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area ratio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초

도시근린공원의 포착력에 따른 유치권 구분연구 (A Study On Dividing The Enticing Area According To The Catchment Of Urban Community Parks)

  • 권상준;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8-127
    • /
    • 1991
  • This study has purposes of not only establishing urban community park systems and index for designing the parks, which were reviewed from Korean urban community parks, but also finding the relation and the enticing area according to the catchment of urban community parks. This paper suggested two hypotheses. a. The strength of the catchment force of urban community parks can be represented to the usetimes or visitors of the parks, related with the distance for reaching the parks. b. The strength of the catchment force of the parks can be found to express the idiosyncratic one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parks. The suggested hypotheses were testified from Korean 9 urban community parks in Seoul., Suwon, Chongju, and Chonan, conforming the multiregressions of the variables, distance and usetime in the case of the first hypothesis, scale, the ratio of green space, population, the budget for the park, facilities and the function of the city in the case of the second hypothesis.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usetime with distance except one were over about 0.8. The second hypothesis was testified with multiregressions for the variables. Therefore, the enticing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zones ; a closed aone to parks, a good used aone for parks, a possible zone for using parks.

  • PDF

서울시내 동절기 상록성 지피식물식재 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Present Status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in Winter of Seoul)

  • 이정석;방광자;곽병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5
    • /
    • 1991
  • The current status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as of in the winter months in 50 places selected at random in Seoul was assessed to see how they are at the present, and the following matters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were observed to be common aspect of them today during the year of 1989 and 1990 and in winter of Seoul. 1. Ground-cover area in 50 different places of Seoul was 36% of the green area, and the evergreen ground-cover area was 3% of total ground-cover area. As the result, most of ground cover plants founded to be zoysia grasses. 2. Total number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species was 24, and the species most frequently found were Juniperus chinensis and horizontalis, Buxus koreana, Liriope platyphylla var. nana. Taxus cuspidats, Rhododendron lateritium, Pleioblastus pygmaea, Poa pratensis in that order of the number of plasces assessed, and sere Poa pratensis, Agrostis tennuis, Liriope platyphylla, Buxus koreana, Juniperus chinensis and horizontalis, Taxus cuspidata. var. nana, Rhododendron lateritium in the order of area planted. 3. Woody plants included 9 species and occupied 16% in the area, also introduced plants included 14 species and occupied 79% in the area. As introduced evergreen grasses occupied, almost of evergreen ground-cover herbs, planting of evergreen ground-cover herbs and native plants are thought to be desirable. 4. Flowering plants of 16 species were found to be 16% of the total evergreen ground-cover area. 5. The ratio of topographical difference, such as plain versus slope for planting site, was 82 and 18% respectively, and sunny versus shady and intermediate places were 72, 15 and 13% respectively. 6. Although appearance of plants was generally fair, poor and drying plants were assessed 33% for the number of places planted, and 11% for the area. It seems to be necessary to manage those plants to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and desiable to introduce various plant species adaptable to the winter climate of Seoul and grow for the winter landscaping purpose. 7. The poor use and lack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are regarded to be deficient in the valus and reconization of them, particularly in the landscaping works. It is therefore considered important to bring out pertinent measures against these inadequate situations.

  • PDF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피복 변화에 관한 연구 (Survey of the Land-Cover Type Pattern in High-rise Building)

  • 홍석환;한봉호;김홍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23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고층 건축물 15개소를 선정하여 토지피복특성과 변화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은 건폐지와 비건폐포장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79.7%로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녹지 및 수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았다. 또한 대부분 지역은 지하개발이 이루어져 조사대상지 평균 생태면적률은 15.90%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준공시기에 따른 피복유형 현황분석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건폐율이 낮아지고 있었으며, 생태면적률이 증가하고 있었다. 반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비건폐포장지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생태적 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포장공간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그린캠퍼스 정책과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AASHE, UNEP & ISCN-GULF 간 비교를 중심으로- (University Green Campus Policy & Evaluation Criteria -Focus on Comparison of Korea, US AASHE, UNEP & ISCN-GULF-)

  • 오준걸;염대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77-586
    • /
    • 2018
  •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은 교육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공간과 사용자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라는 점에서 특히 그린캠퍼스는 중요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그린캠퍼스의 정책과 평가기준, 미국의 AASHE의 정책과 국제기구인 UNEP, ISCN-GULF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과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대학의 그린캠퍼스 조성의 활성화와 그린캠퍼스 인증 시행에 대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에서 개별 건축물의 경우 현재는 G-SEED에 의존한다. 하지만 인증의 시행을 위해 전체 건축물 총 연면적 대비 G-SEED인증 건축물 연면적의 비율로 평가항목을 마련하여 차등점수를 부여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은 캠퍼스별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전체 평가항목의 수를 늘려서 평가항목과 점수를 신청 캠퍼스의 특성에 부합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STARS의 비교에도 나타나듯이 한국은 다른 친환경 건축물 인증과의 차별화를 위해 그린캠퍼스의 교육부문 평가영역에서 대학의 지속가능한 교육과정개발의 피드백이나 결과물의 관리와 이에 대한 명확한 보상을 보장하는 평가항목이 필요하다.

지하공동구 내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휘도 분석 및 광색 적용 연구 (Visual Signal Luminance Analysis and Light Source Color Application Study for Escape Guidance in Underground Common Duct)

  • 임종민;공효주;신진수;신상욱;유성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06-816
    • /
    • 2022
  •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내 실시간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표출 광색에 대하여 연기발생 상태의 휘도측정 분석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기 중의 빛의 산란 특성 및 시인성 이론에 근거한 광학적 기술을 분석하고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표출 장치 시작품을 통하여 유도기능으로서의 요소기술을 분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연기 발생 조건 상태에서 수행한 실험에서 적색, 녹색, 황색 순으로 휘도비가 낮고 가시성이 좋은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단, 본 결과는 연색성이 고려되는 일반 조명과는 다른 결과로 신호용, 감지용 등의 시그널에 국한된다. 결론: 신호용, 감지용 비주얼 시그널의 표출 광색에 대한 연기 발생 이벤트 상황에서의 휘도 측정 결과와 선행 연구에서 실시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모두 반영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기발생 이벤트 발생 시 적색 또는 녹색의 광색으로 탈출 유도 비주얼 시그널을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항공 LiDAR 및 RGB 정사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도시녹지 분류 (Classification of Urban Green Space Using Airborne LiDAR and RGB Ortho Imagery Based on Deep Learning)

  • 손보경;이연수;임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3-98
    • /
    • 2021
  • 도시녹지는 도시 생태계 건강성 증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건강한 도시 생태계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는 도시녹지의 공간적인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환경부에서는 2010년 이후부터 총 41개의 분류 항목을 갖는 1m 급 해상도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제공해오고 있으나, 가로수와 같은 도시 내 고해상도 상세 녹지 정보는 기타 초지로 분류되거나 누락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지역을 대상으로 1m 이하 급의 고해상도 원격탐사 자료(항공 LiDAR 및 RGB 정사영상)를 이용하여, 기존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고해상도의 상세 도시 녹지(수목, 관목 및 초지) 정보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분류 기법으로는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분할방법인 U-Net 구조의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분류 항목의 수 및 사용하는 자료의 종류에 따라 총 3가지의 모델(LRGB10, LRGB5, 및 RGB5)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검증 지역에 대한 세 모델의 평균 전체 정확도는 각 83.40%(LRGB10), 89.44%(LRGB5), 74.76%(RGB5)이며, 항공 LiDAR와 RGB 정사영상을 함께 사용하여 총 5개의 항목(수목, 관목, 초지, 건물, 및 그 외)을 분류하는 LRGB5 모델의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원시의 수목, 관목 및 초지 기준의 전체 녹지 현황은 각 45.61%(LRGB10), 43.47%(LRGB5), 및 44.22%(RGB5)로 나타났으며, 세 모델 모두 기존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와 비교하여 평균 13.40%의 도시 수목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도시녹지 분류 결과는 향후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와 같은 기존 GIS 정보와의 융합을 통해 가로수 녹지 비율 현황 등 추가적인 상세 녹지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도시녹지 연구 및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연광기상실에서 인삼생육에 대한 광질의 영향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Growth of Panax ginseng in a Phytotron With Natural Light)

  • 박훈;이미경;안상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65-168
    • /
    • 1989
  • 묘삼을 분재배하여 인공기상실 $15^{\circ}C$ 자연광실에서 여러가지 색의 셀로판지를 차광재로로 5~10%의 투광율로 재배하였다. 상대근중9최종생근 중/최초 생근 중)은 청>녹>백>황>적의 순서였다. 지상부 생육 특히 경장은 청색 광하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상대근중은 경장과 부상관을 보였으며 이 관계에서 각 광질은 특수한 영역을 보여 청과 녹이 한 군, 적과 황이 다른 한 군으로 분리되었다. 경장은 주당엽 면적과 전체 또는 각개의 광질내에서 정상관을 보였는데 적색 광에서만 유의성이 없었다. 잎중의 엽록소 a 및 b의 함량 또는 엽록소 a/b 비율은 백>청>녹>적>황의 순이었으며 엽록소 a와 b간, 전엽록소와 a/b 비율간 a/b 비율과 엽록소 a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 정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사실들은 청색 차광자재가 인삼생산에 유리할 것임을 보여준다.

  • PDF

$\textrm{CO}_2$인 농도 및 온도 환경이 고추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vated $\textrm{CO}_2$ and Temperature on the Seedling Characteristics in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cv, Soonjung))

  • 안종길;최영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55
    • /
    • 2002
  • 고추(Capsicum annuum L. cv. Soonjung)의 plug tray육묘시 $CO_2$와 온도처리가 우량묘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초장은 611 ppm의 $CO_2$를 처리하였을 경우에 20.3$^{\circ}C$와 22.6$^{\circ}C$의 고온하에서 촉진되었으나, 15.6$^{\circ}C$의 저온하에서는 촉진효과가 없었다. 엽면적과 생체중은 22.6$^{\circ}C$의 고온에서 고농도의 $CO_2$를 처리하였을 경우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잎, 줄기, 뿌리 및 총건물중은 611 ppm의 $CO_2$를 처리하였을 경우에 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으나, 397ppm의 $CO_2$농도에서는 22.6$^{\circ}C$의 고온에서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611 ppm의 $CO_2$처리에 의한 건물중의 증가는 20.3$^{\circ}C$ 이상의 고온과 고농도의 $CO_2$에서 약 1.5배 증가하였다. C/N율은 611 ppm의 $CO_2$ 처리가 397 ppm의 $CO_2$ 농도에서보다 높고, 온도의 상승과 함께 증가하였다.

Effect of Different Zeolite Supported Bifunctional Catalysts for Hydrodeoxygenation of Waste Wood Bio-oil

  • Oh, Shinyoung;Ahn, Sye-Hee;Choi, Joon We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44-359
    • /
    • 2019
  • Effects of various types of zeolite on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hydrodeoxygenation (HDO) of bio-oil obtained from waste larch wood pyrolysis were investigated herein. Bifunctional catalysts were prepared via wet impregnation. The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through XRD, BET, and SEM.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HDO enhanced the fuel properties of waste wood bio-oil, such as higher heating values (HHV) (20.4-28.3 MJ/kg) than bio-oil (13.7 MJ/kg). Water content (from 19.3 in bio-oil to 3.1-16.6 wt% in heavy oils), the total acid number (from 150 in bio-oil to 28-77 mg KOH/g oil in heavy oils), and viscosity (from 103 in bio-oil to $40-69mm^2/s$ in heavy oils) also improved post HDO. In our experiments, depending on the zeolite support, NiFe/HBeta exhibited a high Si/Al ratio of 38 with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545.1m^2/g$), and, based on the yield of heavy oil (18.3-18.9 wt%) and HHV (22.4-25.2 MJ/kg), its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emperature and solvent concentration variations. In contrast, NiFe/zeolite Y, which had a low Si/Al ratio of 5.2, exhibited the highest improved quality for heavy oil at high temperature, with an HHV of 28.3 MJ/kg at $350^{\circ}C$ with 25 wt% of solvent.

산청 웅석봉군립공원 내 활엽수림유역의 강수와 유출특성 (Rainfall and Runoff Characteristics on a Deciduous Forest Watershed in Mt. Ungsek, Sancheong)

  • 김기대;최형태;임홍근;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63-6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산청군 웅석봉군립공원 내 활엽수림유역을 대상으로 산악성 강수특성과 녹색댐 기능을 구명하기 위해 총 6년 동안(2011~2016년) 수문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산지(시험유역)와 평지(산청 기상관측소)의 강수특성을 비교한 결과, 평지에 비해 산지에서 강수량이 많았으며, 산지에서 강수강도가 높은 것으로 볼 때 산악성 강수효과가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 기간(2011~2016년)은 평년(1981~2010)에 비해 강수량이 증가하였고, 계절적 강수분배 등이 변화한 것은 나타나 기후변화로 인해 산청지역의 강수환경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출률은 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겨울, 여름, 가을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산지적설과 융설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유출수량은 여름, 봄, 가을, 겨울 순으로 높았으며, 총 유출량은 $10,143.8ton{\cdot}ha{\cdot}yr^{-1}$로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