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 system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8초

증폭시킨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ginsenoside Rh2, compound K의 융복합적 항암 및 항염효과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nvergence of ginsenoside Rh2, compound K isolated from amplified red ginseng)

  • 김영호;김종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285-29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증폭시킨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ginsenoside Rh2(Rh2)와 compound K(CK)의 융복합적 항염증 및 항암효과를 연구하여 홍삼 내 유용한 기능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Hep3B에서의 세포독성과 IL-6 유도 STAT3 루시퍼라아제 활성, B16F10과 Hacat 세포의 생존 농도를 측정하였고 Apoptosis와 관련된 분자의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FAC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Rh2, CK mixture가 10 ug/ml일 때 Hep3B 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고 IL-6 감소율이 102%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h2, CK mixture 50 uM에서 melanoma 세포인 B16F10과 human keratinocyte인 Hacat에서 독성을 보여 사멸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FACS 분석 결과 annexin V가 발현되지 않고 흑색종 세포와 keratinocyte가 탈착되면서 사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통하여 사멸되는 메카니즘이 anoikis 방식의 세포사멸로 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것에 대한 명확한 세포사 신호 체계 규명을 위하여 향후 세포부착 단백질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Inhibition of 2-deoxy-D-Glucose Transport of the Endogenous Glucose Transporters in Spodoptera frugiperda Clone 21-AE Cells by Using Hexoses

  • Lee Chong-K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87-492
    • /
    • 2005
  • The baculovirus/insect cell expression system is of great value in the study of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in mammalian glucose-transport proteins by site-directed mutagenesis and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these proteins for mechanistic and biochemical studies. Spodoptera frugiperda Clone 21 (Sf2l) cells grow well on TC-100 medium that contains $0.1\%$ D-glucose as the major carbon source, strongly suggesting the presence of endogenous glucose transporters. However,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perties of the endogenous sugar transporter(s) in Sf2l cells, although a saturable transport system for hexose uptake has been previously revealed in the Sf cells. In order to further examine the substrate and inhibitor recognition properties of the Sf2l cell transporter, the ability of hexoses to inhibit 2-deoxy-D-glucose (2dGlc) transport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inhibition constants $(K_i)$. The $K_i's$ for reversible inhibitors were determined from plots of uptake versus inhibitor concentration. Transport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D-mannose and D-glucose. Of the hexoses tested, L-glucose had the least effect on 2dGlc transport in the Sf2l cells, indicating that the transport is stereoselective. Unlike the human HepG2 type glucose transport system, D-mannose had a somewhat greater affinity for the Sf2l cell transporter than D-glucose, implying that the hydroxyl group at the C-2 position is not necessary for strong binding. However, epimerization at the C-4 position of D-glucose (D-galactose) resulted in a dramatic decrease in affinity of the hexose for the Sf2l cell transporter. Such a lowering of affinity might be the result of the involvement of the C-4 hydroxyl in hydrogen bonding.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Sf2l cells were found to contain an endogenous sugar transport activity that in several aspects resembles the human HepG2 type glucose transporter, although the insect and human transporters do differ in their affinity for cytochalasin B.

  • PDF

메주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Meju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박건영;이숙희;최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6-81
    • /
    • 2007
  • 메주의 헥산 및 메탄올 추출물과 그것을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들에 의한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항돌연변이 효과 및 SRB assay를 이용한 인체 암세포들의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OS chromotest 실험계의 경우, 첨가농도 $100{\mu}g/assay$에서 메주의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91%, 91%로 MNNG에 대하여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와 Hep 3B 인체 간암세포를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실험한 결과, 메주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은 첨가농도 $200{\mu}g/assay$에서 각각 93% 및 91%로 암세포 성장을 크게 저해시켰고 그 저해 효과는 디클롤메탄 분획물보다 더 높았다. 인체 위암세포인 AGS를 이용한 SRB assay을 이용한 억제 효과 실험에서 메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인체 위암 및 간암세포의 증식을 각각 64% 및 71%로 억제하여 분회물들 중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고 헥산 및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그 다음으로 억제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메주와 된장이 여러 종류의 미생물, 곰팡이류와 세균류들에 의해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재료인 콩에서는 없었던 혹은 함량이 적은 성분들이 생성되거나 증가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어 진다.

고에너지물리 데이타 그리드 시스템의 구현 (An Embodiment of High Energy Physics Data Grid System)

  • 조기현;한대희;권기환;김진철;양유철;오영도;공대정;서준석;김동희;손동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7호
    • /
    • pp.390-398
    • /
    • 2006
  • 고에너지 물리학 (HEP, High Energy Physics)은 물질의 근본 구성 입자와 상호 작용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학문이다. 2007 년에 시작하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 (CERN)의 대형강업자충돌기(LHC, Large Hadron Collider)의 CMS(Compact Muon Solenoid)실험에 참여하는 연구진은 2000여명이나 되며, 생산되는 데이타 양은 연간 수 PetaByte에 달할 예정이다. 그러므로 고에너지물리 실험에서 생산하는 데이타는 기존의 전산자원의 개념으로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고에너지물리 분야에서 자료의 계층적 구조(Tier-0, 1, 2) 및 데이타 그리드를 활용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고에너지물리 데이타 그리드 연구는 기존에 수행중인 고에너지물리 실험에도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응용의 한 분야로서 고에너지물리 데이타 그리드에 관한 연구를 보여준다.

IN VITRO DRUG METABOLISM BY A HUMAN P450 EXPRESSION SYSTEM USING VACCINIA VIRUS.

  • S.Ono;Ha, T.tanaka;H.Hotta;M.Tsutsui;F.J.Gonzalez;T.Aoyama;T.Satoh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53-163
    • /
    • 1994
  • P450s are a superfamily of heme-containing monooxygenases and important in the metabolism of numerous physiological substrates and foreign compounds.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ilers are at least 30 distinct human isoforms of P450. Four families containing numerous individual P450s are mainly responsible for metabolizing foreign compounds, A cDNA expression system in which individual human P450s are synthesized in cultured human hepatoma (Hep G2) cells infected with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containing human P450 cDNA has been constructed.

  • PDF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 임태진;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45-4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개머루덩굴 95%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농도는 0.42 mg/mL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ABTS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65 및 3.71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5 및 $100\;{\mu}g/mL$의 peroxyl radical 소거능은 각각 22.75 및 $131.25\;{\mu}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능은 각각 27.7 및 56.0%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5 및 2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5 및 2.06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mg/mL 농도의 첨가는 0.2 및 0.5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6.2 및 23.3%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적 탁주증자법으로 처리한 홍삼의 일부 항산화 및 항암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inseng Treated with Traditional Rice Wine Steam Process Method)

  • 예은주;김수정;박창호;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99-604
    • /
    • 2005
  • 본 연구는 인삼의 가공방법을 개발하고 제품을 다양화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전통주인 탁주로 인삼을 증자한 후 홍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항암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A1\~~A9$시료의 $60\%$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DPPH 라디칼 소거효과는 1,000 ppm에서 인삼의 증자 횟수와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특히 A3에서 $79.5{\pm}3.3\%$로 라디칼 소거율이 뚜렷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W.G는 $25.9{\pm}4.4\%$, R.G는 $12.9{\pm}1.1\%$, $A1\~A9$$26.2{\pm}0.1\~56.1{\pm}0.5\%$로 증자 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냈다. 인체유래 간암세포(Hep3B)에서의 항암효과로 실험에서 W.G는 에탄올 추출물 5,000 ppm으로 처리했을 때, $19.6{\pm}4.5\%$로 나타나 증식 억제율이 미미하였으나, R.G는 에탄을 추출물 5,000 ppm으로 처리했을 때 $54.5{\pm}6.1\%$를 나타냈으며, A9에서는 $96.3{\pm}2.4\%$로 높은 항암효과 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탁주를 이용한 증자홍삼이 일반 홍삼 및 백삼보다 본 실험의 항산화 및 항암 system(in vitro)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더 높은 항암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y of Soybean Fractions Extracted by Solvent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68-1373
    • /
    • 2007
  • 대두를 먼저 헥산(Hex)으로 지방을 제거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극성이 다른 용매인 디클로로메탄($CH_2Cl_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부탄올(BuOH)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를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MeOH)의 분획물들 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은 2.5 mg/plate 첨가농도에서 각각 83%로 상당히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는 5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분획물들의 경우 항돌연변이 효과가 낮았다. 한편 MNNG의 경우, $AFB_1$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67%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중간 분획물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은 각각 63%, 49%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위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66%로 위암세포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디클로로메탄($CH_2Cl_2$)과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에는 각각 54% 및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의 경우, 대두 메탄을 추출물을 2 mg/assay 투여했을 때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도 분획물들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73%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결장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77%의 결장암세포의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분획물들 중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효과가 가장 높았으므로 이 분획물에 주로 isofavone류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더욱 정제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Expression of Polyhistidine-Containing Fusion Human HepG2 Type Glucose Transport Protein in Spodoptera Cells and Its Purification Using a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

  • 이종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1-206
    • /
    • 2010
  • In order to develop procedures for the rapid isolation of recombinant sugar transporter in functional form from away from the endogenous insect cell transporter, gene fusion techniques were exploited. Briefly, BamH1-digested human HepG2 type glucose transport protein cDNA was first cloned into a transfer vector pBlueBacHis, containing a tract of six histidine residues. Recombinant baculoviruses including the human cDNA were then generated by allelic exchange following transfection of insect cells with wild-type BaculoGold virus DNA and the recombinant transfer vector. Plaque assay was then performed to obtain and purify recombinant viruses expressing the human transport protein. All the cell samples that had been infected with viruses from the several blue plaques exhibited a positive reaction in the immnuassay, demonstrating expression of the glucose transport protein. In contrast, no color development in the immunoassay was observed for cells infected with the wild-type virus or no virus. Immunoblot analysis showed that a major immunoreactive band of apparent Mr 43,000~44,000 was evident in the lysate from cells infected with the recombinant baculovirus. Following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fusion protein with the metal-binding domain and enterokinase cleavage site, the fusion protein was recovered by competition with imidizole using immobilized metal charged resin. The leader peptide was then removed from the fusion protein by cleavage with porcine enterokinase. Final separation of the recombinant protein of the interest was achieved by passage over $Ni^{2+}$-charged resin under binding conditions. The expressed transport protein bound cytochalasin B and demonstrated a functional similarity to its human counterpart.

Studies on the Possible Mechanisms of Protective Activity Against $\alpha$-Amanitin Poisoning by Aucubin

  • Lee, Dong-Hee;Cho, In-Goo;Park, Moon-Soo;Kim, Ki-Nam;Chang, Il-Moo;Mar, Woong-ch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55-63
    • /
    • 2001
  • Aucubin, an irdoid g1ucoside,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it has a stimulating effect on $\alpha$-amanitin excretion in $\alpha$-amanitin intoxicated rats, and whether there is binding activity to calf thymus DN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of $\alpha$-amanitin in rat urine allowed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alpha$-amanitin concentration with a detection limit of 50${mu}g/ml$. In this system, a group treated with both $\alpha$-amanitin and aucubin showed that o(-amanitin was excreted about 1.4 times faster than in the $\alpha$-amanitin only treated group. Our previous results showed that the toxicity of $\alpha$-amanitin is due to specific inhibition of RNA polymerase activity and the resultant blockage of the synthesis of certain RNA species in the nucleus. However, no significant activity change on RNA polymerase from Hep G2 cells was observed when aucubin was treated with $\alpha$-amanitin at any concentration tested. Nevertheless, aucubigenin inhibited both DNA polymerase (IC50, 80.5${mu}g/ml$) and RNA polymerase (IC50, 135.0${mu}g/ml$) from the Hep G2 cells. The potential of both $\alpha$-amanitin and aucubin to interact with DNA were examined by spectrophotometric analysis. $\alpha$-Amanitin showed no significant binding capacity to calf thymus DNA, but aucubin was found to interact with DNA, and the apparent binding constant ($K_{app}$) and apparent number of binding sites per D7A phosphate ($B_{app}$) were 0.45$0.45{\times}$$10^4$ $M^{-1}$ and 1.25,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