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LC/FLD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18초

PAHs 농도 분포에 따른 GC/MS와 HPLC의 분석특성에 관한 연구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GC/MS and HPLC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AHs)

  • 홍좌령;최광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2-321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est method to analyze PAHs at extremely low concentrations. To this end, 16 PAHswere analyzed simultaneously by GC/MS, HPLC/FLD and HPLC/UVD, and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HPLC and GC/MS were compare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GC/MS and HPLC/FLD/UVD, and evaluated linearity, precision and detection limit. Standard solutions were prepared for 21 samples in the range of $0.00001{\sim}1.0{\mu}g/mL$ and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ll samples were made in three sets and analysis was replicated seven times. Results: Sixteen PAHs could be simultaneously separated by HPLC and GC/MS, and the adequate equipment was HPLC/FLD. The retention times by HPLC were shorter than GC/MS, and HPLC had better separation for most PAHs than GC/MS. The peaks of naphthalene and naphthalene-D8 partially overlapped for GC/MS. HPLC/FLD had a 20-2000 times lower limit of detection than GC/MS and UVD. However FLD was not adequate for analyzing acenaphthylene because it has too low a fluorescence quantum yield to be detected. The precision of HPLC/FLD/UVD and GC/MS showed less than 20% at $0.001{\mu}g/mL$ PAHs and when the concentration was highe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decreased. HPLC/FLD was better for the overall detection of limit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LC/FLD method has good linear range, precision and a detection of limits from $0.00001{\sim}0.0001{\mu}g/mL$ for all 16 PAH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useful data for analysis technology and can be applied to occupational exposure measurement for PAHs in workplaces.

ELISA 방법을 이용한 요중 아플라톡신 M1 측정 (Application of Competitive ELISA Method for Estimation of Urinary Aflatoxin M1 Level)

  • 김용대;김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6-310
    • /
    • 2013
  • 본 연구는 요중 아플라톡신 M1 (AFM1)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competitive ELISA 방법의 특성을 HPLC-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방법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ELISA 방법에서의 AFM1의 회수율은 105% (73-124%)였고 측정의 변이계수는 6.85%로 나타났다. ELISA 방법에서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20 pg/ml과 0.62 pg/ml로 조사되었으며, 두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요중 AFM1 농도는 상관계수 0.96의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그러나, 이렇게 높은 상관성에도 불구하고, ELISA 방법을 이용한 요중 AFM1의 농도는 HPLC-FLD 방법으로 측정한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ELISA를 이용한 방법이 단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결과는 HPLC-FLD 방법을 이용해서 얻은 회귀식을 이용하여 보정을 한 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PLC-FLD와 MSD를 이용한 지하수 중 나프탈렌 및 TNT의 미량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Micro Levels of Naphthalene and TNT in Groundwater by HPLC-FLD and MSD)

  • 박종성;오재일;정상조;최윤대;허남국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6호
    • /
    • pp.35-44
    • /
    • 2009
  • 나프탈렌과 TNT는 미국 환경청(U.S. EPA)에서 규정한 발암가능성 물질로(Group C), 환경으로 방출될 경우 수생태계와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하수 내 두 물질의 미량 분석법에 대한 기존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PLC-FLD(Fluorescence etector)와 MSD(Mass detector)를 이용한 지하수 내 나프탈렌 및 TNT의 미량분석법을 개발하여, MDL과 LOQ 및 이온영향을 조사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HPLC-UV 분석법과 비교 평가하였다. 나프탈렌의 경우, 3D-Fluorescence를 통하여 확인된 최고의 파장(Ex: 270 nM, Em: 330 nM)이 HPLC-FLD에 적용되었고, $0.3\;{\mu}g/L$의 MDL과 $2.0\;{\mu}g/L$의 LOQ가 획득되었다. 이는 현재 방법(HPLC-UV; MDL: $23.3\;{\mu}g/L$, LOQ: $163.1\;{\mu}g/L$)보다 약 80배 우수한 결과이며, U.S. EPA의 음용수 권고기준($700\;{\mu}g/L$)의 약 350배 이하까지 정량분석이 가능한 수치이다. TNT의 경우, 새롭게 제시된 HPLC-MSD로 측정한 방법(MDL: $0.13\;{\mu}g/L$, LOQ: $0.88\;{\mu}g/L$)이 HPLC-UV(MDL: $16.8\;{\mu}g/L$, LOQ: $117.5\;{\mu}g/L$ at 230 nM)보다 약 130 배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U.S. EPA의 음용수 권고기준($20\;{\mu}g/L$)보다 약 23배 낮은 농도까지 정량분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PLC-UV(230 nM)의 분석법은 ${NO_3}^-$ 농도가 증가할수록(특히 21 mg/L 이상) 크로마토그램의 기준선이 증가하여 정량에 방해를 주었으나, HPLC-MSD 분석법은 국내 지하수 평균 농도보다 약 3.5배인 63.7 mg/L에서도 분석의 영향 없이 안정한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새롭게 제시된 HPLC-FLD와 MSD에의한 나프탈렌과 TNT 분석법은 지하수 및 음용수 미량분석에 적합하며, 관련분야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배양조류 및 댐 저수지 조체중 신경독소 Anatoxin-a, Saxitoxin류의 분석 및 수처리방안 (Analysis of Neurotoxins, Anatoxin-a, Saxitoxin in Algae Cultured and Algae in Dam Reservoir and its Water Treatment)

  • 김학철;최일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4호
    • /
    • pp.37-44
    • /
    • 200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three neurotoxin; anatoxin-a, saxitoxin and neosaxitoxin using HPLC/FLD system and this analytical methods were applied to real sample; algae culture and algae extracts. For the HPLC/FLD analysis of anatoxin-a samples were concentrated on WCX(Weak Cation Exchanger) SPE and then anatoxin-a in concentrate was derivatized with NBD-F solution. Supernatant was injected on HPLC system. For the HPLC/FLD analysis of saxitoxin and neosaxitoxin samples were separated on the column and then derivatizied by post column reactor for fluorescen detection. For post column reaction of saxitoxin we feed two kinds of reaction solution; Oxidizing Reagent of which composition was periodic acid(7mM) in 5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9 and acidifying reagent of which Composition was 0.5M acetic acid. The LOD value for anatoxin-a, saxitoxin and neosaxitoxin in HPLC/FLD method was 24.3 ng. $35{\mu}g/L$, $27{\mu}g/L$ respectively. We determined the anatoxin-a content of lyophilized anabaena flos-aquae and $20{\mu}g/g$ d.w. of anatoxin-a was detected. We analyzed saxitoxin and neosaxitoxin in algae culture media and extracts of lypopyllized algal cell cultured and that of Deachung reservior. Saxitoxin and neosaxitoxin in real sample were below the limit of detect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ter treatment processes for removing neurotoxins were suggested no process give simultaneous and complete removal of neurotoxins. It was cocluded that nanofiltration which reject material by size can be a process for removal of neurotoxins.

만성신부전증환자에서 HPLC/FLD를 이용한 혈장 Homocysteine의 측정 (Measurement of Total Plasma Homocystein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sing HPLC/FLD)

  • Kyung-Ok Lee;Bo-Kyung Kang;Hyung-Jin Roh;Kwang-Suk Ryoo;Jeong-Yeon Yoo;Man-Jeong Paik;Kang-Hyeob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9-3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만성신부전증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의 조기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표지 자로서 homocysteine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만성신부전증 환자와 건강인에서 HPLC/FL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를 이 용하여 혈장 homocysteine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방법의 회수율은 98.6$\pm$5.8%를 나타내었으며, 0.2 nmol/L 보다 낮은 농도까지 측정이 가능하였고, 2~50 nmol/ml까지 직선성이 성립하였다 (correlation coefficient =0.9997). 한국인 중 건강한 정상인 (20명)과 만성신부전증 환자 (90명)에서 혈장 homocysteine은 각각 6.81$\pm$1.54 nmol/ml과 27.28$\pm$14.94 nmol/ml이었으며 , 환자군에서는 정상인군에 비하여 약 4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0.05).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HPLC/FLD를 이용한 homocysteine 측정은 예민도와 재현성이 높아 routine 실험실 방법으로 유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혈장 homocysteine의 측정은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는 폐쇄성 동맥질 환을 조기에 진단하거나, 혹은 homocysteine 농도를 저하시키는 치료를 실시 한 후 치료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생화학적 marker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이온쌍 HPLC/FLD를 이용한 생체 시료중의 Glutathione 농도 분석 (Determination of Glutathione in Biological Samples by Ion-pairing HPLC/FLD)

  • 유정연;이경옥;신호상
    • 분석과학
    • /
    • 제12권1호
    • /
    • pp.28-33
    • /
    • 1999
  • 생체 시료내의 glutathione(GSH)을 monobromobimane(MBB)이나 4-fluoro-7-sulfobenzofurazan(SBD-F)으로 최적 유도체화 조건을 확립하였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형광 검출기(FLD)를 사용하여 정량분석 하였다. MBB로 유도체화한 경우에는 검출한계가 $0.03{\mu}g/mL$으로서 SBD-F를 사용한 경우보다 감도가 약 200배 정도 향상되었다. 이때 내부표준물질로서 N-acetylcysteine을 사용하였으며, MBB 유도체의 분리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tetrabutylammonium 이온을 counter 이온으로 선택하였다. 위의 조건의 이온쌍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0.08{\sim}8.33{\mu}g/mL$ 농도 범위에서 상관계수가 0.998 이상으로 좋은 직선성을 보여주고 있다. 재현성을 조사한 결과 세 가지 다른 농도에서 상대 표준 편차가 5% 이내로 나타났다. 이 방법은 혈장, 조직 등의 생체 시료중 GSH의 분석법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고체상추출법과 HPLC/MSD/FLD를 이용한 수질중의 페놀 분석 (Determination of phenol using solid-phase extraction and HPLC/MSD/FLD in water)

  • 이태준;박근영;표동진
    • 분석과학
    • /
    • 제28권6호
    • /
    • pp.370-376
    • /
    • 2015
  • Priority pollutant이며 페놀성화합물의 전구체인 페놀을 고체상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형광검출기와 질량분석기가 각각 장착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설정하여 보았다. 고체상추출은 고분자성물질이 충진된 Oasis HLB cartridge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때의 평균회수율은 87.0% 이었다. 형광검출기를 이용한 경우가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경우보다 검출한계가 낮았으나 선택성의 측면에서 질량분석기가 우수하였다.

HPLC-FLD 및 LC-MS/MS에 의한 식품 중 총아플라톡신 오염실태 조사 (A Survey of Total Aflatoxins in Foo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and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LC-MS/MS))

  • 장미란;이창희;조성혜;박준식;권은영;이은진;김소희;김대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88-493
    • /
    • 2007
  • 국내유통중인 곡류, 견과류 및 그 가공품 총 25품목, 393건의 시료에 대해 immunoaffinity column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총아플라톡신 오염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곡류 및 곡류가공품 6건, 견과류 및 견과류 가공품 37건에서 아플라톡신 오염이 확인되었으며 오염수준은 아플라톡신 $B_1$으로서 $0.04-2.65{\mu}g/kg$, 총아플라톡신으로서 $0.04-5.51{\mu}g/kg$ 범위로 나타났다. Immunoaffinity column 정제를 거쳐 HPLC-FLD로 분석한 결과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시료에 대해서 LC-MS/MS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모두 아플라톡신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곡류 및 견과류에 대한 아플라톡신 검출빈도 및 오염수준은 국내, 외 연구 결과와 유사하거나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국내 아플라톡신 기준 및 미국, CODEX에서 설정된 기준규격 이하로 검출되었다.

HPLC-FLD 및 LC-MS/MS에 의한 두류 중 제랄레논 오염실태 조사 (A Survey of Zearalenone in Bean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and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 장미란;이창희;이효정;김지연;손상혁;신춘식;김소희;김대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4-359
    • /
    • 2008
  • 국내유통 중인 대두, 붉은콩, 검은콩 녹두 등 6품목의 두류 총 127건을 immunoaffinity column 정제방법 및 HPLC-FLD을 이용하여 제랄레논에 대한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상관계수($R^2$) 0.999 이상으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2.0 ${\mu}g/kg$, 6.0 ${\mu}g/kg$, 회수율 82.2-98.4%로 나타났다. RSD가 0.82-6.40%로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모니터링 결과, 대두(백태) 27건 중 1건(3.7%)에서 37.62 ${\mu}g/kg$ 검출되었고 붉은콩(팥) 27건 중 12건 검출되어 44.4%의 검출율을 보였고 그 오염수준은 8.01-38.98 ${\mu}g/kg$이었다. 나머지 시료 검정콩 16건, 녹두 24건, 서리태(속청) 19건, 서목태(약콩) 14건에서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총 시료 127건 중 13건 검출되어 10.2%의 검출율을 보였고 그 오염수준은 8.01-38.98 ${\mu}g/kg$이었다, 검출시료 13건을 LCMS/MS로 확인한 결과 모두 제랄레논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두류의 검출빈도 및 오염수준은 유럽연합에서 설정된 기준규격 이하의 수준이었으나 곰팡이독소의 생성의 특이성을 고려한다면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오염실태 조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Monitoring of Aflatoxin $B_1$ in Livestock Feeds Using ELISA and HPLC

  • Han Eun-Mee;Park Hee-Ra;Hu Soo-Jung;Kwon Ki-Sung;Lee Hyo-Min;Ha Mi-Sun;Kim Kyung-Mi;Ko Eun-Jung;Ha Sang-Do;Chun Hyang-Sook;Chung Duck-Hwa;Bae D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43-646
    • /
    • 2006
  • Because of potential health hazards of aflatoxins for human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aflatoxin $B_1\;(AFB_1)$ in livestock feeds. A total of 249 samples of feeds collected in Korea were analyzed by DC-ELISA for qualitative analysis of $AFB_1$. Then, 27 samples that were verified to contain $AFB_1$ by DC-ELISA were quantitated by HPLC/FLD. HPLC/FLD analysis revealed that only one sample collected from a farm contained 11 ppb of $AFB_1$, whereas the other samples collected from feed companies did not contain $AFB_1$. The presence of $AFB_1$ was further confirmed by LC/MS analysis. TL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esult of the DC-ELISA was most likely due to possible contamination of other mycotoxins rather than $AFB_1$. In conclusion, HPLC/FLD analysis following DC-ELISA is necessary for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AFB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