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263+

Search Result 60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Using the Adaptive Selection of H.263+ Negotiable Option Modes (H.263+ 협상모드들의 적응적 선택에 의한 성능개선)

  • 김강욱;황찬식;김남철;고종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10B
    • /
    • pp.1963-1970
    • /
    • 1999
  • Researches in draft recommendation H.263 have been made in ITU-T LBC group to broaden its range of useful application and to improve its compression performance. The form of added and revised draft text of H.263 is informally known as “H.263+”.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263+ negotiable option modes for four image clas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proposed the adaptive selection scheme of H.263+ option modes by using a scene change detector for a mixed image class. In case of using the proposed scheme, we obtained the 1.6dB improvement in PSNR compared to the basic mode of H.263, and the 0.4~1.0 dB improvement in PSNR compared to the fixed usage scheme of H.263+ negotiable option modes. In respect to used bits per frame, fewer bits are produced than the basic mode H.263 and the foxed usage scheme of H.263+ option modes.

  • PDF

Improved Intraframe Coding Method based on H.263 Annex I (H.263 Annex I 기반 화면내 부호화 기법의 성능개선)

  • 유국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1.06a
    • /
    • pp.213-216
    • /
    • 2001
  • The H.263 Annex I method for the intraframe coding is based on the prediction in DCT domain, unlike JPEG, MPEG-1, and MPEG-2 where the intraframe coding uses block DCT, independent of the neighboring blocks. In this paper, we show the ineffectiveness of H.263 Annex I prediction method by mathematically deriving the spatial domain meaning of H.263 Annex I prediction method. Based on the derivation, we propose a predic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spatial correlation property of image signals. From the experiment and derivation, we verified the proposed method.

  • PDF

Implementation of a RTP-based H.263 Streaming System (RTP기반의 H.263 스트리밍 시스템 구현)

  • 박일환;차호정;김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674-67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H.263 비디오 코덱을 사용한 인터넷 스트리잉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현을 기술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 전송은 RTP 실시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루러진다. 스트리밍 서버는 저장된 H.263 파일 또는 입력 받은 비디오를 실시간으로 H.263으로 엔코딩하여 멀티캐스팅하고, 클라이언트는 멀티캐스트 세션에 접속하여 서버가 전송한 H.263 데이터를 받아 실시간으로 디코딩한다.

  • PDF

A Submode Selection Method for Advanced Intra Coding in H.263 (H.263 Advanced Intra Coding 모드 선택 방법)

  • 박운기;이상희;전병우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6 no.2
    • /
    • pp.187-194
    • /
    • 2001
  • The Advanced Intra Coding(AIC) mode included in the H.263+ which is for video ceding at low bit rates, selects one prediction direction of DCT coefficients among three directions for every intra macroblock. Based ()n the selected direction, It uses a different DCT scanning order, quantization scheme, and VLC table. The use of the AIC mode brings higher compression ratio and improved PSNR than the H.263 baseline. This paper proposes a simplified submode selection method for a direction of the DCT coefficient prediction for advanced ultra coding in H.263.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roposed simplified method can achieve a similar coding Performance at computational complexity reduced to 1/7 and with much less memory requirement. The proposed method will be useful in implementing a simplified H.263 system.

  • PDF

Implementation of realtime H.263 Software CODEC (실시간 H.263 Software CODEC 구현)

  • 박대원;이승현;윤성규;강태성;이승열;임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632-634
    • /
    • 1999
  • 기존의 화상전화 시스템 및 화상회의 시스템은 H/W로 구현된 H.263 CODEC을 사용한 경우는 있었지만, 컴퓨터의 성능변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S/W CODEC을 사용한 경우는 드물었다. 여기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PSTN 망에서의 화상회의 및 화상전화에 응용할 수 있는 실시간 H.263 S/W CODEC을 구현하였다. H.263 S/W CODEC을 MuX(Multimedia I/O Server)의 DLM으로 구현함으로써 현재 LAN 기반으로 동작하는 MuX를 PSTN망으로 확장하는데 있어 기반 기술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역폭이 낮은 LAN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화상회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The Design of DWT Quantizer to Improve the H.263 (H-263 성능 개선을 위한 DWT 양자화기 설계)

  • 이용식;정상연;심우성;허도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9.06a
    • /
    • pp.597-600
    • /
    • 1999
  • TMN5 us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H.263 is a DCT-based H.263 which DCT is used as transform coding, but DWT is used instead of DCT and adaptive quantizer of being appropriate to DWT is designed in this paper while the structure of TMN5 is maintained. DWT-based H.263, which is proposed in this paper, is excellent in transplantation of the existing system and can improve frame rate by transmitting more Frame. Also, the average PSNR, objective quality of image, has been lost at degree of average 0.35㏈ in luminance signals, but has been improved over a average of 2㏈ in chrominance signals. Subjective quality of image has been improved as blocking effect, which has seriously occurred in DCT based H.263, is diminished. DWT-based H.263 can. therefore. advance video quality of image comparing with the existing ways.

  • PDF

Improved DCT Coefficient Prediction Method for H.263-based Intraframe Coding (DCT 계수 예측을 이용한 H.263기반 화면내 부호화 성능 개선)

  • 유국열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8B
    • /
    • pp.1168-1175
    • /
    • 2001
  • H.263부호기에서 정지영상 부호화를 위한 부가 부호기법인 Annex I는 기존의 JPEG, MPEG-1, -2와는 달리 부호화하고자 하는 현재 블록의 DCT 계수를 기부호화된 블록의 DCT 계수들을 이용하여 예측부호화 (Differential Pulse Coded Modulation; DPCM)를 행하고, 이를 통한 부호화 이득의 향상을 얻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H.263 Annex I의 예측기법을 공간영역에서의 의미를 수학적으로 유도한다. 이를 통해서 H.263 Annex I의 예측기법의 비효율성을 지적하고, 영상신호의 특성에 맞게 예측방식을 수정한다. 제안된 DCT 계수 예측 방식과 기존의 H.263 Annex I 방식의 이론적인 예측성능을 평가하고, H.263 부호기에 적용하여 제안방식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 PDF

A Design of H.263+ Codec using VHDL (VHDL을 이용한 H.263+ Codec의 설계)

  • 김은성;김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12-14
    • /
    • 1999
  • H.263+[1]는 1996년에 비디오압축 표준안으로 확정된 H.263의 확장으로 현재 널리 퍼져 있는 저 전송률의 가정용 전화선을 위한 비디오 압축에 관한 표준안으로 1988년에 확정되었다. H.263+의 기본 알고리즘은 H.263과 같으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한 여러 선택모드와 이종의 네트워크환경에서 발생하는 대역폭의 변화나 에러를 위한 scalability(계층부호화)와 같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새로운 표준안에 따른 실시간 비디오 전송을 처리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하드웨어 코덱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실시간 비디오 코덱은 영상회의 전화기나 멀티미디어 전송시스템의 핵심기술로써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U-T H.263+의 기본모드와 새로이 추가된 선택모드 일부를 지원하는 코덱을 하드웨어 기술 언어인 VHDL(VHSIC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을 사용하여 기술하고 각 모듈과 최상의 모듈을 시뮬레이션하여 동작을 검증했다.

  • PDF

VLSI Design of H.263 Video Codec Based on Modular Architecture (모듈화된 구조에 기반한 H.263 비디오 코덱 VLSI의 설계)

  • Kim, Myung-Jin;Lee, Sang-Hee;Kim, Keun-Ba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9 no.5
    • /
    • pp.477-485
    • /
    • 2002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hardware architecture for the H.263 video codec and its VLSI implementation. This architecture is based on the unified interface by which internal hardware engines and an internal RISC processor are connected one another. The unified interface enables the modular design of internal blocks, efficient hardware/software partitioning, and pipelined paralled operations. The developed VLSI supports the H.263 version 2 profile 3 @ level 10, and moreover, both the control protocol H.245 and the multiplexing protocol H.223.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the complete ITU-T H.324 or 3GPP 3G 324M multimedia processor with the help of an external audio codec. Simultaneous encoding and decoding of QCIF format images at a rate greater than 15 frames per second is achieved at 40 MHz clock frequency.

H.263 Encoding Speed up Research (H.263 인코딩 속도향상연구)

  • 유환종;강의선;강석찬;김영환;김진구;임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392-394
    • /
    • 1999
  • PSTN(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에서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H.263이라는 표준이 발표되었다. 저속의 전송률을 가지는 PSTN을 이용해서 영상회의나 영상전화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코딩방식으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문제점이 많았다. 이를 위해서 개발된 것이 H.263이다. H.263은 H.261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261에 비해서 동일화질을 제공하는데 반정도의 데이터 양으로도 가능하게 해준다. 영상 압축 Encoder는 일반적으로 Decoder에 비하여 영상을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VOD등과 같은 실시간으로 압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인코더가 많은 시간을 소비하더라고 큰 문제가 없는 반면에, 영상 회의나 영상 전화 등은 실시간 영상 Encoding, Decoding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고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H.263을 소프트웨어만으로 Encoding 속도향상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