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inhibitory effects

검색결과 1,196건 처리시간 0.023초

영지(Ganoderma lucidum)의 β-Glucan에 의한 Sarcoma-180 육종암 생장 억제 (In vivo Growth Inhibition of Sarcoma-180 Cells by a β-Glucan from the Mushroom Ganoderma lucidum)

  • 한만덕;김용현;김완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21-727
    • /
    • 2014
  • 버섯 다당류 ${\beta}$-glucan의 항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지균사체로부터 단백다당류(GLP)를 분리하고 Sarcoma-180 육종암을 이식시킨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여 항암활성을 확인하였다. 육종암이 서혜부에 이식된 마우스에 GLP를 20 mg/kg의 농도로 10일간 복강투여 한 후 30일차에 확인한 결과, Sarcoma-180 육종암은 대조군대비 71.4% 억제되었으며, 마우스의 혈청, 종양조직 및 간조직 내의 TNF-${\alpha}$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GLP는 생체 내 TNF-${\alpha}$의 양적증가를 유도하며, 종양괴사 또는 에폽토시스와 연관된 육종암의 생장억제가 확인되었다. 이때 생장이 억제된 육종암 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상대적으로 큰 핵과 세포의 에폽토시스에서 전형적으로 보여지는 염색질 응축이 관찰되었으며, 핵막은 특징적으로 뭉쳐져 불규칙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영지에서 분리된 GLP는 종양 세포의 에폽토시스를 유도하여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항균 및 부착억제 효과 (Effects of Antibacteria and Adhesive Inhibi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on Streptococcus mutans)

  • 백종윤;김용현;권현정;김은님;김완종;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7-373
    • /
    • 2008
  • 천연물 황금으로부터 여러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어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 에 대한 항균활성, 배지 내 환경변화, 그리고 부착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1. 구강 질병인 치아우식증의 대표적 원인균 S. mutans에 대한 황금 ethyl acetate 추출물 (IPK-3)의 최소억제농도는 125 mg/ml 이었다. 2. 황금 IPK-3 추출물 50 mg/ml의 농도로 S. mutans의 배지 내 투여하였을 때 균의 생장 량과 최대 생장시간은 대조군보다 지연되었다. 3. 황금 IPK-3 추출물 50 mg/ml의 농도로 S. mutans의 배지 내 투여하였을 때, pH 변화는 대조군은 18시간에서 pH 5.63으로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황금 IPK-3 추출물이 50 mg/ml의 배지에서는 6.50이상을 유지하여 pH가 변화가 없었다. 4. 황금 IPK-3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 내 탄수화물, 단백질 및 균체 외 다당류의 변화는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게 생산되었다. 5. 균체를 형광염료(DAPI)로 염색하여 S-HA 부착억제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S.mutans의 hydroxyapatite(HA)에 부착 정도가 증가되었으나, 황금 IPK-3 추출물이 첨가된 시험군에서는 S-HA에 균의 부착이 매우 적었다. 이같이 황금의 IPK-3 (ethyl acetate 추출물)이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S. mutans 에 대한 항균활성효과 뿐만아니라 hydroxyapatite에 부착 억제 효과도 있었다.

  • PDF

인체 방광암 및 백혈병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세포주기 G2/M arrest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G2/M Arrest of the Cell Cycle by Genistein in Human Bladder Carcinoma and Leukemic Cells)

  • 김의겸;명유호;송관성;이기홍;류충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89-5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T24 인체방광암 및 U937 백혈병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을 조사 하였다. Genistein이 처리된 T24 및 U937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심한 형태적 변형이 동반되었으나, U937 세포에서 보다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러한 T24 및 U937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 변형은 G2/M기의 세포주기 억제 및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세포주기의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T24 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G2/M arrest는 cyclin A, cyclin B1 및 Cdc25C 등의 단백질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으나,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U937 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G2/M arrest는 cyclin B1 및 p53 비의존적인 p21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재까지 거의 연구가 진행된 바 없는 인체방광암 및 백혈병 세포에서 genistein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genistein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7종 갈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Seven Brown Algae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최형주;길정하;박순선;공창숙;박건영;서영완;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080-10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 생리활성물질을 검색하여 발암물질 생성 방지 및 생체 방어 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Ames test를 이용하여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와 간접돌연변이원인 $AFB_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AFB_1$에 대해서 괭생이모자반(S. horneri)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 중에서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첨가농도 1.25mg/plate일 때, 괭생이모자반의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각각 96%, 91%로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의 추출물들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양성 대조군인 다시마의 용매 추출물보다도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AFB_1$과 같은 농도인 0.6mg/plate의 농도의 MNNG를 사용하여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해조류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간접 돌연변이원인 $AFB_1$에 비해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다소 항돌연변이 효과가 떨어지지만, 여기서도 실험에 사용된 해조류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경우가 methanol 추출물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실험에서 효과가 뛰어난 괭생이모자반과 짝잎모자반을 중심으로 인체 암세포(위암세포, AGS 및 결장암 세포, HT-29) 증식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용매 추출물을 0.5%, 1% 및 2%의 농도별로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둘 다 가장 낮은 농도인 0.5%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7종의 갈조류 추출물들은 Ames test에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괭생이모자반 및 짝잎모자반은 인체 암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갈참나무 부위별 에탄을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Extracted and Sub-Fractionated Materials from Different Parts of Quercus aliena Blume)

  • 윤재원;유미영;최재호;이명구;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10-914
    • /
    • 2005
  • 본 연구는 여러종류의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하여 갈참나무의 부위별 에탄을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를 규명 하여 천연항균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갈참나무 잎, 수피, 목질부의 에탄을 추출물은 모두 그람 음성균과 양성균에서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람양성과 음성균 4종에 대한 갈참나무 부위별 에탄을 추출물의 생육저해효과는 식중독균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L. monocytogenes와 S. Typhimurium균이 B. cereus와 E. coli O157:H7균에 비하여 더 강한 생육억제를 보였으며 갈참나무 부위중 잎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고, 수피와 목질부는 거의 유사하거나 수피 에탄을 추출물이 약간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갈참나무 잎 에탄을 추출물은 B. cereus는 $500\mu g/mL$, L. monocytogenes 및 E. coli O157:H7는 $1,000\mu g/mL$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였으나 S. Typhimurium은 생육을 완전히 억제하는데 $2,000\mu g/mL$농도가 필요하였다. 한편 갈참나무 잎 에탄을 추출물로부터 극성이 다른 용매로 순차 분획한 분획물의 병원성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클로포름, 헥산 및 물층에서는 전혀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국내 자생 식물자원 중 농약활성물질 탐색 (Screening of Pesticidal Active Compounds from Various Domestic Wild Plants)

  • 권오경;임수길;성기석;최병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7-355
    • /
    • 1997
  • 천연물기원 신농약 개발을 위한 기초 단계로서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31과 59종의 식물체를 대상으로 생물활성을 평가하여 생리활성물질 함유 식물자원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멸구 살충성분 함유 식물자원 탐색결과 21과 38종 식물체중 피마자잎의 조추출물은 1%(w/v) 농도수준에서 100%의 살충력을 보였으며, 고삼의 잎, 줄기, 뿌리와 상치, 할미꽃은 각각 82%, 84%, 80%, 75%의 벼멸구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2. 벼흰잎마름병에 대해 활성을 나타낸 식물은 사철쑥을 비롯한 8종이었으나, 저지원효과는 0${\sim}$2㎜로서 저조하였다. 3. 식물 조추출 혼합물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 공력효과는 고삼뿌리+때죽잎 혼합조합이 134${\sim}$142%, 고삼뿌리+먹구슬나무종자 조합이 128${\sim}$155%이었다. 4. 적송 등 21종 식물체를 물과 MeOH로 추출하여 그 조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 무와 피의 종자에 대해 발아억제 효과를 보인 것은 적송, 상수리 2종이었다. 5. 적송의 MeOH 조추출 농도별 allelopathy 평가결과 2%(w/v) 농도수준에서 무종자에 대한 발아억제 효과는 100%이었으며, 5%(w/v) 농도에서는 무와 피종자 모두 완전억제 반응을 나타냈다.

  • PDF

환혼산(還魂散)이 실험적(實驗的)으로 유발(誘發)한 종양(腫瘍)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Hwanhonsan Extract against Chemically Induced and Xenografted Mice Tumor)

  • 송효원;류도곤;조동기;엄상섭;강성도;고정수;성은경;윤용갑;조남수;이춘우;강순수
    • 동의생리학회지
    • /
    • 제14권2호통권20호
    • /
    • pp.229-237
    • /
    • 1999
  • Hwanhonsan has been used for curing tumor as a Oriental medicine without any experimental evidence to support the rational basis for their clinical us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le therapeutic or antitumoral effects of Hwanhonsan extract against cancer, and to study som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effect. Some kind of tumors were induced by the typical application of 3-methylcholanthrene(MCA) or by the implantation of malignant tumor cells such as leukemia cells(3LL cells) or sarcoma cells(S180 cells) and FasII cells. Treatment of the Hwanhonsan extract(daily 1 mg/mouse, i.p.) was continued for 7 days prior to tumor induction and after that the treatment was lasted for 20 hrs. Against squamous cell carcinoma induced by MCA, Hwanhonsan decreased. not only the frequency of tumor production but also the number and weight of tumors per tumor bearing mice(TBM). Hwanhonsan also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3LL cells and S180 cells implanted tumors by frequency and their size, and some developed tumors were regressed by the continuous treatment of Hwanhonsan extract into TBM. However, when tumor was induced by FsaII cells implantation, the growth of implanted cells in mice was delayed by the water extract of Hwanhonsan until 7 days and then rapid growth ensued. In vitro treatment of Hwanhonsan extract had no inhibitory effect on the tumor induced by some kind of cell lines such as A431 cells strain but i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3LL cells, S180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wanhonsan extract exhibited a significant prophylactic benefits against tumors and its antitumor activity was manife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umor cells.

  • PDF

전립선 암세포에서 delphinidin에 의한 HIF-1α와 STAT3 억제를 통한 혈관내피 성장 인자 발현 저해 효과 (Delphinidin Suppresses Angiogenesis via the Inhibition of HIF-1α and STAT3 Expressions in PC3M Cells)

  • 김문현;김미현;박영자;장영채;박윤엽;송현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6-71
    • /
    • 2016
  • 델피니딘은 양전하를 뛰는 diphenylpropane의 polyphenolic ring 구조를 가진 주요한 안토시아닌 색소 중에 하나이다. 최근 연구에서 델피니딘은 항산화, 항염증 뿐만 아니라 항암 효능을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립샘 암에서 종양의 성장과 신생혈관생성에 관련된 중요한 인자인 VEGF 발현에 대한 델피니딘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RT-PCR을 통해 델피니딘을 처리한 PC3M 전립샘 암세포 세포에서 EGF로 유도한 VEGF mRNA 발현 수준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델피니딘은 VEGF의 전사인자인 HIF-$1{\alpha}$와 STAT3가 세포 핵으로 전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한편 luciferase assay을 통해 HRE-promoter 활성을 확인해 본 결과, 델피니딘이 HIF-$1{\alpha}$의 전사 활성을 억제시켜 VEGF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델피니딘은 EGFR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Akt, p70S6K, 4EBP1의 인산화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델피니딘이 HIF-$1{\alpha}$와 STAT3, VEGF 발현을 억제를 통하여 암세포 증식억제와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토복령 추출물이 처리된 여러 종류의 사람 암세포주에서 아노이키스 세포 사멸에 의한 세포 성장의 억제 (Inhibition of Cell Growth by Anoikis in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Treated with an Extract of Smilax china L.)

  • 김민재;김현지;김무경;이성호;전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6-27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람의 암세포주(A-549, MCF-7, MDA-MB-231, U87-MG, AGS, MKN-74 및 SNU-601 세포)와 정상세포주(MRC-5 섬유아세포 및 사랑니 유래 중간엽성 줄기세포에 토복령 추출물(Smilax china L. extract, SCLE)을 처리하여 세포 사멸 효과를 조사하였다. SCLE 처리 후, MTT 분석에서 여러 암세포주는 정상세포주보다 유의적으로 휠씬 낮은 반억제농도값을 나타내었고, 세포는 세포부착력의 소실로 인한 세포사멸(anoikis)이 관찰되었다. 또한, SCLE를 처리한 A-549, AGS 및 MCF-7 암세포주에서 세포의 생존성과 말단소립 복원효소의 활성도를 조사하였을 때, SCLE 처리 후 4일째에 세포의 생존성과 말단소립 복원효소의 활성도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SCLE를 처리한 A-549, AGS 및 MCF-7 암세포주에서 세포 주기의 G1기에서 세포 성장이 정지되었고,세포 사멸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SCLE 처리는 rho 단백질의 활성과 관련 없는 세포부착력의 소실과 세포 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토복령 추출물은 정상 세포보다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세포부착력의 소실과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이 추출물에 포함된 물질을 이용한 항암 연구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robilurin계 살균제에 대한 고추탄저병균의 교차저항성과 Pyraclostrobin 저항성균에 대한 다른 기작 살균제의 억제 효과 (Cross-resistance of Colletotrichum acutatum s. lat. to Strobilurin Fungicides and Inhibitory Effect of Fungicides with Other Mechanisms on C. acutatum s. lat. Resistant to Pyraclostrobin)

  • 박수빈;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8권3호
    • /
    • pp.122-131
    • /
    • 2022
  • Pyraclostrobin에 대해서 감수성균인 Colletotrichum acutatum s. lat. 20JDS8과 저항성인 20CDJ6을 사용하여, strobilurin계에 속하는 살균제와의 교차 저항성 여부와, 작용기작이 다른 살균제의 저항성균에 대한 작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Pyraclostrobin 저항성 20CDJ6은 strobilurin계인 azoxystrobin, trifloxystrobin, kresoxim-methyl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보여, 교차 저항성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용기작이 다른 모든 살균제는 감수성과 저항성균 모두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지만, 열매에서 병 방제 효과는 서로 달랐다. Isopyrazam의 20JDS8과 20CDJ6에 대한 병 방제효과는 매우 낮았으며, fluazinam은 열매에 상처를 내지 않고 예방적으로 처리하였을 때만 20JDS8과 20CDJ6에 대해서 91.9%와 88.1%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Tebuconazole과 prochloraz는 PDA 배지 상에서 20JDS8과 20CDJ6의 균사생장뿐만 아니라 고추 열매에서 병 발생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pyraclostrobin에 대해서 저항성인 고추탄저병균은 strobilurin계의 다른 살균제와 교차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pyraclostrobin 저항성균의 방제를 위한 대체 살균제로 작용기작이 다른 fluazinam, tebuconazole, prochloraz 등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fluazinam은 병 발생 이전에 예방적으로 처리하여야만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