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Produc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5초

고품질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강화 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Tannin Enhancement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 박미화;이정옥;김은정;김종원;이효형;김희훈;이상인;김영훈;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21-926
    • /
    • 2008
  •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circ}C$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고품질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첨가 최적 농도는 6.5 mg/mL이며 산머루 와인 발효 전에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생각되어 산머루 와인 제조 시 발효 전 최종 tannin 농도를 6.5 mg/mL로 조절하여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의 pH, 산도, 알코올 함량, 총당, polyphenol, tannin 및 resveratrol 함량을 측정하고 수입 와인 3종과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은 pH $3.69{\pm}0.01$, 산도 $0.96{\pm}0.01%$, 알코올 함량 $12.20{\pm}0.01%$, 총당 $60.00{\pm}1.15\;mg/mL$, polyphenol 함량 $79.50{\pm}0.55\;mg/mL$, tannin 함량 $7.40{\pm}0.05\;mg/mL$ 및 resveratrol 함량 $5.00{\pm}0.11\;mg/mL$로 기능성 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단맛, 떫은맛과 산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이 균형을 이룬 산머루 와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tannin을 추출하여 산머루 와인의 tannin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산머루 와인에 비해 단맛과 떫은맛이 강화되었으며, 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과 잘 어우러 져 고급 와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단맛, 떫은맛, 신맛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고품질의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ar Infrared Ray Irradiation Stimulates Antioxidant Activity in Vitis flexuosa THUNB. Berries

  • Eom, Seok-Hyun;Jin, Cheng-Wu;Park, Hyoung-Jae;Kim, Eun-Hye;Chung, Ill-Min;Kim, Myong-Jo;Yu, Chang-Yeon;Cho, Dong-Ha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19-323
    • /
    • 2007
  • Wild grapes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use and alcoholic beverage production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ntioxidant properties in Sae-muru by far infrared ray (FIR) treatment, with expecting potential benefits of FIR treatment for wild grape product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FIR treatment in berries induced increased content of 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gallic acid, rutin, ellagic acid, and resveratrol, while content of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was decreased. Although FIR treatment resulted either increased or decreased chemical component groups, presenting in HPLC chromatograms, antioxidant activity in Sae-muru extrac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FIR treatment. Our results suggest that FIR treatment should be an efficient process in the production of high content of bioactive molecules in Sae-muru.

Effect of Dietary Grape Pomace Fermented by Saccharomyces boulardii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Yan, L.;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1763-1770
    • /
    • 2011
  • Fifty-six [(Duroc${\times}$Yorkshire)${\times}$Landrace] pigs with an average initial BW of 19.3${\pm}$0.17 kg were used in this 15-wk growth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pe pomace fermented by Saccharomyces boulardii on pig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quality attributes of pork. Pigs were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7 replications) based on their initial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i) control (CON; basal diet), ii) FGPP (CON+30 g/kg fermented grape pomace product). Dietary FGPP improved (p<0.05) average daily gain (ADG), coefficient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CATTD) of dry matter (DM) and nitrogen (N) during 35-70 d of the experiment. Similarly, pigs fed the FGPP supplemented diet had a higher N digestibility (p<0.05) in the finisher phase (day 71-105). Dietary FGPP increased (p<0.05) the marbling score,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as well as the anti-oxidative ability (lower TBARS). The inclusion of FGPP reduced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arachidic acid (C:20:0) and SFA levels (p<0.05) in subcutaneous fat. An increased (p<0.05) linoleic acid (C18:2n6), total PUFA and PUFA/SFA ratio were observed in the FGPP group. Dietary FGPP supplementation decreased the arachidic acid (C:20:0) level in longissimus muscle (LM).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FGPP at the level of 30 g/kg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altered the fatty acid pattern in the subcutaneous fat as well as some attributes of pork meat.

Seibel 포도즙 알코올 발효 및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eibel Grape Must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 고경희;장우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91-499
    • /
    • 1999
  • A great variety of the volatile metabolic by-products was formed in yeast cell during alcohol fermentation. The seibel grape (Vitis labrasca) which was grown in the Southern Korea used for win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at 12$^{\circ}C$.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chizosaccharomyces pombe were inoculated and fermented in seibel grape must.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logarithmic, stationary and death phases were extracted, concentrat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a Hewlett-Packard 5890 II Plus GC which was equipped with Supelcowax 10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60m$\times$0.32mm$\times$0.25${\mu}{\textrm}{m}$ film thickness) wall coated with polyethyleneglycerol. The scan detection method allowed the comparison of the spectrum from the chromatogram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to those in data Wileynbs base library. Among the volatile compounds collected by ether-hexane extraction method, the evolution of 20 main compounds, such as 9 esters (ethyl butyr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oate, n-hexyl acetate, ethl caprylate, ethyl caprate, diethy succinate, ethyl hexadecanoate, 2-pheneethyl acetate), 4 alcohols (3-methyl-1-butanol, 1-hexanol, 1-heptanol, benzoethanol), 4 ketones and acids (2-octanone, caproic acid, caprylic acid, capric acid), 2 furan and phenol (2,6-bis(1,1-dimethyl ethyl)phenol, 2,3-dihydrobenzofuran) were observed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The production of the ester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with S. cerevisiae was higher than those of Sch. pombe. The sensory scores of the aged wine samples in aroma,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PDF

포도박 농축액을 이용한 분말 제조 (Production of Powder Using Concentrated By-products of Grape Processing)

  • 장석원;신남섭;송정희;박용덕;노용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5-280
    • /
    • 2010
  • 포도주와 포도즙 등 가공품의 생산 후 대량 발생되는 포도 부산물(포도박)의 이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포도박을 조건을 달리하여 추출 농축하여 분말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은 용매로 추출한 농축 분말의 경우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카테킨의 경우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EGCg를 함유하였다. 에탄올 추출 농축 분말은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높으며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카테킨은 포도박을 분쇄 후 추출한 경우가 분쇄하지 않았을 때보다 약 1.5배의 함량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레스베라트롤은 분쇄하지 않고 추출한 시료가 더 높게 나타났다. 건본 연구의 결과 포도박 추출 분말은 에탄올로 추출하고 추출 전 분쇄한 것은 카테킨의 함량이 높고 분쇄하지 않은 것은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았으며 5%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건조 한 것이 기능성 성분을 가장 많이 포함하였다.

효모 종류와 발효조건에 따른 머루 첨가 복분자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 added with wild grape by Yeast Strain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 공태인;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61-336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효모균주와 발효조건 등을 달리하여 머루를 첨가하여 복분자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효모별 복분자 와인 술덧 품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는 Y1(Lalvin 71B)효모가 젖산, 퓨젤유 성분을 발효후에 타 효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생성하였으며, 술덧의 산도를 낮추고 복분자 와인의 아로마를 강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발효온도가 복분자 와인 술덧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는 고온발효($25^{\circ}C$)에서 Y1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한 술덧에서 낮은 온도($15^{\circ}C$)에서 발효한 술덧에서보다 아로마 성분(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급알코올)이 유의적으로 높게 생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머루를 첨가한 복분자 와인제조시 Y1 효모를 이용하고 고온에서 발효하는 것이 복분자 와인의 맛과 아로마를 강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미생물에 따른 포도가공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ape Pomace Fermented by Various Microorganisms)

  • 김경희;윤영식;천세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49-10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 함량이 높은 포도박의 이용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Bacillus subtilis(BS), Lactobacillus plantarum(LP), L. casei(LC), Candida utilis(CU),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Y1), S. cerevisiae strain ZP 541(Y2), 혼합 발효(M) 등의 여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포도박을 발효시킨 후 미생물별 포도박 발효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변화 및 항균활성을 탐색하였다. 포도박 발효물의 추출수율은 BS(10.74%) 발효물이 가장 높았고, M(9.71%), Y2(9.60%), CU(9.55%), LC(8.68%), Y1(7.49%%), LP(7.36%) 순이었다. 총 phenol 함량 측정 결과 대조군은 발효한 포도박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효 균주 중에서는 LP로 발효한 발효물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포도박 발효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IC_{50}$값이 0.16 mg/mL로 나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포도박 발효물의 경우 LP 발효물이 0.28 mg/mL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은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의 $IC_{50}$값이 0.22 mg/mL로 가장 높게 나왔고, 포도박 발효물의 경우 LP 발효물이 0.53 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value(5 mg/mL)는 LP로 발효한 시료가 2.44 mM로 가장 높게 나왔으나 대조군의 $12.27{\pm}0.16mM$과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항균활성은 대조군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데 반해 LC로 발효시킨 포도박 발효액이 5 mg/disc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에 사용된 모든 균주에 대해 10.5~11 mm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LC배양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생산해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여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포도박 발효의 경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시 기능성 물질 생산 증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리라 사료되며, 특히 L. casei를 이용한 포도박 발효는 항균활성과 같은 기능성 증가를, L. plantarum을 이용한 발효는 항산화 활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Evaluation of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ensiled fruit byproducts and their potential for feed use

  • Mousa, Shimaa A;Malik, Pradeep K.;Kolte, Atul P.;Bhatta, Raghavendra;Kasuga, Shigemitsu;Uyeno, Yutak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호
    • /
    • pp.103-109
    • /
    • 2019
  • Objective: Ensiling of tannin-rich fruit byproducts (FB) involv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the tannins, which would consequently change the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ensiled FBs are effective in mitigating methane emission from ruminants by conducting in vitro assessments. Methods: Fruit byproducts (grape pomace, wild grape pomace, and persimmon skin)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four-week ensiling by Lactobacillus buchneri inoculant. A defined feed component with or without FB samples (both fresh and ensiled material) were subjected to in vitro anaerobic culturing using rumen fluid sampled from beef cattle, and the fermentation parameters and microbial populations were monitored. Results: Reduced methane production and a proportional change in total volatile fatty acids (especially enhanced propionate proportion) was noted in bottles containing the FBs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without FB). In addition, we found lower gene copy number of archaeal 16S rRNA and considerably higher levels of one of the major fibrolytic bacteria (Fibrobacter succinogenes) in the bottles containing FBs than in the control, particularly, when it was included in a forage-based feed. However, in the following cultivation experiment, we observed that FBs failed to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hane production with or without polyethylene glycol, implying that tannins in the FBs may not be responsible for the mitigation of methane gener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in vitro cultivation experiments indicated that not only the composition but also ensiling of FBs affected rumen fermentation patterns and the degree of methane generation. This is primarily because of the compositional changes in the fibrous fraction during ensiling as well as the presence of readily fermented substrates, whereas tannins in these FBs seeme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ruminal fermentation kinetics.

산머루 와인의 최적 발효조건 및 품질특성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 김은정;김영훈;김종원;이효형;고유진;박미화;이정옥;김영숙;하영래;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66-370
    • /
    • 2007
  • 산머루를 이용한 와인 발효를 위하여 거봉, 머스컷베리에이, 산머루의 과피와 과육에서 20종의 야생 효모를 분리하여 알코올 내성과 발효능이 우수한 4종의 균주를 산머루 와인 발효용 우량 종균으로 선별하였다. 산머루 와인 발효를 위한 최적 초기당도와 최적발효온도를 검토한 결과, 산머루액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조절하고 $24^{\circ}C$에서 발효했을 때 최종 알코올 함량이 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맛, 신맛 및 색깔이 우수하고 기호도가 우수하여 산머루 와인 발효를 위해 산머루액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조절하여 $24^{\circ}C$에서 발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이라 생각된다. 최적발효조건으로 제조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산머루 와인의 pH는 3.59, 산도는 0.95%, 알코올 함량은 12.0%이었으며, 아미노산도는 1.80 mg/mL로 시판 포도 와인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산머루 와인의 총당 함량은 50 mg/mL로 시판 포도 와인에 비해 높으나 산머루의 신맛을 감화시켜주므로 와인의 맛을 더욱 부드럽게 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 항당뇨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polyphenol 함량은 산머루 와인에서 25.30 mg/mL, tannin 함량은 1.88 mg/mL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산머루 와인을 제조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olyphenol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신맛과 단맛이 적절히 조화되어 품질이 향상된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시판 포도씨유의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조성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E, Phytostero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ommercially Available Grape Seed Oils in Korea)

  • 위민정;성지혜;전건욱;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53-956
    • /
    • 2008
  • 국내 시중에서 유통되는 포도씨유 10종에 대한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E는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10.1{\sim}44.8\;mg/100\;g$이었다. 또한 다른 식물성 유지에서 분석되지 않거나 함량이 낮은 $\alpha$-T3와 $\gamma$-T3가 비교적 높은 함량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성스테롤 함량 분석에서 10종의 유지 모두 $\beta$-sitosterol($63.9{\sim}119.3\;mg/100\;g$)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비율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포도씨유 10종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나 그 함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각각의 포도씨유 생산에 사용된 포도씨 품종의 차이와 서로 다른 품종의 포도씨의 혼합여부 그리고 생산과정 중의 차이에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