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mnodinium catenatu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여수해만산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otum (Graham)의 용존태 무기인에 대한 성장 및 흡수 (Growth and Phosphate Uptake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Isolated from Yeosuhae Bay, South Korea)

  • 오석진;윤양호;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5-101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growth and phosphate uptake of a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isolated from Yeosuhae Bay, South Korea. A short-term phosphate uptake experiment revealed that its maximum uptake and the half-saturation constant were 1.39 pmol/cell/hr and $2.65{\mu}M$, respectively. In a semicontinuous culture,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and minimum phosphorus cell quota of G. catenatum were 0.39/day and 1.27 pmol/cell, respectively. Thus, G. catenatum is a poor competitor in terms of inorganic nutrient use and is unlikely to form blooms in Yeosuhae Bay.

Molecular Identification of Gyrodinium impudicum and Gymnodinium sanguineum by Comparing th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1, 2 and 5.8S Ribosomal DNA

  • Kim Gi Young;Ha Myoung-Gyu;Cho Eun Seob;Lee Tae-Ho;Lee Sang Jun;Lee Jae-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66-77
    • /
    • 1999
  • The sequences coding for the 5.8S rDNA and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1 and ITS 2) from the isolates of nine isolates of Gyrodinium impudicum and two isolates of Gymnodinium sanguineum species were amplified, sequenced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known Alexandrium species and Gymnodinium catenatum. The genetic distance analyses based on the sequence alignment indicated that Gymnodinium catenatum and Gyrodinium impudicum species were some related, Alexandrium species was distant. G. catenatum and G. sanguineum were quite separate, but these two species belonged to the same genus. G. impudicum and G. catenatum forming the closet cluster showed some variation in the alignment of ITS regions. The length of ITS1 varied more than that of ITS2 and the length of ITS1 and ITS2 was different for each G. impudicum, Gymnodinium and Alexandrium species. Also, the length of ITS1 was shorter than that of ITS2. However, on the sequences of G. sanguineum, the length of ITS1 was longer about 23 nucleotides than that of ITS2. The phylogenetic analysis and rDNA similarity of G. impudicum and G. catenatum $(59\%)$ is higher than the that of G. catenatum and G. sanguineum $(55\%)$. It was thought that the phylogenetic analysis and the genetic distance revealed that G. impudicum and G. catenatum were clearly different species and G. impudicum may belong to the genus of Gymnodinium.

  • PDF

남해안에서 분리한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Dinophyceae): 형태, 분자계통학적 특성 및 온도와 염분에 따른 성장 특성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Dinophyceae)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 한경하;;강병준;윤주연;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31-41
    • /
    • 2019
  • 남해안에서 분리한 Gymnodinium catenatum의 형태,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한 온도 및 염분에 반응하는 성장 조건을 파악하였다. G. catenatum의 세포는 세로로 길거나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유사한 오각형이었다. 세포의 길이는 $38.1{\sim}77.4{\mu}m$, 폭은 $26.1{\sim}40.8{\mu}m$로 나타났다. 핵은 세포의 중간에 위치하였고, 상추구는 말굽의 편자 모양이었고, 이는 국내외 배양주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결과 였다. 계통분석 결과도 염기유사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에 보고된 배양주와 100% 일치하여 이 종은 단일 계통으로 판단되었다. 온도와 염분에 대한 성장실험에서 G. catenatum은 $15^{\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염분 15 psu를 제외한 모든 염분구간에서 성장을 보였으며, 고온인 $30^{\circ}C$에서는 성장을 하지 않았다. 최대성장속도는 온도 $25^{\circ}C$, 염분 35 psu에서 $0.37day^{-1}$로 나타났고 최대세포밀도는 온도 $20^{\circ}C$, 염분 25에서 $1,073cells\;mL^{-1}$였다. 이 결과는 G. catenatum이 한국 남해안에서 여름철 및 가을철, 특히 평균 수온이 $20^{\circ}C$ 이상인 여름철에 최대 증식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RAPD-PCR 방법을 이용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분자생물학적 진단 (Molecular Discrimination of Dinoflagellat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Gyrodinium Impudicum Fraga et Bravo and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using RAPD-PCR Method)

  • Cho, Eun-Seob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51-657
    • /
    • 2003
  •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적조생물 C. polykrikoides, G. impudicum, G. catenatum을 RAPD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적 유연관계를 조사했다. 12개의 primer 중 4종류만 선택되었고 증폭된 밴드수는 59개이며 그 크기는 0.2에서 3.0 kb까지였다. C. polykrikoides, G. impudicum, G. catenatum의 다형화된 밴드수는 16개, 8개, 16개로 각각 나타났다. 반면에, 17개의 밴드만 동일하였다. C. polykrikoides, G. impudicum, G. catenatum의 종 특이적인 밴드수는 26개, 34개, 26개로 각각 보였다. C. polykrikoides와 G. impudicum/G. catenatum의 유전적 유사성은 0.83이며, G. impudicum과 G. catenatum은 0.7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형태적으로는 유사하게 보이지만, RAPD 분석에 의하면 C. polykrikoides, G. impudicum, G. catenatum은 현저하게 상이한 적조생물이다. 앞으로 RAPD 기법을 이용하면 이러한 와편모조류의 유전적 변이를 탐색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여수해만에서 분리한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raham)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과 광 조건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Isolated from Yeosuhae Bay, Korea)

  • 오석진;윤양호
    • ALGAE
    • /
    • 제19권4호
    • /
    • pp.293-301
    • /
    • 2004
  • 여수해만에서 분리한 Gymnodinium catenatum의 성장에 있어서 최적 수온과 염분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수온 6단계,염분 5단계의 조합에 의한 30단계의 배치배양을 실시하여, 성장속도를 계산하였다. C. catenatum은 약 18${^{\circ}C}$ 이상의 수온과 전 염분단계에서 0.3day$^{-1}$ 이상의 성장속도를 보였으며 수온의 감소와 함께 성장속도도 감소하였다. 하지만 염분은 성장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최대성장속도(0.5day$^{-1}$)는 수온 25${^{\circ}C}$와 염분 30psu에서 얻어졌다. 따라서, 수온과 염분에 따른 성장속도를 고려할 때, C. catenatum은 이른 여름부터 가을까지 한국남해연안해역에서 서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종의 출현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식은 $\mu$ = 0.005-T$^2$ - 0.0001164 T$^3$ - 0.063-S + 0.005-S$^2$ - 0.00007608-S$^3$ - 0.003-T-S + 0.00005308-T$^2$-S로 나타났다. 한편. 수온 18${^{\circ}C}$와 염분 30psu 조건하에서 6단계의 광도 실험을 실시한 결과, 광량에 따른 C. catenatum의 성장은 $\mu$ = 0.16 (I - 10.4)/(1+21.8), (r=0.96)의 관계식으로 Ks는 42.6$\mu$mol m$^{-2}$s$^{-1}$, I$_0$는 10.4$\mu$mol m$^{-2}$s$^{-1}$이었다. 따라서 수온, 염분과 광 조건만을 고려할 경우 C. catenatum은 고수온기 한국 남해 내만과 연안해역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치모델을 이용한 와편모조류 Alexandrium tamarense, Gymnodinium catenatum 및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의 종간 경쟁에 미치는 용존태 유기인의 영향 (Use of n Mathematical Model to Assess the Effects of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on Species Competition Among the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and Gymnodinium catenatum and th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 오석진;양한섭;산본민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9-49
    • /
    • 2007
  • Species competition among the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and Gymnodinium catenatum and th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was simulated using a mathematical model. Prior to the model simulation competition experiments using the three species were conducted to obtain data for validation by the simulation model. S. costatum dominated at a density of ${\sim}10^{4}\;cells/mL$ compared to the other species in the medium with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The growth of S. costatum was also stimulated by the addition of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DOP), such as uridine-5-monophosphate (UMP) or glycerophosphate (Glycero-P), although this species is unable to take up DOP. This implies that the growth of S. costatum may be supported by DIP, which is hydrolyzed by alkaline phosphatase produced from A. tamarense and G. catenatum. The species competition model was run assum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northern Hiroshima Bay, Japan, during spring and summer. G. catenatum increased in cell density and neared the level of S. costatum at the end of the calculation. In the sensitivity analyses by means of doubling and halving parameters, depleted DIP had little effect on the cell density of G. catenatum. However the growth of A. tamarense and S. costatum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parameter valu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DIP depletion is ongoing, species that have a large phosphate pool in their cells, such as G. catenatum, will predominate in the community.

The Occurrence of a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From Chinhae Bay, Korea

  • KIM Hak Gyoon;MATSUOKA Kazumi;LEE Sam Geun;AN Kyoung Ho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37-842
    • /
    • 1996
  • The resting cyst of Gymnodinium catenatum was found in the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Chinhae Bay in October, 1991.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species in the Korean waters. The relative abundance was low with the maximum of $1.7\%$. The colonial motile form consisting of four cells was observed in 1992 from the excystment of the cyst collected from the Wonmun Bay in Chinhae Bay. No blooms caused by G. catenatum has been observed in Chinhae Bay during the survey.

  • PDF

Uptake and Excretion of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by Two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Lebour (Balech) and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 Oh Seok-Jin;Yamamoto Tamiji;Yoon Yang-H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30-37
    • /
    • 2006
  • We performed experiments on the uptake and excretion of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DOP) using two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Lebour (Balech) and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isolated from Hiroshima Bay, Japan. ATP (adenosine triphosphate), UMP (uridine-5-monophosphate), G-6-P (glucose-6-phosphate) and Glycero-P (glycerophosphate) were used as DOP sources in preliminary uptake experiments. ATP was selected as the DOP species for the short-tenn uptake experiment because preliminary experiments showed it to be the DOP source used by both species. Although the $K_s$ values of A. tamarense and G. catenatum (5.63 and $7.61{\mu}M$, respectively) obtained from the short-term experiments for ATP were only slightly higher than those reported for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the ${\rho}_{max}$ values (5.04 pmol/cell/h and 13.4 pmol/cell/h, respectively) were much higher. The DOP excretion rate in batch-culture experiments was estimated at 0.084 pmol/cell/h for A. tamarense and 0.012 pmol/cell/h for G. catenatum, accounting for about 30% and 25%, respectively, of the assimilated phosphoru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IP-depleted conditions of Hiroshima Bay favor these two species by supporting their ability to use DOP.

한국 연안에 분포하는 유독 와편모조 Gymnodinium catenatum 지역분리주의 마비성패독 조성 비교

  • 박태규;조성환;김창훈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8-199
    • /
    • 2000
  • 유독 와편모조 Gymnodinium catenatum Graham은 인간과 해양동물에 마비성패독(PSP) 발생의 원인이 되는 신경독을 생산한다. 1976년에 스페인 북서쪽 해안에서 G. catenatum에 의한 PSP 발생이 처음으로 알려졌고(Estrada et al. 1984) 특히 호주와 스페인 등지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991년 10월 진해만에서 채집된 저질로부터 처음 휴면포자가 발견되었고, 휴면포자량은 전체 와편모조류 중 0.9~l.7%를 차지하였다(Kim et al., 1996). 1996년 9월에는 영양세포가 7,250 cells/$\ell$로 진해만의 수정리에서 출현하였고, 1997년 5월에는 550 cells/$\ell$로 출현하였다(김과 신, 1997). 이는 Alexandrium속이 주로 봄철에 대량발생을 하여 패류 독화가 문제되는 것에 반해 C. catenatum은 봄, 가을에 출현함으로써 봄철에 이어 가을철에도 패류독화가 문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및 남해안에서 분리된 지역분리주의 PSP 생산성을 검증하고, 지역 개체군의 독조성을 비교하여 지역 독화의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항균성 펩타이드인 mastoparan B의 살조효과 (The Algicidal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 Mastoparan B)

  • 서정길;김찬희;배윤정;문호성;김근용;박희연;윤호동;김창훈;변대석;홍용기;박남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2003
  • Mastoparan B (MPB)는 벌독으로부터 정제된 양친매성 $\alpha$-helical 구조를 취하면서 1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염기성 항균성 펩타이드로서 여러가지 생물막과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연안의 적조 (HABs, harmful algal blooms)를 일으키는 4종의 적조생물 (Alexandrium tamarense, Chattonella marina, Cochlodinium polykrikoides 및 Gymnodinium catenatum)에 대한 MPB의 살조효과를 조사하였다. MPB의 4종의 적조생물에 대한 살조효과는 31.3 $\mu{g}$/mL부터 500 $\mu{g}$/mL에서 세포의 lysis 또는 ecdysis와 같은 형태로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MPB는 C. marina 및 C. polykrikorides에 대해서 A. tamarense와 G. catenatum보다 더욱 강한 살조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MPB의 HABs에 대한 살조효과연구는 새로운 살조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