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id Charging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7초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 전력망 간의 통신 상호운용성 연구 (Communication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U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nd Grid Network)

  • 주승환;이일호;송상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5-25
    • /
    • 2018
  • ISO/IEC 15118 is a standard for communications and service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lthough this standard deals only with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e statio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vehicle certification and V2G service for electric power transmission. In this study, it was designed to verify the information of electric car charging infrastructure in electric power system through communication link between ISO/IEC 15118 electric vehicle model and IEC 61850 standard MMS protocol. This is demonstrated in the field so that the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data is linked with the micro grid management system. This could be used as an element technology in other distributed power sources as well as electric cars in the future.

AC 회생이 가능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시스템 (AC Regeneratable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 System)

  • 김준구;윤선재;김재형;원충연;나종국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99-106
    • /
    • 2012
  • In this paper, 15[kW] AC regenerative system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 is proposed. The regenerative system is able to regenerate surplus energy to the grid in discharging mode, and the inverter of the system can be operated as a converter to compensate scarce energy in charging mode. In case of the conventional DC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the regenerative energy is consumed by a resistor. However, as the proposed system regenerates the surplus energy to the grid through using DC-AC inverter, the energy saving effect can be achieved. In this paper, 15[kW]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is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 system i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안티아일랜딩 기능을 적용한 전기자동차 충전계통 연계 스마트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mart Grid Monitoring System with Anti-Islanding Function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 노선희;신범식;이경중;기영훈;안현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1-3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스마트그리드와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연계과정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안티아일랜딩 기능을 적용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계통과 연계된 스마트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그비(ZigBee)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며, 별도의 물리적 연결 없이 원격 제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그리드 내 독립전원에 아일랜딩 현상이 발생하면, 아일랜딩 현상이 발생한 독립전원을 즉시 감지하여 차단하고 다른 독립전원으로 대체하여 그리드의 안정적인 운용을 하도록 하며, 실험을 통하여 스마트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한다.

전기자동차 충전 효율성을 고려한 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반 충전 인프라 구조 (Mobile Edge Computing based Charging Infrastructure consider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fficiency)

  • 이주용;이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69-674
    • /
    • 2017
  • 화석 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의 증가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가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보급률 및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V2G (Vehicle to Grid) 및 IT 기술을 이용한 충전 인프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충전 및 부하 관리를 위하여 그리드 네트워크와의 통신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기존의 중앙 집중형 인프라 구조의 경우 제어 메시지 요청이 증가할 경우 느린 응답속도로 인하여 충전 인프라가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무선 기지국에 적용하여 충전 인프라에 혼잡을 줄이고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MEC (Mobile Edge Computing)를 활용한 새로운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구조를 제안한다. 성능 평가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저 지연시간을 가지는 충전 인프라가 기존에 존재하는 충전 인프라보다 효율적으로 전력 피크 상황에 대처함을 확인하였다.

A 15kW Grid-Connected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with AC Regeneration Function

  • Youn, Sun-Jae;Kim, Jun-Gu;Kim, Jae-Hyung;Won, Chung-Yuen;Na, Jong-Kuk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1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91-493
    • /
    • 2011
  • In this paper, a 15kW grid-connected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was proposed. AC regenerative device which consisted of an inverter using IGBTs and LCL filter transferred surplus power to grid. Phase locked loop(PLL) was used to resolve three-phase unbalance. AC regeneration function is able to improve the rate of energy use and the cost savings of energy is expected.

  • PDF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에서의 보안위협 및 보안요구사항 분석 (An Analysis of the Security Threats and Security Requirement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 강성구;서정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027-1037
    • /
    • 2012
  • 지구 온난화에 대한 대응 노력으로 스마트그리드가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정부는 CO2 배출량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수송 분야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으로 전기자동차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는 지능화를 위해 IT기술을 접목하고 있어 기존 IT기술이 가지고 있던 보안위협들을 그대로 상속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보다 안전한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에 대한 논리적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보안위협들을 식별하였다. 또한, 이러한 보안위협들을 대응하기 위한 보안요구사항을 분석 및 제시하였다.

태양광 발전 연계 계통에서의 전기자동차 충전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 PV integrated Power System)

  • 이웅희;김준혁;이순정;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341-342
    • /
    • 2015
  •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how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electric vehicle in recent years. The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with a solar power is way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grid and to supplement the grid power demand. In this paper, the EMTP / ATPDraw presents a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connection to the grid and the solar power system, and analyze the trends in supply power from the solar power system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irradiation.

  • PDF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시스템을 활용한 모빌리티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ntrol Strategies of Mobility Charging Systems Using PV-ESS Systems)

  • 김대원;이현민;박성민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34-341
    • /
    • 2021
  • Operation modes and control strategies for single-phase mobility charging station utilizing photovoltaic (PV)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systems (ESS) are proposed. This approach generates electric power from PV to transmit the mobility, ESS, and then transfer it to the grid when surplus electric power is generated during daytime. However, the PV power cannot be generated during night-time, and ESS and the mobility system can be charged using grid power. The power balance control based on power fluctuations and the resonant current control that can compensate harmonic components have been added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The MATLAB/Simulink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proposed control method, and the 2-kW single-phase grid-tied PV-ESS smart mobility charger was built and tested.

스마트카드 및 동적 ID 기반 전기 자동차 사용자 인증 스킴 (Smart Card and Dynamic ID Based Electric Vehicle User Authentication Scheme)

  • 정수영;곽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141-148
    • /
    • 2013
  • 스마트그리드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의 양방향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동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 기술과 접목시킬 경우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활성화시키고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가정용 축전지로 활용하여 재판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는 가정, 아파트, 건물, 기타 충전소 등에 고정적으로 위치하여 있고 사용자만 유동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한다. 만약 유동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력 서비스의 불법적인 사용, 전력 정보 유출, 불법적인 전력 요금 변경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안전하게 전기 자동차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스마트카드 및 동적 ID 기반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한다.

중앙제어기반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에너지관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wer Management Algorithm of Centraliz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도반콴;이성준;이재덕;배정효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3호
    • /
    • pp.566-571
    • /
    • 2011
  • As Plug-in Hybrid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PHEV/EV) take a greater share in the personal automobile market, their high penetration levels may bring potential challenges to electric utility especially at the distribution level. Thus, there is a need for the flexible charging management strategy to compromise the benefits of both PHEV/EV owners and power grid side. There are many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that depend on the objective function and the constraints caused by the system. In this paper, the schema and dispatching schedule of centralized PHEV/EV charging spot network are analyzed. Also, we proposed and compared three power allocation strategies for centralized charging spot. The first strategy aims to maximize state of vehicles at plug-out time, the rest methods are equalized allocation and prioritized allocation based on vehicles SoC.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each run of the optimized algorithms can produce the satisfactory solutions to response properly the requirement from PHEV/EV cust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