내에 millimolar 농도로 유지되며 대장의 상피세포에서 흡수되어 energy원으로 사용된다. 70%정도 confluent하게 자란 사람의 대장암세포주인 HT29 cell에 5mM sodium butyrate를 시간별로 처리하고 세포의 생존율, 암세포의 분화정도의 biomarker로 알려진 alkaline phosphatase 및 PLC-rl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으며 sphingolipid의 생합성 및 ceramidase 활성도 측정하였다. Sodium butyrate 처리는 성장중인 HT29 cell의 부착을 저해하여 처리 1일째부터 세포수가 감소하였고 형질막 효소인 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LC-${\gamm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복합 sphingolipid들의 생합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성장의 저해와 함께 sphingomyelin은 2일째부터 감소하였으며, galactosyl ceramide는 1일째부터 급속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ceramide의 경우, 1일째는 처리하기 전보다 680dpm/mg protein정도 증가하였으며 2일째에는 다시 급속히 감소하였다. 또한 butyrate처리에 의하여 HT29 cell의 acid ceramidase와 neutral ceramidase활성이 저해됨을 관찰하였는데 그 결과 ceramide함량이 초기에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결과들로부터 HT29 cell의 sodium butyrate처리는 세포분화 또는 세포성장저해를 가져오는데 이와 함께 초기의 ceramide함량 및 alkaline phosphatase활성의 증가와 galactosylceramide함량 및 LC-rl 발현의 감소현상이 동반됨을 알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Taxol and Arsenic Trioxide in HT-29 Spheroid Cells

  • Lee In-Soo;Choi Hyun-Il;Han Hye-Eun;Lee Hye-Young;Kim Tae-U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3-160
    • /
    • 2006
  • Human colon cancer is the second most fatal disease among a variety of cancers to cause cancer death in U.S.A. and its incidence rate is currently increased in Korea.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being progressed on the efficacy of diverse combination treatments. But results of these studies in vitro were not similar those in vivo. This study compared the anticancer reactions between each use of arsenic trioxide and taxol against human colon cancer HT-29 cell line and combined use of two drugs. And these result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HT-29 spheroid cells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solid tumor in vivo. The spheroid of HT-29 cells was formed by using a multicellular spheroid system and the result was observed through electron microscopy. In vitro cytotoxicity of each use of arsenic trioxide and taxol was evaluated in HT-29 monolayer cells. The $IC_{50}$ value for arsenic trioxide was to be $33{\mu}M$ and taxol was to be 18nM. The result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taxol and arsenic trioxide decreased the cytotoxicity on the HT-29 monolayer cells. The spheroid cells represented higher resistance against drugs than the monolayer cells. I demonstrated DNA fragmentation after incubation with concentrations more than $10{\mu}M$ arsenic trioxide and 100nM taxol for 48h, on the monolayer cells. But the results of HT-29 cell line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taxol and arsenic trioxide was the same as the outcome of control samples that were not treated with any drug. And I don't demonstrated DNA fragmentation on the spheroid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optosis was not induced in the use of the combination can be thought as that arsenic trioxide might work as an antagonist to inhibit a taxol mechanism to induce apoptosis. And the spheroid cells represented higher resistance against drugs than the monolayer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