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vity flow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8초

자유수면 아래서 유한 Froude 수로 전진하는 2차원 수중익의 부분 및 초월 공동 유동 문제 해석 (Application of a Potential-Based Panel Method for Analysis of a 2-Dimensional Cavitating Hydrofoils Advancing Beneath a Free-Surface)

  • 류재문;이창섭;김영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12-122
    • /
    • 1993
  • 자유수면하에서 유한한 속도로 진행하는 2차원 수중익 주위에 발생하는 부분 및 초월 공동문제를 포텐셜을 기저로 하는 양력판 이론에 의해 해석하였다. 2차원 수중익 주위에 선형화된 자유표면 조건, 방사조건 및 무한수심 경계조건을 만족하는 법선 다이폴과 쏘오스를 분포함으로써 양력 및 캐비티 문제를 표현하였다. 수중익 표면에서의 역학적 경계조건은 수중익 내부의 전유동이 0이라는 조건으로 등치 되었고, 캐비티 표면에서의 역학적 경계조건인 압력이 일정 하다는 조건을 만족 시키기 위해 Bernoulli 방정식에 나타나는 정수압을 고려하였다. 계산결과로부터 공동 발생으로 인해 수중익 주위의 파형이 많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공동현상 해석문제에서 무시되었던 정수압의 영향이 자유수면 아래에서 발생하는 초월공동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수중익의 몰수깊이가 작을 때는 중력의 영향으로 캐비티의 크기가 커지게 되나 깊이 잠김에 따라 감소되고 있으며 양력은 몰수깊이가 커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 알 수 있었다.

  • PDF

수직관에서 중력에 의한 고체하강속도 (Solid Descending Velocity by Gravity in a Vertical Downcomer)

  • 류호정;박재현;선도원;이승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522-526
    • /
    • 2012
  • 수직 고체하강관에서 고체하강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리한 실험방법을 제시하였으며 Geldart 분류 A, B, D 입자를 사용하여 수직관의 직경 및 입자특성 변화에 따른 고체하강속도를 측정 및 고찰하였다. 초기 입자 장입량 변화에 따른 고체하강속도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고체하강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고체흐름속도, 고체순환속도 및 고체하강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고체하강속도의 경우 모든 입자에 대해 하강관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Geldart 분류 A 및 B 입자와 Geldart 분류 D 입자의 결과가 확실하게 구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측정된 고체하강속도를 바탕으로 Geldart 분류 A 및 B 입자계와 D 입자계에 대한 고체하강속도 상관식을 제시하였으며 측정값과 유사한 값을 예측할 수 있었다.

사방댐 입지조건에 관한 연구 - 충청지역과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 Condition for Erosion Control Dam - Focus on Chungcheong region and Kyeongsangbuk-do -)

  • 박세준;이준우;최윤호;김명준;권형근;전용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23-229
    • /
    • 2010
  • This study is to analyze location conditions for erosion control dams to be constructed in Chungcheongnam-do, Daejeon Metropolitan City, Chungcheongbuk-do and Gyeongsangbuk-do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conditions for erosion control dams in the future. 199 sites where erosion control dams are expected to be built in 2010 were chosen and investigated in terms of 12 factors including basin area, basin slope, and landslide risk. The results showed that erosion control dams for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 mostly impermeable gravity dams mainly composed of concrete. In contrast, Chungcheongbuk-do and Gyeongsangbuk-do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permeable or compound erosion control dams. Basin analysis at planned erosion control dam sites showed that at least 44.5% of the total area has high landslide risk. Gyeongsangbuk-do had the largest basin area for erosion control dam sites at 157.3ha, followed by Chungcheongbuk-do at 64.4ha and Chungcheongnam-do at 54.8ha. Analysis of sand deposits in the Chungcheongnam-do erosion control dam built in 2010 confirmed an average deposit of 971.8m3. The sand deposit capacity and amount of sediment control for erosion control dams have a very low correlation with basin area or flow path slope, and this needs to be addressed in future sand deposit capacity designs.

영남권 도시들 간의 상보성 측정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도시 접근 (Measuring Complementarities between Cities in the Korean Southeastern Region : A Network City Approach)

  • 손정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38
    • /
    • 2015
  • 본 연구는 21개 영남권 도시들 간 네트워크 시간거리와 유동량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간의 상보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람, 화물, 정보, 금융 등 네 가지 유형의 유동이 고려되었다. 이들 중 사람과 화물의 유동은 교통 네트워크상에서, 그리고 정보와 금융의 유동은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먼저 도시들 간 유동의 기댓값이 중력모형에 기초한 회귀분석모형과 이중제약 엔트로피 극대화모형을 통해 추정되었다. 이를 통해 추정된 유동량은 사람 및 화물의 경우 실측 유동량으로부터 그리고 정보와 금융의 경우 추정유동량으로부터 차감하여 양의 결과값, 즉 상보성을 가지는 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들 네 가지 유형의 상보성 유동이 공간패턴과 도시계층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독특한 도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이 지역에서 네트워크 도시 모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기반시설 공급과 관련된 이슈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보성의 각 유형별로 맞춤형의 전략이 바람직할 것임을 시사한다.

  • PDF

저품질의 순환골재를 혼입한 초속경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물성 및 부피안정성 (Basic Properties and Dimension Stability of Ultra Rapid Setting Cement Mortar Containing Low-Quality Recycled Aggregate)

  • 전상민;김형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46-252
    • /
    • 2021
  • 초속경 시멘트 모르타르에 KS 기준보다 흡수율이 높고 비중이 낮은 저품질의 순환골재가 혼입되었을 때 모르타르의 기초물성과 부피안정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순환골재를 사용하지 않는 배합은 관련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 보수 모르타르의 것을 따랐다. 라텍스 혼입 및 미혼입 배합에 대해 잔골재에 대해 부피비로 15%, 30% 치환하였으며, 모르타르의 슬럼프, 응결시간, 압축/휨강도, 그리고 밀봉/노출 양생에 따른 길이변화량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저품질의 순환골재가 사용될 때,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24시간 이내 극초기 강도가 최대 50%까지 감소하거나, 건조수축이 최대 2배 까지 증가할 위험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심정맥관 삽입 시 발생하는 공기유입량의 예측: 실험연구 (Prediction of air inflow during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experimental study)

  • 정효재;김양원;박창민;박철호;강지훈;윤유상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41-64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incidence and amount of air inflow during central venous catheter (CVC) insertion. Methods: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aimed at designing an apparatus to implement blood vessel and blood flow in the human body. A 1.5-m long core tube with a Teflon tube, suction rubber tube, and polyvinyl chloride tube were made. This core tube was assumed to be the blood vessel of the human body. Blood was replaced with a saline solution. The saline solution was placed higher than the core tube and flowed into the inside of the tube by gravity. The CVC was injected 15-cm deep into the core tube. The air was collected through a 3-way valve into the upper tub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differentiating the pressure in the tube, CVC insertion step, and diameter of the end of the catheter. The experiment was repeated 10 times under the same conditions. Results: The amount of air decreased with increasing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Air was not generated when the syringe needle was injected, and the amount of air increased with increasing size of the distal end catheter. Conclusion: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air embolism,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distal end catheter at the earliest point as soon as possible.

Micro Shell을 이용한 철기 문화재 복원용 충전제의 사용성 연구 (A Study of Usability of Micro Shell as a Filler for Restoration of Iron Objects)

  • 이현지;위광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7권
    • /
    • pp.91-102
    • /
    • 2022
  • 철기 문화재 복원에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질 충전제는 열팽창률감소, 흐름성 개선 등의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충전제의 양이 많을 수록 복원재의 물성저하 및 황변 현상 촉진의 원인이되며, 결과적으로 재처리로 이어져 유물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복원제와 충전제의 혼합 정량화 및 황변성 연구 필요성이 강조될 수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리카계 경량 충전제인 Micro Shell을 비교군으로 물성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에 사용하던 충전제에 비해 Micro Shell이 황변도 발생 수치가 최대 34% 낮았으며, 충전제의 배합양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접착력과 비중의 물성 수치값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Micro Shell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철강산업부산물을 사용한 방조제용 그라우트 재료 및 그 특성 (Properties of Grout Material for Seawall Using Slags from Steel Making Industry)

  • 김하석;김기석 ;백봉현;육심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23-530
    • /
    • 2022
  • 해수의 흐름이 존재하는 방조제 제체 보강공사 시 가장 큰 문제는 재료의 유출로, 콘크리트의 중력식 타설은 원활히 공극을 채우기 어렵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멘트는 해수에 분산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경화 후 품질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인근 환경에 악역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주입이 가능한 겔형태의 주입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결성을 띠는 전기로환원슬래그 및 고로슬래그를 활용하여 초기 강도와 해수 침지에 따른 내구성 향상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실리카계 약액과의 반응을 통해 흐름성을 갖는 겔형태의 주입재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겔의 흐름성은 배합에 따라 105~143 mm 수준으로 현장모사 시험을 통해 외부 유출 없이 공극을 채울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탄소복합소재를 적용한 18ft급 레저보트의 수선하부 저항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stance Performance Under Hull Form of 18ft Leisure Boat with Carbon Composite Materials)

  • 신국환;송준희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6호
    • /
    • pp.350-356
    • /
    • 2021
  • 활주 선형의 선박은 직선으로 운항하거나 선회할 때, 그 속도에 따라 위치와 트림이 변화하며, 선체에 큰 저항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탄소복합소재를 선체에 적용하여 선체무게와 내구성이 향상된 레저보트의 전산유체역학을 통해 선형에 대한 저항을 추정하였다. 18ft급 레저보트의 선수부와 선미부의 저항 성능을 확인하고 선형 전체의 유동장을 추정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각 트림의 저항을 비교하여 선형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체에 걸리는 힘이 크지 않아 설계된 선형이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을 확인하였고, 파도의 파장과 배의 길이를 관성력에 대한 중력의 비로 계산하여 롤링이 얼마의 힘으로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보트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Conceptual design of a dual drum-controlled space molten salt reactor (D2 -SMSR): Neutron physics and thermal hydraulics

  • Yongnian Song;Nailiang Zhuang;Hangbin Zhao;Chen Ji;Haoyue Deng;Xiaobin T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6호
    • /
    • pp.2315-2324
    • /
    • 2023
  • Space nuclear reactors are becoming popular in deep space exploration owing to their advantages of high-power density and stability. Following the fourth-generation nuclear reactor technology, a conceptual design of the dual drum-controlled space molten salt reactor (D2-SMSR) is proposed. The reactor concept uses molten salt as fuel and heat pipes for cooling. A new reactivity control strategy that combines control drums and safety drums was adopted. Critical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neutron energy spectrum, neutron flux distribution, power distribution and burnup depth were calculated.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al convection, veloc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D2-SMSR under low gravity conditions were analyzed. The reactivity control effect of the dual-drums strategy was evaluated. Results showed that the D2-SMSR with a fast spectrum could operate for 10 years at the full power of 40 kWth. The D2-SMSR has a high heat transfer coefficient between molten salt and heat pipe, which means that the core has a good heat-exchange performance. The new reactivity control strategy can achieve shutdown with one safety drum or three control drums, ensuring high-security standards. The present study can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design of space nuclear re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