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seed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초

폐엽종실(廢棄種實)의 식량자원화(貪糧資源化)에 관(關)하여 -제(第) 1 보(報) : 포도씨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ood Resources from Waste Seeds -I. Chemical Composition of Grape Seed-)

  • 윤형식;권중호;황주호;최재춘;신대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0-256
    • /
    • 1982
  • 미이용(未利用) 폐엽종자(廢葉種字)를 식량자원(貪糧資源)에 이용(利用)하기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포도씨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과 단백질(蛋白質) 성분(成分)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포도씨의 일반성분중(一般成分中) 조지방(粗脂肪)은 25.1%,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2.0%였다. 2. 포도씨 기름에는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이 95.46%이나 복합지방질(複合脂肪質)은 약(約) 4.5%에 불과하였으며,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의 성분(成分)으로써는 91.89%가 트리-글리세리드였고, 스테롤에스터, 스테롤, 디-글리세리드 및 유리 지방산은 각각(各各) 3.24% 2.87%, 1.20% 및 0.80%였다. 3.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총지방산(總脂肪酸)과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에서 리놀레산$(69.72{\sim}71.72%)$과 올레산$(18.09{\sim}19.46%)$이 주지방산(主脂肪酸)이었고, 총지방질(總脂肪質)과 인지질(燐脂質)은 올레산$(20.20{\sim}35.27%)$과 팔미트산$(26.80{\sim}39.98%)$의 함량(含量)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에서 분별(分別)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올레산이 43.08%로 가장 늪은 함량(含量)이었다. 4. 염(鹽)$(0.1\;M\;MgSO_4)$ 용해성(溶解性) 단백질(蛋白質) 의 추출율(抽出率)은 약(約) 31%,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글루탐산이 가장 높은 함량(含量)이었고 다음이 아르기린, 아스파르트산의 순(順)이었다. 5. 포도씨 단백질(蛋白質)의 전기영동(電氣泳動) 결과(結果) 3개의 밴드를 나타내었고, 분획(分劃)된 주단백질(主蛋白孫)의 수득율(收得率)은 약(約) 82%였으며,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및 아르기린의 순(順)으로 높은 함량(含量)이었다. 6. 염용해성(鹽溶解性) 단백질(蛋白質)에서 분획(分劃)된 주단백질(主蛋白孫)의 분자량(分子量)은 약(約) 81,000이었다.

  • PDF

Effective extraction of antioxidantive oligomeric proanthocyanidins from mountain grape seeds

  • Huh, Yun-Suk;Hong, Won-Hi;Hong, Tae-He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527-531
    • /
    • 2003
  • The interest of oligomeric proanthocyanidins(OPCs) as therapeutic agents against diseases involving radical damage is growing. Proanthocyanidins are a class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several plant species and are oligomers of flavan-3-ol monomer units. Polyphenols in green and black tea, grape seeds, grapes and wine have raised much attention but mountain grape seed has not been investigated intensively up to no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tal OPCs contents and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mountain grape seeds. Total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method was employed and OPCs content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the UV-VIS spectrophotometer. The total OPCs yield of mountain grape seeds was about 1.45 %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was 15.8 ${\mu}g/m{\ell}$.

  • PDF

Effect of Various Phyto-extracts on Physico-chemical, Colour, and Oxidative Stability of Pork Frankfurters

  • Wagh, Rajesh V.;Chatli, Manish K.;Ruusunen, Marita;Puolanne, Eero;Ertbjerg, Pe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8호
    • /
    • pp.1178-1186
    • /
    • 2015
  • Lipid oxidation, colour stability and physico-chemical quality of pork frankfurters with the incorporation of 0.30% sea buckthorn (SBT), 0.10% grape seed (GSE), 0.03% green tea (GTE), 0.12% fenugreek seed (FSE) and 0.10% Acacia catechu (ACE) were studied during 20 days of refrigerated aerobic storage. The SBT and ACE were identified as being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s to retard lipid oxidation with the potency decreasing in the following order: SBT>ACE>GSE>GTE>FSE based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ng substances, peroxide value and free fatty acids. In all samples pH and $a_w$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The $L^*$ value of treated as well as control samples decreased over time while SBT and ACE exhibited an increased redness producing higher $a^*$ values than other treatments. However, GTE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b^*$ values than other treatments at the end of storage. The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plant-derived extracts can be valuable to the modification of frankfurter formulations for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as well as quality characteristics.

포도가공 부산물로부터 화장품용 항산화물질의 추출 및 분리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Fraction from Waste of Grape Products for Cosmetic Application)

  • 김의진;이태호;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77-482
    • /
    • 2009
  • 본 연구는 포도가공부산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자원의 활용과 환경오염을 줄이고, 공정을 간결하게 하여 실제산업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포도가공 부산물을 포도과피와 포도씨로 나누어 과피에서는 anthocyanin을 씨에서는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를 주 대상물질로 하여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였다. 추출된 항산화물질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이들의 효능은 DPPH법, SOD법을 이용하여 대조군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두 방법 모두 포도씨 추출물의 효능이 포도과피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산화도를 보였다. 이렇게 생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multiple lamella emulsion의 화장품 제형을 개발하였고 이 제형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거봉 포도종의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 효능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of Black Olympia Grape(Vitis Labruscana L.))

  • 박성진;박부길;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8-344
    • /
    • 2002
  • 본 연구는 포도 거봉종의 종자와 과피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 독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온도를 달리하여 추출한 종자와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추출물에 대한 분획물들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의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물의 감소효과가 증가하였다. 종자 추출물의 경우, 3$0^{\circ}C$에서 추출한 에탄올추출물이 20 $\mu\textrm{g}$/$m\ell$ 농도에서 60.1%,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71.2%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circ}C$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20 $\mu\textrm{g}$/$m\ell$ 농도에서 48.1%, 분획물 중에서는 hexane 분획물이 44.4%의 지질과산화를 각각 억제하였다. 암세포 생육 억제 효과에서는 모든 암세포(MCF-7, Hep3B 및 A549)에서 포도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1.00 $\mu\textrm{g}$/ML 농도에서 대부분 50% 이상의 생육 억제율을 보였으며, 암세포에 대한 생육 억제와 정상 세포에 대한 selectivity에서는 종자 에탄올 추출물과 과피 에탄을 추출물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거봉포도종자 및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들과 각 분획물은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세포 독성이 캠벨종의 포도종자 및 과피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도 품종별 추출물의 혈당 완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Diabetic Activities by Extracts of Grape Cultivar)

  • 김민아;손형우;윤은경;최용희;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0-405
    • /
    • 2012
  • 포도 3종(Campbell early, MBA, 거봉)의 과피와 씨를 물과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그에 따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streptozotocin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 마우스모델의 고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캠벨(씨)의 물 추출물을 처리한 당뇨 유발 마우스의 혈당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수치가 떨어져 3시간이 지난 후에는 정상 수치까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거봉(씨) 물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혈당 상승이 1/3 수준으로 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포도의 과피와 씨 추출물은 고혈당 개선에 효과를 지닐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혈당에 관련된 기타분자표적의 추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기 반추동물 전용 수입산 유기사료 및 국내산 유기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of Imported Organic Feeds and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By-product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 박중국;김창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3-52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locally produced organic agricultural by-products to substitute imported organic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Imported organic feeds (corn grain, soybean meal, soybean seed, oat grain, barley grain, wheat grain, buckwheat, sunflower seed meal) and byproducts (rice bran, grape seed meal, rice straw, soybean hull, soybean curd, rice hul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NDF, ADF, mineral, and amino acid content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Dry matter, NDF and ADF contents in organic feeds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feeds. Especially, the 9.65% fat content of organic soybean meal was 6 times higher than the 1.95% fat content of conventional soybean meal. Fat contents of rice bran, grape seed mea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25.66, 6.09, 3.57 and 1.59%, respectively. Protein contents of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were 14.68 and 19.87%, respectively, which are highest among organic by-products. Levels of aflatoxin in all feeds were below the safety level. Therefore, organic rice bran,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as energy source, and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as protein source could partial replace imported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볶음조건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Grape Seed Oils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장성호;이선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715-17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볶음조건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포도씨를 100, 150, $200^{\circ}C$에서 1시간 볶은 후, hexane으로 추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포도씨유를 $50^{\circ}C$에서 40일 동안 저장하였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동안에 볶음처리를 하지 않은 포도씨유에서 볶음처리한 포도씨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산가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포도씨유의 갈색도는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짙은 갈색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E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비타민 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E 이성체의 감소량도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볶음온도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탄올 보조용매를 이용한 포도씨로부터의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grape Seed Using Supercritical $CO_2$ and Ethanol as a Co-solvent)

  • 이원영;장규섭;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7-183
    • /
    • 2000
  •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the extraction of phenolics from grape seeds which up to now have been discarded. The optimum condition for extraction process was predict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central composit experimental design. The extraction amount of grape seed phenolics was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ressure, and concentration of co-solvent (ethanol).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84.83$^{\circ}$C, 51.50MPa and 1.27% ethanol. The yield of phenolics using SFE was higher with 3 folds than ethanol and 4 folds than hexane but less than 80% methanol. In the respects of food poisoning, the approved solvents were restricted to ethanol and hexane. So, SFE for extraction of phenolics could be powerful alternative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

  • PDF

추출용매에 따른 포도씨 성분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Grape Seed Components with Different Solvents)

  • 이은진;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6-222
    • /
    • 2006
  • 포도씨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허용된 용매들(물, 에탄올, 아세톤)의 가열 특성을 확인하고 몇 가지 기능성분의 추출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추출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microwave power(0, 50, 100, 150 W), 추출시간(1, 3, 5, 7, 9 min), 시료와 용매비(1:20, 1:10, 1:5, 1:2.5), 시료 입자크기(whole, 20, 40, 60 mesh) 별로 구분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물의 총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카테킨 함량, 전자공여능, 갈색도 등을 측정하여 추출효율을 알아보았다. 용매의 가열특성 확인에서 본 실험은 100 W에서 $2{\sim}6$분 범위의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용량이 높아질수록 물과 에탄올은 총 수율 및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아세톤은 100W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모든 용매에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총 수율과 유효성분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5분 경과부터는 둔화되었다. 전반적인 추출효율과 용매회수 등을 고려한다면 포도씨 유용성분의 추출용매는 에탄올, 에너지 용량은 100 W 내외, 용매비는 1:10, 입자크기는 10 mesh 조건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