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and survival

검색결과 2,406건 처리시간 0.035초

저염분이 바리과 교잡종(Epinephelus fuscoguttatus×E. polyphekadion) 의 성장, 생존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Salinity on Growth, Survival and Stress Response of Juvenile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E. polyphekadion))

  • 이일영;박중열;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99-505
    • /
    • 2020
  • We investigated growth, survival and stress response depending on salinity changes in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 ♀×E. polyphekadion ♂, BCG) juvenile. Experiment I (Exp I), the hybrids were stocked at 32 psu and reared for 30 days under decreasing salinity at a rate of 5-7 psu per day (25, 20, 15, 10, 5 psu). Experiment II (Exp II), the salinity was decreased from 32 psu to 5 psu during a period of 24, 48 and 72 h. Experiment III (Exp III), acclimatized BCGs were exposed from 5 psu to decreasing salinity at 0, 1, 2, 3, 4 psu. In the Exp I, 90% survival only in the 5 psu. Growth were 5 and 32 psu had significantly low growth than other treatment. In the Exp II 100% survived by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plasma cortisol level was highest in the treatment the salinity rapidly dropped, but all the treatment recovered quickly after 24 h of salinity reduction. In the Exp III, the lower the salinity, the faster the mortality occurred in salinity below 5 psu.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BCGs are highly tolerant of low salinity and the salinity tolerance threshold is 5 psu.

피조개, Scaphara broughtonii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 형태와 유실방지망 종류에 따른 성장과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the Spat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Intermediate Culture with Different Shape of Protective Net and Type of Preventive Net of Spat Loss)

  • 김병학;신윤경;박기열;최낙중;오봉세;민병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1-136
    • /
    • 2008
  •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망의 형태 및 유실 방지망의 종류에 따른 부착치패의 성장 및 생존을 조사하였다. 보호망의 형태별로 60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노출형이 평균 각장 $12.8{\pm}3.2$ mm로 가장 빨랐으며(P<0.05), 통발형이 $12.2{\pm}3.5$ mm, 원통형이 $11.9{\pm}3.8$ mm, 직사각형이 $10.9{\pm}3.7$ mm순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존율은 통발형이 43.7%, 원통형이 41.2%, 직사각형이 31.6%로 보호망의 형태에 따라 통발형 및 원통형이 직사각형보다 높았으며, 노출형이 5.4%로 매우 낮았다(P<0.05). 유실 방지망 종류별로 163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차광막이 평균 각장 $13.9{\pm}3.1$ mm로 가장 빨랐고(P<0.05), 여자망이 $12.9{\pm}3.0$ mm, PE망이 $11.8{\pm}3.1$ mm 및 대조구가 $12.6{\pm}3.3$ mm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차광막이 91.5%, PB망이 90.1%, 여자망이 88.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실 방지망을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61.5%로 설치한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은 통발형 및 원통형을 사용하면 채묘망과 보호망 간의 공간이 확보되어 마찰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고, 해수의 소통이 원활하여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보호망목의 크기는 2 mm 내외를 사용하여 해수의 유통이 비교적 원활히 되도록 하였으며, 일시적으로 탈락하는 개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치패 채묘망과 직각으로 설치한 결과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유실 방지망 종류별 중간양성시험 결과는 시험기간이 겨울철이여서 태풍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고, 보호망에 부착물질이 거의 없어 생존율이 매우 높았다. 겨울철 중간양성이 여름철 중간양성 보다 생존율에서는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산업화를 위해서는 유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피조개 부착치패 중간양성 시기는 태풍 등의 위험한 시기를 피하여 조절하고,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통발형 및 원통형의 보호망과 유실 방지망을 병행하여 사용하면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창업자 역량이 창업기업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경영 성과의 매개 역할 (How Entrepreneur Competency Impacted Startup Surviva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Mediating Role of Business Performance)

  • 김봉근;유범준;황보윤;김영준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3호
    • /
    • pp.155-172
    • /
    • 2024
  • COVID-19 팬데믹은 인류에게 막대한 위기를 안겨준 것은 물론, 기업 생존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인간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글로벌 봉쇄 정책이 역설적으로 기업 생존 환경을 악화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 자원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던 기업들은 외부와의 단절로 예기치 못한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COVID-19 팬데믹 초기의 선행연구들은 전통적인 재무 요인을 통해 경영 성과를 재차 진단하는 데 그쳤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에서 위기 상황에서 창업자의 역량이 경영 성과를 향상하고 이를 통해 창업기업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평가를 통해 정책금융을 제공하는 기술보증기금(KOTEC)이 2016년에 평가한 1,127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 말의 경영 성과를 측정하였다. 그 이후 엔데믹을 선언한 시점인 2023년 6월 말 연구 대상 기업의 생존 상태를 확인하여 창업자 역량과 기업생존과의 관계에서 경영 성과의 매개 역할을 규명하는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창업자 역량의 하위요인으로는 기술적, 재무적, 마케팅 역량으로 정의하였고, 매출액 증가율과 고용 증가율을 경영 성과의 하위요인으로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자의 기술적, 재무적 역량이 창업기업의 경영 성과와 생존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매출액 증가율과 고용 증가율이 기술적 역량과 기업 생존 사이를 매개하였다. 하지만, 창업자의 재무적 역량은 고용 증가율을 통해서만 창업기업의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창업기업의 생존요인을 규명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서, 자원기반관점에서 창업자의 역량이 중요한 생존요인이라는 이론적, 실무적 논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날개망둑 치어의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s of Salinity on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rates of the Juvenile gobiid, Favonigobius gymnauchen)

  • 강주찬;진평;이정식;신윤경;조규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8-412
    • /
    • 2000
  • 염분에 대한 날개망둑의 내성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들의 생존, 성장 및 대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40일간 사육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날개망둑의 생존율은 염분 $10.1{\%_{\circ}}$ 이상에서 $90{\%}$ 이상을 나타냈으나, 염분 $6.7{\%_{\circ}}$ 이하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담수에서는 40일째 $5{\%}$의 생존율을 보였다. 성장은 $20.2{\~}33.6{\%_{\circ}}$의 염분 범위에서 유사한 체장, 체중의 증가 및 일일성장률을 나타냈으나, 염분 $10.1{\%_{\circ}}$ 이하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산소소비는 염분 $20.2{\~}33.6{\%_{\circ}}$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염분 $13.4{\%{\circ}}$ 이하에서 염분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염분 13.4, 10.1, 6.7 및 $3.4{\%_{\circ}}$에서 각각 15.8, 19.3, 18.6 및 $24.1{\%}$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담수에는 $28.2{\%}$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염분에서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이 낮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염분의 농도차이가 연안지역이나 기수지역에서 자연사망율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시비처리가 소나무 용기묘와 노지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ation Treatments on Growth of Container and Bare Root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 조민석;김길남;이상태;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63-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용기묘와 노지묘를 대상으로 조림과정에서 5가지 시비 처리(무시비, 심층시비 20, 50, 100g 및 표층시비 20g)에 따른 생존율, 생장 특성 및 묘목품질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림지에 묘목 식재 시 시비처리에 따른 생존율은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심층시비 100 g 시비를 실시하여도 과량 시비에 의한 피해를 보이지 않았다. 소나무 용기묘와 노지묘의 연차별 근원경과 묘고 생장은 심층시비 100 g에서 가장 높았으며 또한,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에서도 생장 특성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모든 시비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용기묘가 노지묘보다 우수한 생장을 보였으며, 적정 시비 처리에 따른 효과 또한 용기묘가 노지묘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response of above- and below-ground parts of Mankyua chejuense, endangered endemic plant to Jeju province, in Korea

  • Kim, Hae-Ran;Shin, Jeong-Hoon;Jeong, Heon-Mo;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2호
    • /
    • pp.61-67
    • /
    • 2014
  • Mankyua chejuense is a native endangered plant distributed only in Gotzawal, a forested wetland, in Jeju Province, Korea.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 chejuense, we investigated the above- and below-ground growth responses and survival rate to various soil texture (sand and clay), water regimes (flooding and non-flooding), and $CO_2+T$ (ambient and elevated) conditions. All of the treatm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boveground growth parameters, while only the water regime and $CO_2+T$ treatments influenced belowground growth. The survival rate of M. chejuense was about twice higher under the sand, non-flooding and elevated $CO_2+T$ conditions than clay, flooding and ambient $CO_2+T$ condi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 chejuense grows in well-drained sandy soil conditions and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situations. Thus, there is a need to maintain M. chejuense under constant non-flooding soil conditions by implementing appropriate soil drainage strategies.

식재시기 및 조림지 하층식생 조건이 소나무 용기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Season and Vegetation Competition on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ized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 조민석;김길남;권기원;이수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59-36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용기묘(1-0묘)를 대상으로 계절별 식재시기 및 조림지 하층식생 조건에 따른 생존율과 생장 특성을 조사하여 용기묘 조림과정에서 보다 유리한 적정 식재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4한 용기묘의 식재기간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재시기는 봄, 여름, 가을의 세 처리를 하였으며, 시험지는 하층식생이 무성한 지역(A)과 그렇지 않은 지역(B)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소나무 용기묘의 생존율은 모든 시험지에서 여름 식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 용기묘의 근원경과 묘고 생장은 여름 식재가 가장 우수한 값을 보였으며, 식재 후 초기에는 생장이 불량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생장률이 점점 높아졌다. 대부분의 식재시기 처리에서 B 지역이 A 지역보다 생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생산량에 있어서도 세 시험지 모두 여름 식재가 가장 높았으며,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은 B 지역이 가장 높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소나무 용기묘는 여름 조림이 가능하여 식재기간을 기존의 봄과 가을에서 여름까지 확대시킬 수 있으며, 높은 생존율과 생장을 위한 하층식생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 Lee, Hee Jung;Kim, Min Chul;Lim, Bora;Kim, Byung Joo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9-45
    • /
    • 2013
  • Objectives: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tract (BMKNE) is used as a folk remedy for malaria and veneral diseas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MKNE in the growth and the survival of AGS cells, the most commo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lines. Methods: The AGS cells were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BMKNE. Analyses of the sub G1 peak, the caspase-3 and -9 activities, and the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AGS cell death occured by apoptosis. Also, to identify the role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TRPM) 7 channels in AGS cell growth and survival, we used human embryonic kidney (HEK) 293 cells overexpressed with TRPM7 channels.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ub G1 peak, the caspase-3 and -9 activities, and the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were increased. Therefore, BMKNE was found to induce the apoptosis of these cells, and this apoptosis was inhibited by SB203580 (a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hibitor), and by a c-jun NH2-terminal kinase (JNK) II inhibitor. Furthermore, BMKNE inhibited TRPM7 currents and TRPM7 channel over-expressions in HEK 293 cells, exacerbating BMKNE-induced cell death.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MKNE inhibits the growth and the survival of gastric cancer cells due to a blockade of the TRPM7 channel's activity and MAPK signaling. Therefore, BMKNE is a potential drug for treatment of gastric cancer, and both the TRPM7 channel and MAPK signaling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urvival in gastric cancer cells.

마우스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종양세포에 대한 Interleukin-2의 항암효과 (Effect of Interleukin-2 on Antitumor Response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Fibrosarcoma in Mice)

  • 권오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17
    • /
    • 2001
  • Recombinant interleukin-2 (IL-2) has demonstrated as an antineoplastic agent in mice and human, but the relatively low response rates observed in clinical trial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valuate therapeutic activities of IL-2 for the establishment of therapeutic applications. At the onset of the experiment, normal C3H/HeN mice were injected with $3{\times}10^6$ RD-995 tumor cells, murine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fibrosarcoma, subcutaneously. Beginning on day 25, experimental groups were treated with a 5-day course of IL-2 (subcutaneous injection of 30,000 IU every 12 hours for 5 day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revealed that RD-995 tumor grew progressively in control mice. Subcutaneous IL-2 therapy decreased tumor growth until day 23, then the tumor grew progress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of IL-2 therapy decreased tumor growth until day 23, then the tumor grew progress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of IL-2 therapy decreased tumor growth until day 23, then the tumor grew progress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of IL-2 treated mice were observed compared with the control mice.

  • PDF

BolA Affects Cell Growth, and Binds to the Promoters of Penicillin-Binding Proteins 5 and 6 and Regulates Their Expression

  • Guinote, Ines Batista;Matos, Rute Goncalves;Freire, Patrick;Arraiano, Cecilia Mari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243-251
    • /
    • 2011
  • The gene bolA was discovered in the 80's, but unraveling its function in the cell has proven to be a complex task. The BolA protein has pleiotropic effects over cell physiology, altering growth and morphology, inducing biofilm formation, and regulating the balance of several membrane proteins. Recently, BolA was shown to be a transcription factor by repressing the expression of the mreB gene. The present report shows that BolA i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the dacA and dacC genes, thus regulating both DD-carboxypeptidases PBP5 and PBP6 and thereby demonstrating the versatility of BolA as a cellular regulator. In this work, we also demonstrate that reduction of cell growth and survival can be connected to the overexpression of the bolA gene in different E. coli backgrounds, particularly in the exponential growth phase. The most interesting finding is that overproduction of BolA affects bacterial growth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cells were inoculated directly from a plate culture or from an overnight batch culture. This strengthens the idea that BolA can be engaged in the coordination of genes that adapt the cell physiology in order to enhance cell adaptation and survival under stress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