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Bullie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Group-Bullied among Adolescents)

  • 김순구;이미련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377-385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o were the object of group bullying. Metho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done by the Colaizzi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participants and by further follow-up observations. Ten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t that time five of them had already overcome the situation, three were still in a difficult situation and the other two participants were in a temporary absence from school. Results: In the analysis 109 significant statements, 31 themes, 12 clusters of themes and 5 categories emerged. The 5 categories are as follows ; feeling inferiority, not being cared for, loneliness, suffering pain and building a relationship and resignation. The 12 clusters of themes are as follows ; dejection, not being sturdy, mal-function of the family, indifference of the society, loneliness, vexation, suffering, grievance, positive intervention of a support system, exertion, harmonizing and abandon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professionals to understand these adolescents. Approaching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hole man, can also be a practical methode for teaching.

  • PDF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CHOOL BULLIED)

  • 이주현;신지용;연병길;한창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221-230
    • /
    • 2000
  • 본 연구는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의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이다. 정상적인 중학교 1학년 학생 202명에게 도덕발달수준척도, 오퍼 자아상척도, 우울 및 상태 ${\cdot}$ 특성불안척도의 분포와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자아상과 우울, 불안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도덕발달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도덕발달이 정서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인지 발달적 과정에 의존하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사의 관찰에 의해 집단 따돌림 피해를 받으면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중학교 1학년 학생 5명의 도덕발달수준척도, 오퍼 자아상척도, 우울 및 상태 ${\cdot}$ 특성불안척도는 전체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피해학생들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쳐 인지적 집단 정신치료를 시행하고, 치료 전후에 상기 4가지 척도의 변화를 평가하여 효용성을 검정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참가 학생들이 치료 기간 중에 기재한 일기에서 확인되는 심리적 마음자세(psychological mindedness)의 향상과 담임 교사의 긍정적인 평가보고는 의미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괴롭힘 경험유형에 따른 우울불안, 학교유대감, 공격성의 차이 및 피해경험을 통한 가해경험 변화 (Differences Among Types of Bullying Experiences and Change of Bullying Behavior of Victimiz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김예성;김광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13-229
    • /
    • 2008
  • This study focused on bullying experience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school attachment, and aggression according to types of bullying experiences. The process of change of bullying behaviors of victimized children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of the 2004-2006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SPSC) were used for analysis. Subjects were 1,811 students from 11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Results showed that the bully/victim group had the most neg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bullying behaviors of victimized children increased two years after they were bullied, through increase of aggression followed by increase of depression and decrease of school attachment.

  • PDF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 정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llying Experience and Bioethics)

  • 문미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7-13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ully/victim experiences and bioethics of 5th and 6th graders. Participants were 3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th to 30th October, 2014 in G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d Scheff$\acute{e}$ post-hoc analysis by SPSS 18.0. Results: First, in regard to bioethics, significant factors were liking for growing plants (p<.001), emotions after killing insects (p<.001) and the number of friends (p=.003). In regard to bullying experiences, significant factors were gender (p=.021), religion (p=.026),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y (p=.019), liking for growing plants (p=.009), insect killing experience (p=.009). The bioethics score of the victim group (2.70 point) were higher than the bully group (2.49 point).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victim experiences and bioethics was negative. The factors affecting bioethics were liking for growing plants (${\beta}=.159$, p=.004), the number of friends (${\beta}=.124$, p=.030), experiences of being bullied (${\beta}=.352$, p<.001), emotions after killing insects (${\beta}=-.135$, p=.011). Conclus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develop rich learning content and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bioethics. Efficient bioethics program would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higher bioethics awareness. The entire society and families should wake up to the evil effects of school bullying and make concerted efforts to root it out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공감향상훈련이 집단따돌림 가해아동의 공감과 가해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Program on the Enhancement of Empathy and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 정정분;김종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4권1호
    • /
    • pp.237-26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mpathy training program on the empathy and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The research hypotheses set to achieve this goal were as follows. 1. An experimental group that gets empathy training might make a better improvement in empathy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and the effect of the training might last till eight weeks later. 2. An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goes empathy training might show a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and the effect of the training might last till eight weeks lat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were designated as bullies when 40 fifth graders from Y Elementary school and 31 children from S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T, south Gyeongsang province, took K-PNI. Those children were asked to tell about who were attackers and who were victims, and 10 children each were selected from the two elementary schools as bullies, who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the empathy training programs developed by Shin Gyeong- il(1994). That program was prepared to be appropriate at fifth grader level. To assess how much the selected children bullied their peers, Kim Seok-jin(1999)'s School Bullying Inventory was utilized. Besides, Song Ho-yeon's revised version to assess the change of counselee empathy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e, ANOVA was implemented.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empathy of the bullies for the better, and their improved empathy remained the same eight weeks later. Second,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had an effect in reducing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ir reduced bullying's degree eight weeks later. Third,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served to change their neglecting/ ostracizing and ridiculing/teasing behaviors. And the retention test that was implemented eight weeks later showed the effect of training remained unchanged. Fourth,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ir cursing/threatening actions according to the posttest results, but the retention test showed that its effect didn't keep on. Fifth,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didn't bring any changes to their robbing/striking actions either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or eight weeks later.

  • PDF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A Photovoice Study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민아;허일권;정상미;서정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이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바람을 탐색하였다.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청소년 6명(평균연령=18.33세)은 7회기로 구성된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집단토의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주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주제와 관련한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참여자들과 공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5가지 사회적 관계(친구, 학교 선생님, 이성친구, 부모님, 필요한 사람)와 관련하여 총 15가지 하위주제-(1)친구들과의 관계(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외롭고 고독함, 친구들로부터 놀림과 괴롭힘을 당함, 친구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함), (2)학교 선생님과의 관계(나의 마음을 이해해 주는 선생님께 감사함, 선생님과 교류가 많지 않아 속상함, 선생님이 나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람), (3)이성친구와의 관계(이성친구와 교제하고 싶음, 이성친구를 사귀는 것이 두렵고 걱정됨, 이성친구를 사귀기 위해 노력함), (4)부모님과의 관계(부모님의 한결같은 사랑에 감사함, 부모님과 함께 하는 시간이 즐거움, 아버지와 관계가 소원하여 아쉬움), (5)나에게 필요한 사람(나와 함께 해 주는 사람, 나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사람, 나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또래관계 향상 프로그램 및 또래갈등 대처방식 훈련, 이성관계 교육, 사회적 기술 강화, 비장애 청소년 및 교사,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욕구에 대한 교육 등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경로당 이용 여성 노인의 친구·이웃 집단따돌림 현상 연구 (Bullying Behaviors among Senior Women at Senior Center)

  • 이창숙;하정화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485-515
    • /
    • 2019
  •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여성 노인들 사이에 친구·이웃 집단따돌림 현상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문화기술지를 연구방법으로 선택하였으며, 집단따돌림 현상이 나타나는 A 경로당을 이용하는 여성 노인 1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관찰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radley(1979)가 제시한 문화기술지적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로당 이용 여성 노인의 친구·이웃 집단따돌림 현상은 외톨이로 만듦, 피해를 줌, 대응함, 벗어나지 못함이라는 네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먼저, 호의적이지 않은 분위기 속에서 집단따돌림 피해자는 의지할 곳 없는 외톨이가 되었다. 가해자들의 '공격함', '차별함', '고립시킴', '경로당 이용을 저지함'으로 인해 피해자들은 불리한 상황에 처하였다. 둘째, 피해자는 피해를 입는 동시에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가하였다. 이는 경로당을 함께 이용하는 사람들을 배려하지 않고, 거짓말로 속이는 모습, 집단생활을 하는 데 능숙하지 못한 측면, 기여가 적거나 통제된 생활을 어려워하는 상황으로 드러났다. 셋째, 경로당 여성 노인들은 '회피함', '지지 않음', '개선하려 함', '다른 관계를 통해 따돌림에서 빠져나오고자 함' 네 가지 방법으로 집단따돌림 현상에 대응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A 경로당은 지속적으로 집단따돌림 현상에 머물러있는 모습을 보였다. 끊임없이 새로운 따돌림 대상이 출현했으며, 따돌림은 경로당 안뿐만 아니라 경로당 밖까지 퍼져나갔다. 이러한 결과는 경로당 여성 노인의 집단따돌림 현상이 아동·청소년, 직장 집단따돌림과 유사한 역동을 보여주면서도, 상이한 개인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이들과 다른 독특한 측면이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경로당 이용 여성들의 집단따돌림 현상의 고유한 전개 양상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집단따돌림 중 경로당 여성 노인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논의를 보다 구체화하고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Predictors and Prevalence of Alcohol and Cannabis Co-use Among Filipino Adolescents: Evidence From a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 Yusuff Adebayo Adebisi;Don Eliseo Lucero-Prisno III;Jerico B. Ogaya;Victor C. Canezo Jr.;Roland A. Niez;Florante E. Delos Santos;Melchor M. Magramo;Ann Rosanie Yap-Tan;Francis Ann R. Sy;Omar Kasimie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3호
    • /
    • pp.288-297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alcohol and cannabis co-use among 9263 Filipino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2019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GSH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econdary analysis of the GSHS, targeting adolescents aged 13-17 years and excluding cases with incomplete data on alcohol and cannabis use. Our analysis employed the bivariate chi-square test of independenc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using Stata version 18 to identify significant predictors of co-use, with a p-value threshold set at 0.05. Results: The weighted prevalence of co-users was 4.2% (95% confidence interval [CI], 3.4 to 5.3). Significant predictors included male sex (adjusted odds ratio [aOR], 4.50; 95% CI, 3.31 to 6.10; p<0.001) and being in a lower academic year, specifically grade 7 (aOR, 4.08; 95% CI, 2.39 to 6.99; p<0.001) and grade 8 (aOR, 2.20; 95% CI, 1.30 to 3.72; p=0.003). Poor sleep quality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aOR, 1.77; 95% CI, 1.29 to 2.44; p<0.001), as was a history of attempted suicide (aOR, 5.31; 95% CI, 4.00 to 7.06; p<0.001). Physical inactivity was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co-use (aOR, 0.45; 95% CI, 0.33 to 0.62; p<0.001). Additionally, non-attenda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OR, 1.48; 95% CI, 1.06 to 2.05; p=0.021), infrequent unapproved parental checks (aOR, 1.37; 95% CI, 1.04 to 1.80; p=0.024), and lower parental awareness of free-time activities (aOR, 0.63; 95% CI, 0.45 to 0.87; p=0.005)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co-use. Factors not significantly linked to co-use included age group, being in grade 9, always feeling lonely, having no close friends, being bullied outside school, and whether a parent or guardian understood the adolescent's worries.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critical need for comprehensive interventions in the Philippines, addressing not only physical inactivity and parental monitoring but also focusing on sex, academic grade,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leep quality, and suicide attempt history, to effectively reduce alcohol and cannabis co-use among adolescents.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 - 한국아동인성검사를 이용하여 - (A STUDY ON THE PERSONALITY TRAIT OF BULLYING & VICTIMIZED SCHOOL CHILDRENS)

  • 진혜경;김종원;최윤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94-102
    • /
    • 2001
  • 최근 학교 아동들 사이에 집단따돌림현상이 문제화되고 있다. 학급에서 여러명의 학생이 특정 학생을 놓고 집중적으로 괴롭히고 따돌리는 현상은 비단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뿐만 아니라, 따돌림을 하는 아동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따돌림의 원인은 다양하며 그중 따돌리거나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의 인격적 측면도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 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 사이에 인격성향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215명(남자 115명, 여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과 아동의 보호자에게 집단따돌림의 여부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아동의 보호자에게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1997)를 실시하여 아동에 관한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집단간 차이는 ANOVA, post hoc scheffe test, Student’s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은 각각 11명(5.1%), 56명(26.0%), 11명(5.1%), 137명(63. 7%)이었다. 2) 따돌림피해의 빈도에 있어 1회 15명(7.0%), 2회 4명(1.9%), 3회이상 3명(1.4%)이었다. 또한 따돌림 가해빈도는 1회 40명(18.6%), 2회 17명(7.9%), 3회이상 10명(4.7%)이었다. 3) 집단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에 있어 한국아동인성검사상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자아탄력성(p=.00)척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과잉행동(p=.00), 정신증척도(p<.01)는 유의하게 높았다. (2) 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 및 가해군은 자아탄력성척도(p=.00)가 유의하게 낮았고, 신체화(p=.00). 과잉행동척도(p=.00)는 유의하게 높았다. (3) 가해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사회관계(p=.00), 정신증(p<.01), 자폐증척도(p=.00)가 유의하게 높았다. (4) 가해군은 무경험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 보아 피해아동은 상황에 따른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며, 대인관계를 잘 갖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어 또래관계에서 소외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사회기술이 떨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인격성향을 보이며, 이러한 특성은 피해전의 특성일수도 있으나, 피해로 인해 생긴 문제일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 및 가해아동도 피해아동처럼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으나 사회적 관계를 맺는 기술의 문제나 정신증적인 특성, 자폐증적인 특성을 보이지 않고, 자신이 피해후 갖게된 분노감, 우울, 불안 등을 신체화시키고, 그러한 느낌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친구를 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피해아동보다 피해후 발생하는 사회적 위축이나 적응상의 문제가 더 적을 것이다. 또한 가해 아동은 인격성향에 있어서 특이소견이 없었던 바 사회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