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

검색결과 1,406건 처리시간 0.025초

SK-HEP-1 사람 간세포에서 Protein kinase C 신호전달체계를 통한 $인삼사포닌-{Rg_1}$의 DNA 합성 촉진 효과 (Protein kinase C-mediated Stimulatory Effect of $Ginsenoside-{Rg_1}$ on the Proliferation of SK-HEP-1)

  • 공희진;이광열;정은아;이유희;김신일;이승기
    • 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61-665
    • /
    • 1995
  • Ginsenoside-Rg$_{1}$(G-Rg$_{1}$) has been shown to stimulate DNA synthetic activity in SK-HEP-1 cells. This study was therefore designed to determine in SK-HEP-1 cells whether the stimulatory effect of G-Rg$_{1}$ may be mediated by protein kinase C (PKC) which is known to play a key role in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leading to the cell proliferation. Using the tn situ PKC assay method, the PKC enzyme activity was determined in SK-HEP-1 cell cultures in response to G-Rg$_{1}$ at 3*10$^{-5}$ M or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at 10$^{-6}$ M which in the enzyme activity by 1.5- and 7-fold, respectively. Furthermore, G-Rg$_{1}$, was also able to synergistically increase the enzyme activity by 11-fold m the cell cultures in the presence of PMA. These stimulatory effects of G-Rg$_{1}$ or PMA on the DNA synthetic activity and the PKC activity were ablished by a specific PKC inhibitor, GF109203X.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imulatory effect of G-Rg$_{1}$ on the DNA synthetic activity may be partly due to stimulation of PKC-medi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 leading to the proliferation of SK-HEP-1 cells.

  • PDF

인간 간조직세포(HepG2 Cells)에 대한 한약조성물 KOCO-P1의 효과 연구 (Study on Biological Effect of Multi-Herbal Drug KOCO-P1 on Human Hepatocytes (HepG2))

  • 박완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9-154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Effect of multi-herbal drug 'KOCO-P1' on human hepatocyte HepG2 cells. Methods : Multi-herbal drug 'KOCO-P1' was composed of Ginseng Radix, Astragali Radix, Polygonati Rhizoma, Liriopis Tuber, and Scrophulariae Radix. Cytotoxicity and cytoprotective activity of KOCO-P1 was verificated by MTT assa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KOCO-P1 against EtOH, Nicotine was inspected by Hydroperoxide assay. Results : KOCO-P1 showed no cytotoxicity on HepG2 cells for 24, 48 hours. KOCO-P1 at 50 ${\mu}g/mL$ reduced the production of H2O2 in HepG2 cells by EtOH. KOCO-P1 at 50 ${\mu}g/mL$ reduced the production of $H_2O_2$ in $HepG_2$ cells by Nicotine. Conclusions : KOCO-P1 at the low concentration could be supposed to have antioxidative effect on human hepatocyte with no cytotoxicity.

  • PDF

감잎 추출물이 HepG2 인간 간암 세포의 proteasom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immon leaf extracts on proteasome activity in HepG2 human liver cancer cells)

  • 김소영;윤현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93-397
    • /
    • 2019
  • Persimmon leaf extract (PSE) 는 HepG2 인간 간암 세포에서 proteasome의 활성과 $NF-{\kappa}B$ 활성화를 억제하였고 cell cycle에서 G2/M기와 sub-G1기의 cell population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PSE의 식물생리활성물질을 proteasome 활성 억제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Involvement of NOX2-derived ROS in human hepatoma HepG2 cell death induced by Entamoeba histolytica

  • Young Ah Lee ;Myeong Heon Sh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88-396
    • /
    • 2023
  • Entamoeba histolytica is an enteric tissue-invasive protozoan parasite causing amoebic colitis and liver abscesses in humans. Amoebic contact with host cells activates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that lead to host cell death via generation of caspase-3, calpain, Ca2+ elev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various NADPH oxidases (NOXs) are responsible for ROS-dependent death of various host cells induced by amoeba.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specific NOX isoform involved in ROS-dependent death of hepatocytes induced by amoebas. Co-incubation of hepatoma HepG2 cells with live amoebic trophozoites resulted in remarkably increased DNA fragmentation compared to cells incubated with medium alone. HepG2 cells that adhered to amoebic trophozoites showed strong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fluorescence, suggesting intracellular ROS accumulation within host cells stimulated by amoebic trophozoites. Pretreatment of HepG2 cells with the general NOX inhibitor DPI or NOX2-specific inhibitor GSK 2795039 reduced Entamoeba-induced ROS generation. Similarly, Entamoeba-induced LDH release from HepG2 cells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DPI or GSK 2795039. In NOX2-silenced HepG2 cells, Entamoeba-induced LDH release was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with controls.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pport an important role of NOX2-derived ROS in hepatocyte death induced by E. histolytica.

간암 세포주에서의 Indole-3-Carbinol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주기 억제 기전 (Inhibitory Mechanisms of Cell Cycle Regulation Induced by Indole-3-carbinol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 김동우;이광수;김민경;조율희;이철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1-185
    • /
    • 2001
  • 유방암 세포주에서는 우수한 항암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indole-3-carbinol을 HepG2세포주에 시간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cell growth inhibition을 확인하였으며, $IC_{50}$ 값은 48시간배양에서 $446\mu$M 72시간 배양에서 444$\mu$M로 나타났다. $400\mu$M의 I3C을 투여하고, 24, 48, 72시간에 HePG2 세포주의 cell cycle pattern을 분석한 결과, G1 phase에서 P21의증가와 함께 Cdk 6와 cyclin D의 확연한 감소와 Pb protein의 hypo-phosphorylation을 확인하였다. 반면 G2 phase에서는 I3C의 직접적인 억제로 인해 24시간 후부터 Cdc2와 cyclin B1가 급격히 감소하는것을 확인하였다. Flow cytomery 분석결과 I3C 처리 24시간 뒤 G2 arrest (25%)가 발생하였으며, 72시간이 지난후 G1 arrest (53%)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I3C의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의 cell cycle arrest가 apoptosis를 유발하는지를 알고자 caspase 3 Bcl2 Bax protein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아무런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즉 I3C은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지 못한다는것을 확인하였따. 결론적으로 I3C은 HepG2 세포주에서 G1와 G2 phase에서 cell cycle arrest는 발생시키나, 특이적으로 apoptosis 와는 연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C형 간염바이러스 코어 단백질에 의한 p53 활성화와 프로모터 과메틸화를 통한 E6AP 발현 억제 (Hepatitis C Virus Core Protein Activates p53 to Inhibit E6-associated Protein Expression via Promoter Hypermethylation)

  • 곽주리;장경립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07-1015
    • /
    • 2018
  • E6AP (E6-associated protein)는 C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의 코어 단백질 유비퀴틴화와 프로테오좀 분해를 유도하여 캡시드 조립을 저해함으로써 HCV 복제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HCV 코어 단백질은 숙주의 항바이러스 방어계에 대항하고 자신의 유비퀴틴-의존적 프로테아좀 분해를 막기 위하여 DNA 메틸화를 통하여 E6AP 발현을 저해하는 전략을 진화과정에서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CV 코어 단백질이 E6AP 발현을 저해하는 기전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HCV 코어 단백질은 HepG2 세포에서 DNA 메틸화 효소들인 DNMT1, 3a 및 3b의 단백질 수준과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프로모터 과메틸화를 통하여 E6AP 발현을 저해하였지만 p53를 발현하지 않는 Hep3B 세포에서는 이러한 효과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Hep3B 세포에 p53만 과발현시키면 HCV 코어 단백질이 없더라도 DNMT가 활성화되고 프로모터 과메틸화를 통하여 E6AP 발현이 저해되었다. 또한 p53 녹다운 및 과발현 실험을 통하여 p53 활성화가 HCV 코어 단백질의 효과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Hep3B 보다 HepG2 세포에서 낮은 수준의 유비퀴틴화된 HCV 코어 단백질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HCV 코어 단백질은 p53-의존적으로 자신의 유비퀴틴-매개성 프로테아좀 분해를 저해한다.

간암세포주(Hep3B cell)에서 FK506의 항암효과에 대한 dexamethasone의 길항효과 (Antagonic Effects of Dexamethasone on FK506-induced Antitumor Effects in Hep3B Cells)

  • 박혜민;이세진;김선영;고현규;전설희;김상진;강형섭;김진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9-554
    • /
    • 2011
  • FK506은 말기 간암환자의 간이식 후 널리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이다. Dexamethasone은 세포독성 암 치료에서 오심 방지, 정상세포의 보호와 기타 이유 등의로 빈번하게 병용처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암세포주(Hep3B)에서 FK506의 항암효과와 FK506에 의한 항암효과에 대한 dexamethasone의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세포의 손상은 세포 생존성 평가와 LDH 및 세포내 ROS 양의 측정으로 평가 하였다. 세포내 칼슘 농도([$Ca^{2+}$]i)와 JNK, Bax 단백질의 발현 정도도 평가하였다. FK506의 처치는 Hep3B의 세포사를 유도하였으며 세포생존성의 감소와 LDH, ROS 및 [$Ca^{2+}$]i 를 증가시켰다. FK506은 Bax와 JNK 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Bcl-2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Dexamethasone 처치 그 자체는 세포생존성, LDH와 ROS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dexamethasone과 FK506의 병용처치는 FK506에 의한 LDH 방출, ROS 생성 및 JNK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간암세포주에서 FK506은 항암효과를 가지지만 dexamethasone의 병용처치는 FK506에 의한 항암효과를 길항한다.

Millettia erythrocalyx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Millettia erythrocalyx)

  • 진수정;오유나;손유리;최선미;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0-57
    • /
    • 2018
  • Millettia erythrocalyx는 콩과(Fab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중국, 태국, 인도 등 열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항산화능과 항암활성 등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 erythrocalyx의 에탄올 추출물(EEME)을 사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인체간암세포주인 HepG2에 대한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통해 분석한 결과, EEME의 $IC_{50}$$2.74{\mu}g/ml$로 뛰어난 항산화능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EEME 농도 의존적으로 HepG2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EEME의 HepG2 세포 사멸 효과의 기전을 분석하기 위하여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EEME 농도의존적으로 SubG1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Annexin V 염색과 DAPI 염색을 통해 apoptotic 세포 및 apoptotic body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한 결과, EEME 처리에 의해 사멸수용체인 Fas와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caspase-3, -8, -9가 활성화되고 최종적으로 PARP가 분해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EEME는 내인성 및 외인성 경로를 통한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HepG2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활성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HepG2 세포의 포스포리파제 D 활성과 자유 지방산 방출에 대한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 (Effect of Diphtheria Toxin on the Phospholipase D activity and Free Fatty Acid Release in HepG2 Cell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2-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의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D와 유리된 지방산(Free fatty acid)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질변화는 pH 5.1에서 최고 값을 나타냈으며, 이 pH에서 포스포리파아제 D의 활성을 3.5배 가량, 유리된 지방산의 방출은 5배 정도 증가되었다. 이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세포막이 교란되어 재배열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세포막을 무작위로 교란시키는 디지토닌의 영향이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보다 중성 pH에서 4배 이상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선택적인 교란 현상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런 세포막 교란의 연유를 밝히고자 세포막 구멍 형성 저해제인 cibacron blue와 세포막 융합 펩티드를 갖고 있는 hemagglutinin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Cibacron blue는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지질 변화를 50% 정도 저해시켰으며, hemagglutinin에 의한 지질변화는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과 유사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세포막 교란이 구멍형성과 독소의 소수성 펩티드가 세포막에 삽입되는 과정이 서로 연계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그 외 일련의 실험으로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HepG2 세포의 투과성은 상승시켰으나, 세포의 생존능력은 상당히 높게 유지되었고 DNA 토막내기 같은 세포의 괴사는 일어나지 않았다. 이런 조건하에서 디프테리아 독소는 산성 pH에서 HepG2 세포의 지질의 변화를 가져 온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Echinacea angustifolia 메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및 항산화 효과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Echinacea angustifolia)

  • 이준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1-318
    • /
    • 2005
  • Echinacea angustifolia의 부위별(꽃봉오리, 잎, 줄기 및 뿌리) 메탄을 추출물의 암세포(HepG2, 3LL, HL60, L1210)를 대상으로 한 항암 활성과 전자공여능을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에키네시아 메탄을 추출물의 간암세포인 HepG2 cell 대한 MTT assay는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인간유래 백혈암세포인 HL60 cell의 경우에 잎과 뿌리 추출물은 저농도에서부터 독성효과가 컸고, 줄기와 꽃봉오리는 저농도에서는 독성효과가 낮았으나 고농도로 갈수록 독성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폐암세포인 3LL cell과 마우스 유래 백혈암세포인 L1210 cell에 대한 경우는 세포독성효과가 없었다. 2. Hemacytometer에 의한 HepG2 cell의 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배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식억제 효과가 증가되었다. 3. HepG2 세포주의 형태학적 변화에서 대조군은 암세포가 조밀하게 중첩되어 증식되었으나 시료를 0.5 m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세포의 결속력이 감소되어 세포주위가 흐트러지고 세포가 사멸된 것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4. 전자공여능의 수준은 부위에 따라 최고의 EDA를 나타내는 농도가 달랐으며, 뿌리와 줄기부위는 저농도에서도 매우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