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FA ratio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The Characteristics of Soil Organic Matter

  • You Sun-Jae;Kim Jong-gu;Cho Eun-Il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soil organic matter (SOM) and partition coefficient $(K_{DOC})$. Humic substances (HS) from eight soils of varying properties were extracted by two different methods. Th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ion was stabilized in 22hrs. The ratio of UV absorbance at 465nm and 665nm (E4/E6 ratio) for HS were similar pattern for 8 soils. The extraction with increasing pH increased dissolution of SON. The ratio of organic carbon (OC) associated with HA and FA (the HA:FA ratio) was varied widely in accordance with the soils and was highly correlated to OC $content(\%)$ of the soils. in modeling metal speciation in soils and soil solutions, assumptions that all DOC in soil solution is associated with FA and that HA:FA ratio in SOM is constant have been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alidity of these assumptions is questionable. By sequential pH extraction, the $K_{DOC}$ showed in a linear correlation with pH.

피트모스에서 추출한 휴믹물질(휴믹산, 풀빅산, 휴민)의 화학적 및 분광학적 물질특성 규명 (Chemical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Peat Moss and Its Different Humic Fractions (Humin, Humic Acid and Fulvic Acid))

  • 이창훈;신현상;강기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4호
    • /
    • pp.42-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산 피트 모스(Canadian Sphagnum peat moss)시료로부터 산${\cdot}$염기 침전법을 이용하여 휴믹산(p-HA), 풀빅산(p-FA), 휴민(p-Humin)을 순수분리 하였고, 화학적(원소분석, pH 적정) 및 분광학적(적외선 및 핵자기공명 분광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피트모스와 각 휴믹 성분의 특성(원소성분비, 양성자교환용량(PEC), 작용기 및 분자구조)을 규명하였다. 또한, Cd(II)을 흡착시킨 p-Humin의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휴믹분자의 금속이온 결합자리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특성분석 결과는 문헌에 제시된 토양 휴믹물질의 특성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기물 집적 층인 피트 모스에 존재하는 휴믹물질의 친환경적 응용에 필요한 기초 물질 특성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순수분리 결과, p-Humin 및 p-HA와 p-FA의 함량은 피트 모스 전체유기물 함량($957{\pm}32g/kg$)의 각각 $76\%,\;18\%,\;3\%$로 분포하였으며, 원소 성분비는 p-Humin이 $C_{1.00}H_{1.52}O_{0.79}N_{0.01}$로서 p-HA($C_{1.00}H_{1.09}O_{0.51}N_{0.02}$), p-FA($C_{1.00}H_{1.08}O_{0.65}N_{0.01}$)에 비하여 H/C와 (N+O)/C 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pH 적정분석을 통한 산/염기 특성 분석결과, 피트 모스 휴믹 분자에는 서로 다른 환경에 있는 두 종류의 산성 작용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PEC(meq/g) 값은 p-FA(4.91) >p-HA(4.09) >p-Humin(2.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결과, 피트모스 휴믹물질의 작용기 기본 특성은 기존 토양 휴믹물질과 유사하였으며, 금속이온 주요 결합작용기는 -COOH임을 확인하였다. 피트 휴믹 분자의 탄소 골격은 전반적으로 낮은 휴믹화 단계의 물질 특성을 보였으며, $^{13}C$-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p-Humin과 용해성 휴믹 성분(p-HA, p-FA)의 분자구조 특성의 차이점을 밝힐 수 있었다.

논 토양에서 석탄회와 석고의 혼합제를 활용한 인산유출 저감 (Effects of Fly Ash and Gypsum Mixture on Reducing Phosphorus Loss from Paddy Soil)

  • 이용복;이슬비;오주환;이창훈;홍창오;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1
    • /
    • 2008
  • 농경지 인산유출 저감을 위한 석탄회-석고의 적정혼합비를 실내시험을 통해서 선발하고 이를 논토양에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석탄회-석고 혼합제 시용은 두 토양(LS, SiL)에서 토양 중 dissolved reactive P(DRP) 함량을 현저히 감소 시켰다. 그러나 석탄회-석고 혼합비 75:25, 50:50 및 25:75 처리간에 토양 중 DRP 감소 효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석탄회-석고 75:25 혼합제 0, 20, 40, 60 Mg $ha^{-1}$를 논 토양에 시용하여 벼 재배 기간동안 DRP 함량과 수확 후 형태별 인산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혼합제 시용량 증가에 따라서 토양 중 DRP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수확 후 토양 중 Ca-P 함량은 혼합제 시용량 증가에 따라서 증가되었다. 그리고 혼합제 시용량 증가에 따라서 토양 중 유효인산, 유효규산 및 치환성 칼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석탄회-석고 혼합제는 토양 중 인산의 용해도를 감소 시켜 농경지로부터 인산유출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토양 비옥도 증진에 우수한 제재로 평가되었다.

초고층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한 고강도콘크리트 및 매스콘크리트의 최적배합선정 및 민감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ice of Optimal Mixtures and Sensibility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and Mass Concrete to apply the High Rising Building)

  • 이상수;송하영;김을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3-159
    • /
    • 2005
  • This study is to choose the optimal mixture and to analyze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and mass concrete to apply the high rising building. The main experimental variables were water/binder ratio $39\%,\;33\%,\;35\%\;and\;37\%$,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5\%,\;10\%\;and\;15\%$, in the high strength concrete and water/binder ratio $39\%,\;41\%\;and\;43\%$,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10\%,\;20\%\;and\;30\%$, in the man concret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principal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lump(or slump flow) and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elapsed time 30 minutes. 2) The optimal mixture conditions are W/B $40\%$, FA $25\%$ in the mass concrete and W/B $33.4\%$, FA $15\%$ in the high strength concrete. 3) The ranges of sensibility are satisfied in the moisture content ${\pm}l\%\;and\;S/a\;{\pm}2\%$.

금속(金屬)-Ligand 착염형성(錯鹽形成)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제거방법(除去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 중금속(重金屬) 농도(濃度), pH 및 온도(溫度)의 효과(效果) (Application of Principle in Metal-Ligand Complexation to Remove Heavy Metals : Effects of Metal Concentration, pH and Temperature)

  • 양재의;신용건;김정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7-42
    • /
    • 1993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유기(有機)리간드-중금속(重金屬) 착염형성(錯鹽形成) 원리(原理)를 적용(適用)하여 수용액(水溶液) 중(中) 중금속(重金屬)을 제거(除去)하는 방법(方法)을 연구(硏究)하는 일환(一環)으로, 침전형성(沈澱形成) 반응(反應)에 미치는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 pH 및 온도(溫度)의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부숙(腐熟)된 퇴비(堆肥)로부터 추출한 부식산(腐植酸)과 훌브산(酸)을 중금속(重金屬) 수용액(水溶液)과 반응시켜 침전(沈澱)시키고, 복합체(複合體)를 여과법(濾過法)에 의해 분리(分離)하여 중금속(重金屬)의 제거효율(除去效率)를 측정했다. 상대(相對) 리간드가 부식산(腐植酸)일때, 침전형성에 미치는 중금속(重金屬)의 농도효과(濃度效果)를 3가지 유형(類型)으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처리농도가 일전 수준(水準)에 도달하기 전(前)까지는 농도(濃度)가 증가해도 침전(沈澱)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그 후(後)부터는 침전형성율(沈澱形成率)이 증가하여 포화점에 도달했고, 포화점을 지나서는 다시 감소하였다. 침전형성(沈澱形成)을 시작(始作)할 수 있는 중금속(重金屬)과 리간드의 농도비율(濃度比率)은 중금속(重金屬)의 종류(種類)와 리간드의 농도(濃度) 의존성(依存性)을 보여 주었다. 포화침전(飽和沈澱)을 형성할 때 1mg의 부식산과 침전을 형성할 수 있는 양(量)은 Pb가 Cu에 비해 1.3배 이상 많았다. 반면에 상대(相對) 리간드가 훌브산(酸)인 경우 중금속의 침전농도(沈澱濃度)는 중금속(重金屬)의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비례하여 증가(增加)하였다. 훌브산(酸)에 의한 Pb의 침전효율(沈澱效率)은 훌브산(酸)의 농도(濃度)에 관계없이 거의 100%였으나, Cu는 훌브산(酸)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12~19%였다. pH는 Pb과 FA사이의 침전형성량(沈澱形成量)에 큰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pH가 한 단위(單位) 증가(增加)할 때 침전형성율(沈澱形成率)은 최고 6배까지 증가하였다. 침전형성농도가 급증(急增)하는 pH의 범위는 유기(有機)리간드의 pH 급변구간(急變區間)과 일치(一致)했다. 반응온도는 부식산(腐植酸)과 중금속(重金屬)사이의 침전형성율(沈澱形成率)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반응온도가 $15^{\circ}C$에서 $55^{\circ}C$로 증가함에 따라, Cu-훌브산의 침전형성율은 2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Pb-홀브산의 경우는 6%의 증가를 보였다.

  • PDF

Clinicoradi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Patterned Lesions of the Thyroid: A Multicenter Cohort Study

  • Jeong Hoon Lee;Eun Ju Ha;Da Hyun Lee;Miran Han;Jung Hyun Park;Ji-hoo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7호
    • /
    • pp.763-772
    • /
    • 2022
  • Objective: Preoperativ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patterned lesions is challenging. This multicenter cohort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oradiological characteristics relevant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uch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to September 2015, 4787 thyroid nodules (≥ 1.0 cm) with a final diagnosis of benign follicular nodule (BN, n = 4461), follicular adenoma (FA, n = 136), follicular carcinoma (FC, n = 62), or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VPTC, n = 128) collected from 26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e clinico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sions were compared among the different histological types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histological types was determined using a random forest algorithm. Results: Compared to BN (as the control group),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follicular-patterned neoplasms (FA, FC, and FVPTC) were patient's age (odds ratio [OR], 0.969 per 1-year increase), lesion diameter (OR, 1.054 per 1-mm increase), presence of solid composition (OR, 2.255), presence of hypoechogenicity (OR, 2.181), and presence of halo (OR, 1.761) (all p < 0.05). Compared to FA (as the control), FC differed with respect to lesion diameter (OR, 1.040 per 1-mm increase) and rim calcifications (OR, 17.054), while FVPTC differed with respect to patient age (OR, 0.966 per 1-year increase), lesion diameter (OR, 0.975 per 1-mm increase), macrocalcifications (OR, 3.647), and non-smooth margins (OR, 2.538) (all p < 0.05). The five important feature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patterned neoplasms (FA, FC, and FVPTC) from BN are maximal lesion diameter, composition, echogenicity, orientation, and patient's ag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distinguishing FC and FVPTC from FA are rim calcifications and macrocalcifications, respectively. Conclusion: Although follicular-patterned lesions have overlapp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identified in our large clinical cohort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preoperative distinction between them and decision-making regarding their management.

금속(金屬)-Ligand 착염형성(錯鹽形成)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제거(除去) 방법(方法)에 관한 연구(硏究);시간(時間)의 영향(影響) (Application of Principle in Metal-Ligand Complexation to Remove Heavy Metals;Time Effects)

  • 양재의;신용건;김정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1-57
    • /
    • 1993
  • 본 연구(硏究)에서는 부숙(腐熟)된 퇴비(堆肥)로부터 추출(抽出)한 부식산(腐植酸) 및 훌브산용액(酸溶液)과 중금속(重金屬) 용액(溶液)을 반응(反應)시켜 복합체(複合體)를 형성(形成), 침전(沈澱)시키고, 침전물(沈澱物)을 여과법(濾過法)에 의해 분리하여 중금속(重金屬)의 제거효율(除去效率)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시간(時間)이 침전형성(沈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kinetics model을 도입하여 조사하였다. 중금속(重金屬) (Cu 또는 Pb)과 유기(有機)리간드[(Humic acid: HA) 또는 (Fulvic acid: FA)] 사이의 침전형성(沈澱形成) 반응(反應)은 single first- 또는 Multiple first order kinetics를 따랐는데, 이는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와 리간드의 종류(種類)에 크게 의존(依存)하였다. 따라서 중금속(重金屬)-유기(有機)리간드 침전반응(沈澱反應)은 중금속(重金屬)의 반응농도(反應濃度)에 의존하고, 반응시간(反應時間)에 정비예(正比例)하여 침전형성율(沈澱形成率)이 증가(增加)한 후 침전형성율(沈澱形成率)의 변화가 거의 없는 의사(擬似) 평형상태(平衡狀態)에 도달하였다. Cu와 유기(有機)리간드의 침전형성 반응은, 리간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Cu의 농도가 $300{\mu}M$ 보다 낮을때는 single first order kinetics를, 농도가 $300{\mu}M$ 보다 높을때는 Multiple first-order Kinetics를 따랐다. Cu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반응상수(反應常數)(${\kappa}$)는 유의성(有意性)있게 증가되어 침전형성(沈澱形成) 속도(速度)가 빨랐다. 침전형성(沈澱形成)이 Multiple first order kinetics일 경우, 반응단계가 진행될수록 ${\kappa}$ 값이 작아졌고, 대부분의 침전형성은 1단계인 15분 이내에서 일어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서서히 진행되어 평형(平衡)에 도달하였다. Cu의 농도가 같을때 1단계반응에서의 훌브산(酸)의 ${\kappa}$ 는 부식산(腐植酸)의 ${\kappa}$ 보다 커서 훌브산이 부식산보다 Cu를 더 빨리 침전시켰다. Pb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b-HA의 침전형성반응에서는 ${\kappa}$ 값이 작아졌으나, 반면에 Pb-FA의 반응에서는 ${\kappa}$ 값이 증가되었다. Pb-유기(有機)리간드의 침전형성(沈澱形成)은 30분 이내(1단계)에 이뤄졌으며, 이후의 ${\kappa}$ 값은 매우 작아 반응시간(反應時間)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유기(有機)리간드가 부식산(腐植酸)이고,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가 $200{\sim}300{\mu}M$ 일때 Pb의 ${\kappa}$값은 Cu의 ${\kappa}$ 값보다 커서 Pb이 Cu보다 빨리 침전되었으나,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가 $400{\sim}500{\mu}M$ 일때는 Cu의 ${\kappa}$ 값은 Pb의 ${\kappa}$ 값보다 컸다.

  • PDF

Possible power increase in a natural circulation Soluble-Boron-Free Small Modular Reactor using the Truly Optimized PWR lattice

  • Steven Wijaya;Xuan Ha Nguyen;Yonghee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330-338
    • /
    • 2023
  • In this study, impacts of an enhanced-moderation Fuel Assembly (FA) named Truly Optimized PWR (TOP) lattice, which is modified based on the standard 17 × 17 PWR FA, are investigated in a natural circulation Soluble-Boron-Free (SBF) Small Modular Reactor (SMR). Two different TOP lattice designs are considered for the analysis; one is with 1.26 cm pin pitch and 0.38 cm fuel pellet radius, and the other is with 1.40 cm pin pitch and 0.41 cm fuel pellet radius. The NuScale core design is utilized as the base model and assumed to be successfully converted to an SBF core. The analysis is performed following the primary coolant circulation loop, and the reactor is modelled as a single channel for thermal-hydraulic analyses. It is assumed that the ratio of the core pressure drop to the total system pressure drop is around 0.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ctor power could be increased by 2.5% and 9.8% utilizing 1.26/0.38 cm and 1.40/0.41 cm TOP designs, respectively, under the identical coolant inlet and outlet temperatures as the constraints.

시설재배논에 석탄회,석고,패각시용이 토양화학성과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y Ash,Gypsum,and Shell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in Plastic Film Housed Paddy)

  • 하호성;강위금;이협;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5-69
    • /
    • 1998
  • 토양반응이 산성이고 칼슘함량이 낮은 식양질 논에서 토양개량제인 석탄회와 석고, 패각을 석탄회80, 패각4, 석탄회56+석고24, 석탄회40+석고24+패각0.8톤/ha 시용하여 시설 봄배추를 재배했을 때, 이들의 토양개량 및 작물중수 효과를 검토하였다. 전반적으로 석탄회,석고,패각 시용은 토양화학성을 개선하였다. 개량제 중 석탄회 단용구에서는 토양의 산도중화능이 우수하였고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리 및 붕소의 증가와 아연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석탄회+석고+패각 혼용구에서는 토양산도의 중화와 함께 마그네슘의 증가와 철, 망간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배추 수확기 토양에서의 세균수/진균수와 (세균수+방선균수)/진균수 비는 석탄회 단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개량제시용에 따른 배추의 생육은 초기에만 알카리장해로 부진하였고 중기 이후에는 대조구와 달리 칼슘결핍 없이 증수된 경향이었다. 처리별 증수효과는 대조구 수량 135.3t/ha을 기준으로 석탄회+석고+패각 혼용구에서 23%, 석탄회+석고 혼용구에서 21%, 석탄회 단용구에서 19%, 패각 단용구에서 18%였다. 수확된 배추체내 N, P, K, Ca, Mg, Fe, Mn, Zn, B, 환원당, 비타민-C는 석탄회 단용구와 석탄회+석고+패각 혼용구에서 높았다.

  • PDF

엔진 배기열 회수 증발기 설계를 위한 유기랭킨사이클 분석 (Analysis of organic rankine cycle for designing evaporator of engin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 고제현;최병철;박권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46-452
    • /
    • 2013
  • 탄소저감 기술과 함께 에너지 효율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엔진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배기에너지는 전체에너지의 30%가 넘는 많은 양이며 배기열을 회수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제시한 디젤엔진에서의 최적 열 회수 조건에 대한 랭킨사이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질량유량비와 압력비가 각각 0.6, 0.7 일 때 엑서지 효율과 출력은 0.53, 1.43 kW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