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

검색결과 1,404건 처리시간 0.035초

와송(瓦松)이 HepG2 cell의 세포분열 및 관련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on HepG2 Cell Proliferation and Oncogene Expression)

  • 문영훈;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8-59
    • /
    • 2005
  •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WS on HepG2 cell cycle and expression of related genes. Methods : The MTT assay, Cell counting analysis,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Flow cytometric analysis, Quantitative RT-PCR were studied. Results : WS inhibited HepG2 cell proliferation in low concentration$(1-10\;{\mu]g/ml)$ which did not cause direct cytotoxicity, with dose-dependant manner. WS in-hibited DNA synthesis as well. Flow cytometric analysis on the HepG2 cell showed G2/M phase arres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S inhibits HepG2 cell proliferation not by the gene regulation but by G2/M phase arrest in the cell cycle. Thus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 of WS in G2/M phase regulation are thought to be needed.

  • PDF

Determination of Heparin Using Norfloxacin-cerium Complex as a Fluorescence Probe by Spectrofluorimetry

  • Patil, Shailaja R.;Mote, Umesh S.;Patil, Shivajirao R.;Kolekar, Govind 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3034-3038
    • /
    • 2009
  • A simple, rapid, practical and sensitive spectofluorimetric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amount of heparin (Hep).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we studied the interaction between NFLX-Ce$^{3+}$-Hep complex by using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a. It was observed that Hep remarkably enhance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NFLX-Ce$^{3+}$ complex at ${\lambda}$= 356 nm in the buffer solution of pH = 7.60 and the enhancement effect is shown to relate with the concentration of Hep. The linear range and detection limit for the determination of Hep was obtained. By the Rosenthal graphic method, the association constant (K) and binding numbers (N) of Hep with probe were investigated. This method is relatively free of interference from coexisting substances and successfully applied for the determination of heparin in heparin sodium injection samples. A suitable mechanism of fluorescence enhancement between NFLX-Ce$^{3+}$ and the NFLX-Ce$^{3+}$-Hep systems were proposed and discussed.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김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통한 증식 억제 및 유전자 발현 양상 (Anti-proliferating Effects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through Antioxidant Activity of Porphyra yezoensis Fractions on Human HepG2 Cell Lines)

  • 오윤정;김정민;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6-186
    • /
    • 2018
  • 김(Porphyra yezoensis, Laver)의 MeOH 추출에 의한 유기용매 별 분획물에서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간암세포주 HepG2의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CHCl_3$ 분획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0.34{\mu}g/mg$으로 물 분획물의 $13.08{\mu}g/mg$ 보다는 다소 적게 나타났으나, DPPH 자유라디칼 소거에 의한 전자공여능(EDA)에서 나타난 $ED_{50}$$16.96{\mu}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HCl_3$과 EtOAc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HepG2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900{\mu}g/ml$$CHCl_3$ 분획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90%의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 한편 $CHCl_3$ 분획물이 처리된 HepG2 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microarray로 확인하였다. P. yezoensis의 효능과 연관지은 gene ontology 분석으로 비타민 D 합성 과정, 항균작용에 대한 반응 및 영양물질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유의 유전자들을 탐색하였다. 유의 유전자로 IL6R와 CYP1A1를 선정하였고, 이들 유전자의 상위 조절자는 ARNT 유전자가 선정되었다. 또한 50 및 $100{\mu}g/ml$$CHCl_3$ 분획물이 처리된 HepG2 세포에서 IL6R와 CYP1A1 단백질의 발현과 상위 조절자인 ARNT의 활성을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였다.

유근피(楡根皮) 추출액(抽出液)이 HeoG2 간암세포(肝癌細胞)에 미치는 항암효과(抗癌效果) 및 기전(機轉)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Antitumor Effect and Mechanism of Cortex ulmi pumilae Water Extract on HepG2 Hepatoma cell)

  • 최수덕;박용권;김강산;강병기;한상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66
    • /
    • 2000
  • Objectives :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Cortex ulmi pumilae (a traditional medicine for cancer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on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were investigated in human liver origm hepatoma cell lines, HepG2. Methods : The death of HepG2 cells was markedly induced by the addition of extracts of Cortex ulmi pumila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apoptotic characteristic ladder pattern of DNA strand break was not observed in cell death of HepG2. In addition, it was not shown nucleus chromatin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under hoechst staining. However, by the using annexin V staining assay, externalizations of phosphatidylserine in HepG2 cell which were treated with Cortex ulmi pumilae extracts were detected in the early time (at 9 hr after extract treatment). Furthermore, LDH release was not detected in this early stage. Therefore, Cortex ulmi pumilae extracts-induced cell death of HepG2 cells is mediated by apoptotic death signal processes. Result : The activity of caspase 3-like proteases remained in a basal level in HepG2 cells which treated with the extract of Cordyceps sinensis. However, it was markedly increased in HepG2 cells which treated with two extracts of Cortex ulmi pumilae (C.U.P.-C, C.U.P.-K) which were differently extracted (respectively, 2.3 and 3.3 fold). On a while, the phosphotransferase activities of JNK1 was markedly induced in HepG2 cells which were treated with two extracts of Cortex ulmi pumilae. On the contrary, the activation of transcriptional activator, activating protein1(AP-1) and NF-kB were severely decreased by these two extracts of Cortex ulmi pumilae (C.U.P.-C, C.U.P.-K). In addition, antioxidants (GSH and NAC) and intracellular $Ca2^+$ level regulator (Bapta/AM and Thapsigargin) did not affect Cortex ulmi pumilae extracts-induced apoptotic death of HepG2 cells. Conclusions :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wo extracts of Cortex ulmi pumilae (C.U.P.-C, C.U.P.-K) induces the apoptotic death of human liver origin hepatoma HepG2 cells via activation of caspase 3-like proteases as well as JNK1, and inhibition of transcriptional activators, AP-1 and $NK-{\kappa}B$.

  • PDF

인체 간암세포에서 β-lapachone 처리에 의한 Tight Junction 관련 유전자의 변화 ((β-lapachone Regulates Tight Junction Proteins, Claudin-3 and -4,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김성옥;권재임;김기영;김남득;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98-1302
    • /
    • 2007
  • ${\beta}-lapachone$은 남미지역에서 자생하는 Tabebuia avellanedae라는 나무의 수피에서 동정된 quinone계 물질로서 다양한 인체암세포에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beta}-lapachone$의 암 전이 억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HepG2 및 Hep3B 인체 간암 세포의 전이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beta}-lapacho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TT assay 및 세포형태변화 관찰 결과에서 ${\beta}-lapachone$ 처리에 따라 HepG2와 Hep3B 세포들은 ${\beta}-lapachone$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그 형태적 변형도 동반하였다. ${\beta}-lapachone$처리에 의한 암 전이 지표가 되는 IGF-lR, Tjs (ZO-1, claudin-3,-4) 및 Tj 조절인자(${\beta}-catenin$)의 발현을 RT-PCR과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beta}-lapachone$ 처리가 IGF-1R의 발현 억제와 Tj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유도함으로써 ${\beta}-lapachone$이 Tj를 강화하여 암세포의 전이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체 간암세포에서 ${\beta}-lapachone$의 항전이 작용의 이해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Hep3B 세포에서 베르베린은 DNA methyltransferase3b 억제를 통해 p53을 발현시켜 세포사멸을 유도 (Berberine Induces p53-Dependent Apoptosis through Inhibition of DNA Methyltransferase3b in Hep3B Cells)

  • 김대연;김선형;정희태;라창식;이기종;정배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69-77
    • /
    • 2020
  • 종양 억제 유전자 p53은 인간 간암세포 Hep3B에서는 불활성화되어 있다. 베르베린(berberine)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우리는 베르베린을 처리한 Hep3B 세포에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지를 조사하였고 이 세포사멸이 p53과 DNA methyltransferase의 발현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MTT 분석을 통하여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세포사멸은 각각 Annexin V flow 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베르베린이 처리된 세포에서 DNMT 효소 활성, mRNA 발현, 단백질 발현 정도가 검사되었으며, p53 단백질 발현은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해 검사되었다. 베르베린 처리는 시간 및 용량 의존적으로 Hep3B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켰다. 베르베린 처리 시 DNMT3b의 활성 정도, mRNA 발현 그리고 단백질 발현 정도가 모두 감소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Hep3B에서는 비활성인 p53 단백질의 발현은 DNMT3b의 감소와 동시에 증가했다. ERK의 발현은 변화가 없었으나, P-ERK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Hep3B 세포에 베르베린의 처리는 DNMT3b의 발현을 감소시켜서 종양 억제 유전자인 p53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세포사멸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베르베린이 간암 세포의 증식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heme oxygenase-1 발현에 대한 diallyl disulfide의 효과 (Effect of Diallyl Disulfide on Heme Oxygenase-1 Expression in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 김강미;이상권;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46-1051
    • /
    • 2011
  • Dially disulfide (DADS)는 마늘의 주요한 유기 황화합물 성분으로서 다양한 약리 작용을 나타낸다. 최근 DADS가 항염증과 항동맥경화 작용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을 유도한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고, 이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DADS가 세포 내 항산화 인자인 glutathione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일종인 HO-1의 발현을 직접 유도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DADS의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HO-1의 발현에서의 효과 및 그 전사인자들의 작용에 관여하는지를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조사하였다. 배양 중인 HepG2 세포에서 DADS는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고, 전사인자 Nrf2의 발현을 약하게 유도하였으나 HO-1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ADS는 HO-1 유도제인 CoPP와 hemin에 의해 자극된 HepG2 세포의 HO-1 발현의 증가를 단백질 수준에서 강력하게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ADS는 CoPP에 의한 HO-1 유전자의 mRNA 수준의 전사에는 억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Nrf2와 small Maf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핵 내에 축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DADS는 단독으로 HO-1 발현을 유도하지 못하고, HO-1 유도제에 의한 HO-1 유전자의 발현과정에서는 전사단계가 아닌 번역단계에서 역할을 함으로써 HO-1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항산화 효소인 HO-1의 활성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사멸에 저항하게 하는데, DADS는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이 효소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및 redox 변화에 따른 암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HEp2 세포에서 BCH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기전 (Mechanism of Growth Inhibition by BCH in HEp2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최봉규;정규용;조선호;김춘성;김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55-560
    • /
    • 2008
  •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HEp2 세포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인 BCH의 암세포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와 세포성장 억제기전을 밝히기 위해 HEp2 세포에서 uptake 실험, MTT 분석, DNA fragmentation 분석 및 immunoblotting 등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인 BCH는 L-leucine uptake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IC_{50}$$ 51.2{\pm}3.8{\mu}M$로 산출되었다. BCH는 HEp2 세포의 성장을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BCH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DNA fragmentation 현상은 볼 수 없었다. BCH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procaspase-3과 procaspase-7의 proteolytic cleavage 현상은 볼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HEp2 세포에서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 BCH는 LAT1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성장에 필수적인 L-leucine 등 중성아미노산의 세포 내 고갈을 유도함으로써 HEp2 세포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곰취 유래 3,5-Dicaffeoylquinic Acid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3,5-Dicaffeoylquinic Acid Isolated from Ligularia fischeri against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 박선영;김거유;주진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86-1292
    • /
    • 2017
  • 본 연구는 곰취에서 분리한 3,5-dicaffeoylquinic acid(3,5-DCQA)의 간세포에 대한 보호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소 유전자 발현량 및 간 기능 지표 효소(LDH, GGT, GOT)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 3,5-DCQA를 10, 20 및 $30{\mu}g/mL$ 농도별로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주요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감소한 SOD-1, SOD-2, CAT 및 GPx의 mRNA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epG2 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증가한 주요 간기능 지표 효소인 LDH, GGT 및 GOT 활성이 3,5-DCQA(10, 20, $30{\mu}g/mL$)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곰취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인 3,5-DCQA는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관련 기능성 식품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한 3,5-DCQA의 추가적인 기능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Home exercise program adherence strategies in vestibular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 Gaikwad, Shilpa B.;Mukherjee, Tatri;Shah, Parita V.;Ambode, Oluwaseun I.;Johnsonb, Eric G.;Daher, Noha S.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2호
    • /
    • pp.53-62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investigate for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home exercise program (HEP) adherence in vestibular rehabilitation (VR). Design: Systematic review.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used to improve HEP adherence of patients in VR. Six databases, Academic Search Premier, Cochrane Library, CINAHL, PUBMED, PsycINFO, and Web of Science were searched from their inception to December 31, 2015. The keywords used for search were 'home program', 'home intervention', 'compliance', 'adherence', 'vestibular rehabilitation', 'motion sickness', and 'motion sensitivity'. Results: A total of eight studies were selected to be included in the review. There was 95.2% agreement between the two reviewers who reviewed the studies using a quality assessment tool. The overall inter-rater agreement (${\kappa}$=0.73) showed good agreement between the reviewers. Strong evidence was identified for 3 major categories of effective HEP adherence strategies, 1) providing patient with written summary of HEP; 2) asking patient to maintain a record of HEP and symptoms; and 3) providing tele-rehabilitation in form of email and/or telephone support along with in person treatment sessions. Also, based on strong evidence, computerized technology was not found to be superior to other strategies for improving patients' HEP adherence in VR. Conclusions: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improving HEP in VR include written summary of exercise, maintenance of log of HEP and symptoms and tele-rehabilitation along with in person treatment se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