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검색결과 64,165건 처리시간 0.085초

인산결핍 조건하에서 질소고정식물체내의 Ureide 분배 (Ureide Distribution in Nitrogen Fixing Soybean Plant under External Phosphorus Limitation)

  • 사동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32-237
    • /
    • 1997
  • 인산 결핍이 질소고정식물체의 Ureide 농도 및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Bradyrhizobium japonicum MN 110을 접종한 대두 식물체를 1.0 mM-P(대조구) 및 0.05 mM-P(결핍구)를 함유한 무질소 영양액을 처리, 재배하여 이식 28, 35,42, 49일 후 수확하였다. 3주의 실험기간중 건물량은 대조구의 경우 8.9배, 결점구의 경우 2.7배 증가하였다. 인산 결핍구에서 식물체의 전질소 및 인산의 함량은 이식 후 28일에 각각 80%,40%,49일에 각각 93%, 84% 감소하였으며 뿌리 및 근류보다 잎과 줄기의 질소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인산 결핍은 잎과 줄기의 수용태 및 ureide태 질소 농도를 감소시켰으나 뿌리의 경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인산결점구의 경우 전체 수용태 및 ureide태 질소의 함량중 뿌리 함유량 비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산 결핍이 근류의 질소고정뿐만 아니라 고정질소의 상향 이동도 저해함을 나타낸다.

  • PDF

매생이 열수추출물의 면역 및 항암 활성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apsosiphon fulvescens)

  • 박희연;임치원;김연계;윤호동;이가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43-3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매생이 열수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정 추출 및 정제조건, 당 조성, 암세포독성, sarcoma-180 성장저지 효과, 백혈구수 변화, 보체계 활성, 장관 면역 활성, 경구독성 등을 검토하였다.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은 $100^{\circ}C$의 물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4배량의 주정으로 24시간 침전시킨 다음 투석 및 한외여과하여 분자량 300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분리정제 하였으며 당 조성은 xylose 19.01%, fucose 15.29%, mannose 4.23%, galactose 7.92%로 나타났다. In vitro에서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독성은 고농도($10-30{\mu}g/ml$)에서만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in vivo시험에서는 매생이 추출물의 투여로 마우스 고형암의 성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40.13-59.42%가 저해되었다. 그러나 수명 연장율은 실험군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정제한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한 결과, 혈중 백혈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20mg/kg 투여군 39%, 50mg/kg 투여군 70%, 100mg/kg 투여군 83%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역과 관련이 있는 간장, 비장, 흉선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하고 분변으로 배출되는 IgA 항체의 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이 $2,092{\pm}123.0{\mu}g/mg$인 데에 비하여 매생이 추출물 투여군은 $2,454{\pm}113.8-2,670{\pm}133.1{\mu}g/mg$로 높게 나타났다. 매생이로부터 추출한 면역증강물질은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을 측정한 결과, 체중 1kg당 2,000mg 투여 시 까지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인체에도 무해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경기.강원 지역의 전통발효 청국장으로부터 Bacillus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분석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p. from the Traditionally fermented Cheonggukjangs in the Gyeonggi and the Gangwon Provinces)

  • 이남근;전은희;이효진;조일재;함영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76-28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경기(용인, 안성, 광주) 및 강원지역(오대산)에서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을 수집하여 지역별 발효 균주들의 동정과 특성분석 및 당 발효능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청국장에서 22종류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DNA의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대부분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경기지역의 주요 발효 균주는 B. subtilis와 B. licheniformis, 강원 지역은 B.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으며, 일반적인 생장 특성은 $5{\sim}7$시간의 유도기를 지나 $23{\sim}40$시간 이후에 휴지기로 접어들었다. 휴지기에 접어든 분리 균주들의 최대 생장 총 균수는 $1{\times}10^6\;CFU/ml$$5{\times}10^7\;CFU/ml$ 사이에 있었다. 균주들 간 당 발효능의 차이에 있어서 용인 지역은 D-xylose, xylitol, D-tagatose, Methyl-$\alpha$-D-mannopyranoside가, 안성은 D-lactose, D-tagatose, D-xylose, Methyl-$\alpha$-D-mannopyranoside, amygdalin, arbutin, esculin, 2-keto-gluconate가, 광주는 L-rhamnose, inositol, D-mannitol, D-sorbitol, celibiose, gluconate가, 그리고 오대산은 D-lactose에서 좋은 당 발효능을 보였다.

간장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제 1보) -제국중에 생육하는 효모에 대하여- (Studies on the Yeasts for the Brewing of Soy sauce ( I )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Yeasts in the soy sauce koji-)

  • 이택수;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97-103
    • /
    • 1970
  • 간장국제조과정중에 생육하는 효모들을 계수 및 분리 동정하고 TTC 정색에 의하여 유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장국 1g 중의 효모수는 3일국에 $97{\times}10^3$, 4일국에 $135{\times}10^3$, 5일국에 $179{\times}10^3$개로서 제국일수의 경과에 따라 효모수가 증가하였다. 2. 이들 효모의 TTC 정색에 었어서 White가 53.6${\sim}$71.9%, Red가 5.6${\sim}$11.1%, Red pink가 6.8${\sim}$1905 pink가 11.1${\sim}$22.6%로서 white 효모가 가장 많았고 Red 효모가 가장 적었다. 3. 30주를 임의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rouxii 5주, Saccharomyces fermentati 2주, Saccharomyces rosei 1주, Hansenula suaveolens 1주, Hansenula anomala 6주, Pichia polymorpha 6주, Debaryomyces nicotianae 2주, Debaryomyces hansenii 2주, Torulopsis candida 2주, Torulopsis sake 2주, Candida pelliculosa 1주등 6속 11종으로 동정되었다. 4. 등정한 이들 효모를 TTC 정색에 따라 유별한 결과 Hansenula suaveolens, Hansenula anomala, Candida pelliculosa, Debaryomyces nicotianae, Pichia polymorpha 등은 국중에 생육하는 전체 효모의 약 60%를 차지하는 TTC white 효모구에 속하였으며 Saccharomyces rouxii와Saccharomyces rosei는 Red 로 Saccharomyces fermentati와 Debaryomyces hansenii는 Red pink로 Torulopsis candida와 Torulopsis sake는 pink로 나타났다. 5. 분리된 효모의 대부분이 무염 또는 식염10% 합유배지에서 잘 생육하나 15-18% 식염 합유배지에서는 생육이 거이 억제되었다.

  • PDF

두과작물 근류균에 대한 생리 및 생화학적 연구 -I. 근류균 균주의 특성과 접종시험-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legunme nodule bacteria, Rhizobia -I. Some charateristics of isolated strains of Rhizobia and inoculation test on soy bean.)

  • 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1970
  • 두과작물과 그 근류균은 특수한 상호관계에 있으며 복잡한 과정을 거쳐 분자질소의 고정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기주식물의 종류, 품종에 대한 근류균종 및 균주의 접종친화성은 특이하여 근류형성성과 질소고정력이 다르므로 유효균주를 선발하여 접종의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 재배 또는 야생하는 두과작물 가운데 대두와 사료작물인 alfalfa, clover류, lespedeza, birdfoot trefil의 근류균을 수개지역의 여러품종(대두)에서 채집 분리하여 균의 형태, 배양 및 생리적인 성질등을 조사 비교하여 동정하고 대두 근류균을 대두에 접종하여 근류형성성을 조사 하였다. 분리한 균종과 균주는 형태와 배양특성 및 생리적인 성질로 분류되어 대두 근류균 56과 사료작물에서 11균주를 분리 선발하였다. 각 균주는 탄수화물의 이용성, 유기산생산성, hydrogenase 활성 및 indole 초산 생리력에 많은 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성질을 근류균 활성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근류균의 생육에 끼치는 몇가지 질소화합물의 영향을 시험한 결과는 화합물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asparagine과 glutamine이 가장 유효하였고 hydroxylamine, hydrazine, nitrite azide, thiourea등은 $1{\times}10^(-2)M/l$의 농도에서 균의 발육을 심히 저해하였다. 대두 품종 "장란백목"에 대한 25균주의 접종시험결과는 20균주가 상이한 정도로 근류를 형성하였고 5균주가 근류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이 가운데 한 균주에 의하여는 뿌리의 발육이 억제 변형되어 있었다. 이로써 대두품종에 대한 근류균 균주의 근류 형성 친화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1969년도 문교부 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이에 당국에 감사하며 또한 연구의 진행에 많은 격려와 고견을 베풀어주신 이춘영 교수, 시료채집에 적극 협조하여주신 김동암, 한상기 교수와 작물시험장 박근용 과장에게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 PDF

작물 흡수를 고려한 3차원 토양수분 분포 모델 개발을 통한 최적 점적 관개 연구 (A Numerical Model of Three-dimensional Soil Water Distribution for Drip Irrigation Management under Cropped Conditions)

  • 권재필;김승현;류순호;노희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16-123
    • /
    • 2000
  • 작물이 자라는 토양에서 점적 관개에 의해 일어나는 토양 수분의 분포와 이동을 3차원 직교 좌표계로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지면 증발과 증산을 고려하였으며, 이들의 계절적 현화와 하루 중의 시간변화 뿐 아니라 작물 뿌리의 성장 및 뿌리의 토양 중 분포형태도 고려하였다. 모델의 해는 block centered grid system등을 적용하여 Crank-Nicolson법과 Gauss-Seidel 반복법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모델은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점적 관개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모델을 이용한 컴퓨터 모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조건으로부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관수된 물은 점적기에서 멀어짐에 따라 그 유속이 크게 감소하였고, 관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습윤구역의 크기가 증가하는 속도도 급격히 감소하였다. (2) 1점 관수의 경우 습윤구역은 수평 방향보다는 수직 방향으로 더 깊이까지 도달하였다. (3) 본 연구조건에서 물이용 효율은 지하 25cm지점의 4점 관수가 가장 좋았으며, 지표면 1점 관수보다 증산량은 10% 증가, 지면 증발량은 20% 감소하였다. (4) disk tension infiltrometer에 의한 토양의 수분보유도 함수는 토양수분 압출에 의한 젖음 곡선과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도 알 수 있었다.

  • PDF

방울비짜루(Asparagus oligoclonos)로부터 분리한 스테로이드 사포닌의 항균활성 (Steroidal Saponins from the Rhizomes of Asparagus oligoclonos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 성재덕;박승용;오세량;곽용호;김금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36-140
    • /
    • 2000
  • 방울비짜루의 MeOH 추출물 및 수포화 BuOH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을 확인하고 그 원인물질을 구명하던 중 두 종의 steroid saponin을 분리하였다. 이들의 구조확인을 위해 $^1H,\;^{13}C$ NMR 및 2D NMR 등 분광학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최종 이들의 구조가 25S-spirostane계의 steroid saponin인$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25S)-spirostan-3{\beta}-ol$$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xylopyranosyl-(1{\rightarrow}4)]-{\beta}-D-glucopyranosyl}-(25S)-spirostan-3{\beta}-ol$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 두 화합물은 방울비짜루로부터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이들 saponin의 항균활성 및 항균 스펙트럼을 검사하기 위하여 20개 균주에 대한 MIC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그중 10개 균주에 대해 $100\;{\mu}g/ml$의 농도에서 세균의 성장을 저지하는 항균력이 있었으며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 PDF

버섯을 첨가한 전통고추장의 품질특성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Supplemented with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 안미란;정도연;홍선표;송근섭;김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29-234
    • /
    • 2003
  •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을 전통고추장 제조 원료로 첨가하여 고추장 발효과정 중의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버섯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적정산도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표고버섯 9% 첨가 고추장에서 가장 높았다. 알콜 함량은 느타리버섯 9% 첨가 고추장이 다른 고추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느타리버섯 첨가 고추장의 경우 버섯 첨가량이 많을수록 알콜 함량이 낮았으나 표고버섯 첨가 고추장에서는 반대 양상을 나타냈다. 아미노산성질소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버섯 9% 첨가 고추장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추장 색도에서는 버섯 첨가에 관계없이 발효기간동안 a같의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버섯첨가량이 많을수록 L, a 및 b값 모두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버섯 첨가 고추장에서는 세균 증식이 약간 지연되었고 버섯 종류에 따라 효모 증식 양상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발효 말기의 세균수와 효모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버섯 첨가 고추장의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에 대한 평점이 높았으며, 대체로 표고버섯보다 느타리버섯 첨가 고추장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양하의 근경에서 항균성 물질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from the Rhizome of Zingiber mioga Roscoe)

  • 김성철;송은영;김공호;권혁모;강상헌;박기훈;정용환;장기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46-250
    • /
    • 2003
  • 양하(Zingiber mioga Roscoe) 근경의 에탄을 추출물을 재료로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및 B. cereus에 대한 activity-guided fractionation을 실시하여 항균성 물질 세가지준 얻었다. 항균력실험 결과, 화합물 I과 111은 세가지균주 모두에 활성이 있었고, 화합물 II에서는 B. subtilis과 B. cereus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다. 그 중에서 가장 활성이 강한 화합물 I을 Bioscreen C로 optical density(600 nm)를 측정하여 증식억제실험을 한 결과 10 ppm 처리시 B. subtilis과 B. cereus에서 72시간동안 강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 aureus에서는 25 ppm 처리시 72시간동안 완전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1^H-NMR$, ${13}^C-NMR$, DEPT,$1^H-1^H$ COSY, HMQC, HMBC 및 IR 스펙트럼 등을 분석한 결과 화합물 I, II, III은 labdane-type diterpene인 $(E)-8{\beta}(17)-epoxylabd-12-ene-15,16-dial(C_{20}H_{30}O_3,\;MW=318)$, $galanolactone(C_{20}H_{30}O_3,\;MW=318)$ 그리고 galanal A($C_{20}H_{30}O_3,\;MW=318$)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양하의 근경에서는 처음 분리된 것이다.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2보. 항균활성 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I.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ies-)

  • 김해영;조규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62-267
    • /
    • 2003
  •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항균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를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다. 용매분획별 수율은 밤꽃에서 ethylacetate 1.94%, methanol 4.75% 및 water 7.81%였고, 밤잎은 ethylacetate 2.24%, methanol 5.03% 및 water 8.47%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은 Gram양성 및 음성의 모든 균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및 water 분획 추출물은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60\;{\mu}g/disc$ 이상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는 control에 비하여 밤꽂과 밤잎 추출물은 모두 낮은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각 추출물은 모두 배양 15시간까지는 현저히 낮은 생육저해를 보이다가 그 후는 약간 높아졌다. 밤꽃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육저해효과를 보인 반면에, water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생육저해를 보였으며, 밤잎 추출물은 각 추출물에서 거의 비슷한 생육저해를 보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을 B. subtilis에 각각 500 ppm씩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아니한 경우는 전형적인 Bacilli의 형태를 보였지만, methanol 분획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세포의 형태가 일그러지고 손상을 입은 형태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