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S1

검색결과 1,103건 처리시간 0.025초

반모가 수종의 인체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Study of Mylabris Phalerata on Anti-cancer Effects in Some Kinds of Cancer Cells)

  • 김진성;윤상협;류봉하;류기원;정명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2-213
    • /
    • 2004
  • Object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Mylabris phalerata (반모) in some kinds of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Some kinds of cancer cells lines were treated. We used nine kinds of cancer cell lines, such as stomach cancer cells (Kato), lung cancer cells (Calu-1, NCI-H 1395), urinary bladder cancer cells (HS789T), bone cancer cells (Saos-2), brain cancer cells (SK-N-MC), liver cancer cells (Hep-G2), skin cancer cells (Mo-1) and prostate cancer cells (PC-3) with the water decoction of Mylabris phalerata. The histological changes of all cell lines in the media (RPMI-1640) containing the decoction of Mylabris phalerata were observed and we examined cell death assay by trypan blue exclusion testing was examined. Finally, the chang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as measurd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Mylabris phalerata on cell increase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cell cycle. Results: In histologic change all cancer cell lines showed withdrawn and floating appearance that is typical in cellular impairment. Most of the cell lines showed over 50% death rate after 24 hours in trypan blue exclusion tests. Especially the stomach, urinary bladder. brain and liver cell lines showed over 30% death rate after 12 hours. All cell lines treated with Mylabris phalerata were less stained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the Mylabris phalerata treated cell lines was marked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of DNA quantity in all cell lines showed the disappearance of the peak and the thickened left axis, which suggests that all cellular DNA degraded. Conclusion: Mylabris phalerata had cytotoxicity on various kinds of cancer cell lines and the mechanism of that was the impairment of mitochondria by the breakdown of the mitochondrial cell membrane. We propose that this is in part attributable to the destruction of DNA in cancer cells.

  • PDF

WPI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y Protein Isolate)

  • 안명수;김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0-54
    • /
    • 2007
  • 단백질을 식품의 원료로서 여러 가지 식품에 응용하려고 할때 제일 먼저 문제되는 것이 영양가이지만 동시에 물리화학적 특성도 식품 원료로서의 적합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런 면에서 유청(cheese whey)의 성분에서 단백질 함량을 90% 이상으로 농축 분리시킨 whey protein isolate(WPI)는 단백질 보충제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가공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WPI의 아미노산 함량, 용해성, 유화성, 기포성을 조사하여 식품의 기능성 원료 및 대체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WPI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89.5%였고 그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44.6%를 차지하였다. 필수 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 isoleucine, valine 등의 BCAA(branched chain amino acid) 함량이 높았다. pH에 따른 WPI의 용해성은 82-88%의 범위로 pH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유화용량은 302.7mL/g으로 난황의 187.0mL/g보다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화액의 이장량으로 측정한 유화안정성도 65-97%로 나타나 난황의 60-89%보다 안정함을 보였다. 기포형성력은 323.3%로 난백의 186.6%보다 약 2배 정도 높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남은 기포의 부피로 측정한 기포안정성은 85.9-97.7%로 난백의 84.8-95.3%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WPI는 우수한 단백질 보충제로서 뿐만 아니라 용해성, 기포성, 유화성도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각종 가공식품의 품질향상에 영향을 주는 기능성 원료 및 대체물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토종닭 소장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entosus K34가 생산하는 항균성 유기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timicrobial Organic Aci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entosus K34 isolated from Small Intest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재연;황교열;김근;성수일;박영식;백만정;김경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1-246
    • /
    • 2002
  • 한국 토종닭의 작은창자로부터 살모넬라와 포도상구균치 성장 저해력이 우수한 7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7주의 배양액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한 결과 저해활성의 변화가 없었다. Lactic acid 1.8 %에 의하여서는 Salmonella gallinarum의 성장저해환이 9 mm 나타났는데 , 대부분의 분리 유산균 배양액은 산도가 1.08∼l.8 %인데도 불구하고 성장 저해환이 10∼ll mm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유산균 배양액내에는 lactic acid이외의 다른 물질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GC-MSD를 이용하여 항균성이 우수한 L. pentosus K34 배양 액내의 생성된 유기산 metabolic profile을 조사한 결과 28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천연항균물질인 phenyllactic acid가 lactic acid, acetic acid와 더불어 높은 농도로. 생산되었다. Phenyllactic acid는 acetic acid, formic acid, lactic acid와 저해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acetic acid, formic acid, lactic acid가 pH 5.0에서는 저해활성이 크게 감소함에 비하여 phenyllactic acid는 pH 5.0에서도 저해활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Phenyllactic acid는 살모넬라, 포도상 구균에 대한 항균능력이 특이적으로 강력하게 나타났으며 효모,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은 매우 낮았다.

수입 음식료품의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Estimation of Food Miles and CO2 Emissions of Imported Food)

  • 주옥정;이재범;성미애;김수연;류지연;김대곤;홍유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7-68
    • /
    • 2010
  •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last century has led to remarkable changes in our environment and climate system. Many policy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cross the world, many of which require our lifestyle changes from energy-intensive to energy-saving. One of the changes in our living patterns is to consider food miles. A food mile is the distance food travels from where it is produced to where it is consumed. Providing information of food miles will help people choose low mileage food, helping promote a "green consumption" action and lead to a low carbon society with emission reduction systems. In this study, 10 items are selected from 23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2-digit coding system (HS) to estimate their food miles, and $CO_2$ emissions released in the transportation of imported food. For the estimation, four countries are chosen-Korea, Japan, United Kingdom (UK) and France, with Korea and Japan's 2001, 2003, and 2007 trade statistics and UK and France's 2003 and 2007 trade statistics used. As a result, Korea showed in 2007 the highest level of food miles and $CO_2$ emissions per capita among 4 countries. That suggests that Korea should make an effort to purchase local food to reduce food miles and use low-carbon vehicles for food transport, contributing to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갈대 뿌리와 갈대순 첨가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t addition sprout and root of reed)

  • 김성태;김소망;정재희;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0-497
    • /
    • 2015
  •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발효기간 중 pH는 증자 후 덖음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pH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대조구와 증자 후 덖음 한 갈대 뿌리를 첨가한 약주는 같은 값을 보였다. 총산 함량은 발효 종료 시점인 12일째의 총산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효 기간 중 시료를 첨가한 시기인 발효 6일째의 환원당 함량 또한 시료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대 약주의 ethanol 함량은 대조구가 15.31%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15.30%과 뿌리를 첨가한 시료구의 15.28%과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주에서 확인된 주요 유리당은 glucose였고, fructose와 sucrose는 갈대순과 뿌리를 첨가한 약주에서는 검출 되었으나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약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갈대순 및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4.26mg% 및 4.21 mg%로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또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와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25% 및 23%로 대조구의 20%에 비해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관능검사 결과 향, 색 및 맛 모두 갈대순 0.3% 첨가 약주가 가장 높은 기호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종합 기호도 또한 갈대순 0.2%~0.4%를 첨가한 약주의 3개 시료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중 0.3% 첨가 약주가 7.2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합성형 반강자성 결합 재료의 자기장 세기에 따른 토오크 신호 분석 (Magnetic Field Dependence of Torque Signals in Synthetic Antiferromagnetic Coupled CoFeB/Ru/CoFeB Thin Film)

  • 윤석수;전우상;김동영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3-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합성형 반강자성 결합 특성을 갖는 CoFeB/Ru/CoFeB 박막 재료에서 자화용이축에서 측정한 플롭자기장($H_F$)과자화곤란축에서 측정한 포화자기장(Hs)을 경계로 달라지는 토오크 신호를 분석하였다. HF의 자기장 세기에서 음의 일축이방성 특성이 최소가 되며, 이는 반강자성 결합에 의한 자화 상쇄 효과로 강자성층의 자화용이축이 곤란축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H_F$ < H < $H_s$의 자기장의 세기에서는 두 강자성층이 형성한 자화방향의 사이각이 증가하면서 쌍축이방성 특성을 유도시킨다. 이러한 쌍축이방성 유도 특성은 두 강자성층의 자화가 서로 수직이 되는 자기장의 세기에서 최대가 된다. 한편 자기장의 세기가 $H_s$ 이상에서는 CoFeB의 고유한 일축이방성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자기이방성 특성은 두 강자성층의 반강자성 결합에 의한 자화 특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Stoner-Wohlfarth 모델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인삼 뿌리썩음병 발병에 미치는 환경 요인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Root Rot on Ginseng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 이중섭;한경숙;이성찬;소재우;김두욱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87-94
    • /
    • 2014
  • 인삼 재배지에서 가장 큰 피해를 나타내고 있는 뿌리썩음병원균은 Cylindrocarpon destructans로 연작장해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1과 2012년에 걸쳐 인삼 뿌리썩음병 발병포장으로부터 뿌리를 수집하여 병징 구분 후 57종의 C. destructans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뿌리썩음병원균중에서 34균주(61%)는 병원성이 낮았으며, 21균주(37%)는 무상처 접종에서도 병반을 형성하여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분리균들을 PDA 배지에서 15일 배양한 결과 최적의 생장온도는 $20^{\circ}C$였으며, $35^{\circ}C$에서는 병원성에 관계없이 모두 생장하지 못하였다. 병원성에 따라 균총의 색과 균사의 생장정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강한 병원성 균주는짙은 갈색을 나타낸 반면 병원성이 약한 균주들은 베이지색 또는 옅은 갈색을 나타내었다. pH 변화에 따른 균사 생장에 미치는 효과 조사를 위해 수경 재배한 결과 pH 7.0에서 보다 pH 5.0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뿌리에서의 상처는 pH 변화와 관계없이 발병도를 더욱 증가시켰다. 인위적으로 조성한 발병 토양에 1-4년생 인삼뿌리를 이식하여 재배한 결과 2년생 뿌리에서 가장 감수성이었으며, 발병률도 79.5%로 가장 높았다. 뿌리썩음병 발병정도는 토양 내 접종 병원균의 밀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균 접종농도 $3.5{\times}10^2cfu/g$ 처리구 보다 $2.0{\times}10^3cfu/g$ 처리구에서 높았다.

$IO_4$-산화 가용성 전분에 의한 파파인의 변형 (Modification of Papain with $IO_4-Oxidized$ Soluble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9-355
    • /
    • 2007
  •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was reacted with papain at pH 4.0, pH 7.0, and pH 9.7, and an oxidized soluble starch-papain conjugate was produced. When compared with native papain, the specific activity decreased to 60%, in both the modified papain reacted with 0.4% $NaBH_4$ and in the modified papain not reacted with $NaBH_4$. The specific activity decreased to 70% in the modified papains reacted with 1.5% $NaBH_4$ and 4.0% $NaBH_4$, respectively. The reduction by $NaBH_4$ did not have an effect in the thermal stability of either the modified or nonmodified papain. An activity of 54.7% remained in the papain modified at pH 4.0, which was incubated at $80^{\circ}C$ for 40 min. The papains modified at pH 7.0 and pH 9.7 and incubated for 40 min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were stable to $60^{\circ}C$, and at $80^{\circ}C$ their activities at 56.3% and 44.1 %, respectively. The modified papain's thermal stability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native papain, with no increase in its statbility. In the range of pH $2.0{\sim}13.0$, the stability of the papain modified at pH 4.0 decreased greatly between pH $3.0{\sim}5.0$, but it was similar to the native papain at other pH values. The stability of the papain modified at pH 7.0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e native papain at pH $2.0{\sim}6.0$, while its stability increased when moving into the alkali pH range. The papain modified at pH 9.7 also had increased stability, when moving into the alkali range. The results of Hammerstein milk casein, which was reacted with the papains modified at pH 4.0, pH 7.0, and pH 9.7, respectively, and analyzed by FPLC, showed different peak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odification pHs, and the greatest peak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the modification at pH 9.7.

Pt/TiO2의 HS 산화반응 및 SO2 피독과 재생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H2 Oxidation over Pt/TiO2, SO2 Poisoning and Regeneration)

  • 이동윤;김성수
    • 공업화학
    • /
    • 제30권6호
    • /
    • pp.731-7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Pt/TiO2를 파우더 및 허니컴 형태로 제조하고, 촉매의 피독 물질인 SO2에 대한 영향과 재생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Pt/TiO2의 SO2 노출 전·후 촉매 활성을 비교하였다. Pt/TiO2의 초기 활성은 주입되는 H2 농도(1~5%)에 비례하며, 촉매의 온도와 H2 전환율이 각각 최대 183 ℃와 95%로 나타났다. 2,800 ppm SO2를 파우더 및 허니컴 Pt/TiO2에 노출시켰고, 이때 성능이 나타나지 않았고 촉매 표면에 0.69%의 황(S)이 잔류함을 확인하였다. 피독 촉매에 대한 세척 및 열처리 결과, 파우더 촉매는 세척에 의해 96% 이상의 H2 전환율을 나타냈고 허니컴 촉매는 H2 또는 air 분위기의 열처리를 통해 촉매 활성이 재생되어 95% 이상의 H2 전환율이 확인되었다.

Ultisol과 Alfisol 및 Inceptisol 토양에서 토양표면전하 측정에 사용된 이온흡착법, 전위차 적정법 및 역적정법간의 비교 (Comparison of the Ion Adsorption Method, Potentiometric Titraion and Backtitration Technique for Surface Charge measurement in Ultisol, Alfisol, and Inceptisol)

  • 이상은;;박준규;임수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0-171
    • /
    • 1993
  • Ultisol(필리핀의 Luisiana 토양)과 Alfisol(필리핀의 Maahas 토양)및 Inceptisol(한국의 용지통) 토양의 표면전하 특성을 전위차 측정법과 역적정법 및 이온흡착법 등의 세가지 방법으로 정량하였고 분석법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이온흡착법(또는 CEC-AEC method)으로 구한 PZNC(point of zero net charge)값은 Luisiana토양과 Maahas 토양 및 용지통에서 각각 3.1, 2.2 및 2.9였다. 따라서 이들 토양의 자연 pH조건에서는 음전하를 보였다. 2. 전위차 적정법과 역적정법에서 구한 PZSE(point of zero salt effect)값은 Maahas토양 외의 두 토양에서 일치하였다. 3. PZNC값은 PZSE값에 비해 모든 토양에서 낮았는데 이는 영구음전하의 영향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Uehara and gillman(1980)의 이론에 의해 구한 영구음전하는 Luisiana 토양과 Maahas 토양 및 용지통에서 각각 2.6, 4.5 및 0.4me/100g로 pH 7에서 측정된 CEC중 상당히 적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4. 역적정법은 pH가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전위차 적정법이 표면전하를 과다 평가하는 결점을 보완해 주었으나 여전히 이온흡착법에 비해 과대 평가하고 있어 영구전하의 영향이 큰 보통 토양에서는 이온흡착법의 사용이 나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