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mineae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잔디류의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Zoysiagrass (Zoysia spp.))

  • 현윤혜;최병진;김윤중;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9-95
    • /
    • 2012
  • 화본과(Gramineae family)의 Zoysia속(Zoysia genus)에 속하는 한국잔디류는 동북아시아와 필리핀,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열대지역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비교적 폭넓게 분포하는 대표적인 잔디종의 하나이다. 세계적으로 방대한 잔디분야의 'The Turfgrass Information Center'의 database에 zoysia와 연관된 정보는 전문학술지 논문 638편과 학위논문 및 전문보고서 1,307편을 포함하여 총 5,340건으로 조사 되었다. Zoysiagrass에 관한 연구는 골프코스와 lawn care 관련산업에서의 이용과 그에 따르는 잡초, 병충해 등 방제에 따르는 농약에 관한 연구와 종자에 관한 database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잔디류에 대한 세계적 연구 추세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한국잔디에 관한 연구내용을 정리 분석 하였다. 통계적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한국잔디에 관한 논문은 274편이었는데, 식물학적 연구가 102편이며 환경학적 연구와 재배학적 연구가 각 38편과 134편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연구자의 외국 전문지 게재논문을 합하면 이보다 많으리라 사료된다. 외국에 비해 골프코스 잔디 관리분야와 plant protectant, 신품종 육종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되고, 환경 및 병 저항성 등 육종연구의 선도적 역할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약용식물(藥用植物)의 유전자원수집(遺傳資源蒐集)과 이용(利用)에 대(對)한 조사(調査) (Investigation of the Medicinal Plant Resources)

  • 이준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71-82
    • /
    • 1990
  • 1987년(年)부터 1989년(年)까지 경북지역(慶北地域)을 중심(中心)으로 경남(慶南)과 충북(忠北)의 일부지역(一部地域)에서 조사(調査)한 약용자원식물(藥用資源植物)은 118과(科) 331속(屬) 456종(種)이었고, 이들중 Compositae, Liliaceae, Leguminosae, Labiatae, Rosaecae, Polygonaceae, Umbelliferae, Gramineae, Solanaceae, Cucurbitaceae, Ranunculaceae, Cruciferae, Rutaceae, Araliaceae, Araceae, Moraceae, Scrophularinaceae, Caryohpyllaceae, Convolvulaceae 등 19과(科)에 속하는 식물이 249종(種)으로 조사(調査)된 식물(植物)의 반수이상(半數以上)을 차지하고 있었고 나머지 207종(種)은 99과(科)의 식물(植物)로 분류(分類)되었다. 조사식물(調査植物)의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다년생(多年生)이었으며, 개화기(開化期)는 대부분 6-8월(月)이었다. 재배포장(栽培圃場)과 전시포장(展示圃場), 정원(庭園), 공원(公園) 등지(等地)에 재식(栽植)되어 있는 78과(科) 213종(種)의 식물(植物)중에서 약용자원식물(藥用資源植物)의 주용도(主用途)는 관상용(觀賞用)이 93종(種), 약용(藥用) 50종(種), 채소류(菜蔬類) 27종(種), 식품용(食品用) 14종(種), 과채류(果菜類) 5종(種), 과수류(果樹類) 13종(種), 유료용(油料用) 5종(種), 다용(茶用) 6종(種), 녹음수(綠陰수樹) 및 가로수용(街路樹用)이 9종(種), 섬유용(纖維用) 등 기타의 용도(用途)가 14종(種)이었다. 조사식물(調査植物)의 약용부위(藥用部位)는 지하부(地下部)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경엽(莖葉), 전초(全草), 화기(花器), 종자(種子) 및 과실(果實)의 순(順)이었다. 약용효능은 이뇨(利尿), 위장병(胃腸病), 강장, 진통(鎭痛), 해열(解熱), 진해(鎭咳), 지혈(止血), 소염작용(消炎作用)의 식물(植物)이 대부분이었으며 항암효과의 식물(植物)도 9종(種) 조사(調査)되었고, 한약제(漢藥劑)로 많이 이용(利用)되고 있는 식물(植物)은 87과(科) 191종(種)이었다.

  • PDF

흑다리긴노린재[Paromius exiguus (Distant)](Heteroptera: Lygaeidae)의 발생소장과 주요 기주에서 시기별 연령분포 (Seasonal Occurrence and Age Structure of Paromius exiguus (Distant) (Heteroptera: Lygaeidae) on Major Host Plants)

  • 박창규;박홍현;엄기백;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1-27
    • /
    • 2009
  • 2001년 경기 김포 매립지 주변의 논에서 다량의 반점미를 유발시켰던 흑다리긴노린재[Paromius exiguus (Distant)]의 연중 발생소장과 주요 기주에서 연령분포를 분석하였다. 월동성충은 여러 지역의 다양한 화본과 잡초 기부에서 발견되었다. 흑다리긴노린재 성충은 월동 후 5월 중순경에 띠[Imperata cylindrica (L.)]로 이동하여 1세대를 경과하였다. 6월 하순경에는 산조풀[Calamagrostis epigeios (L.)]로 이동하여 2세대 발육을 완료하였으며, 8월 초순부터 벼(Oryza sativa L.)와 다른 화본과 잡초로 이동, 3세대 발육한 후 성충으로 월동하였다. 흑다리긴노린재 약충은 5령을 경과하였으며 각 영기는 두폭과 앞가슴전엽폭으로 구분하였다. 흑다리긴노린재의 연령분포는 띠 및 벼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축 영기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보였으나 산조풀에서는 띠에서 발육이 완성되지 못한 약충들과 성충들이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복잡한 연령구조를 이루었다. 모든 기주에서 약충의 밀도가 가장 높았던 시기는 3령과 4령의 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시기였으며 이러한 연령 구성 변화는 영기에 따른 약제 감수성 등과 관련하여 적절한 방제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의사 결정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유산균을 이용한 보리의 발효를 통한 항산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Fermentation of Barley Seeds (Hordeum vulgare L.) Using Lactic Acid Bacteria)

  • 이준형;윤여초;김중규;박예은;황학수;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4-453
    • /
    • 2018
  • 보리(Hordeum vulgare L.)는 Poaceae/Gramineae 과에 속하며 주위에 흔히 있는 곡물이지만 고대 이집트에서는 보리가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랜 전부터 많은 나라에서 기능성 식품, 향료 및 맥주로 사용되는 중요한 곡물이다. 보리의 효능에는 항염증, 항암 및 항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보리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발효 보리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 후 에탄올로 추출한 보리 씨앗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산균으로 발효한 보리 씨앗과 발효하지 않은 보리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유산균으로 발효한 보리 씨앗이 발효하지 않은 보리 씨앗보다 더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우리는 유산균으로 발효한 보리 씨앗이 건강 기능 식품 및 화장품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화본과 관상용그래스 3종의 봄철 그린업과 겨울철 엽색 퇴화 (Spring Green-up and Winter Leaf Discoloration of Three Ornamental Grasses (Gramineae spp.))

  • 김기동;이정호;주영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49-57
    • /
    • 2015
  • 연구는 화본과 관상용그래스 중 국내 적용 가능성이 크고, 종자파종 공법에 적용이 가능한 새(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Koidz), 수크령(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switchgrass (Panicum virgatum L.) 3종을 선정하여 봄철 그린업, 겨울 엽색 및 퇴화 흐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파종은 2009년 4월 1일에 실시하였고 파종 후 1년간 생육 시킨 후 2010년 4월 1일부터 봄철 그린업(spring green-up) 평가를 실시하였다. 봄철 그린업은 새 > 수크령 > switchgrass의 순서로 시작되었고, 새 > 수크령 switchgrass의 순서로 완료되었다. 새는 5월 13-20일 사이 그린업 피크 기간 중 초기에 green-up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수크령과 switchgrass는 5월 20-27일 사이로 그린업이 상대적으로 늦었으며 중기 이후에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2010년 겨울 엽색 퇴화는 switchgrass ${\fallingdotseq}$ 수크령 > 새의 순서로 시작되었고 switchgrass > 새 ${\fallingdotseq}$ 수크령의 순서로 완료 되었다. Switchgrass는 10월 8-15일 사이가 엽색 퇴화 피크 기간으로 초형의 하부에서 상부로 변색이 진행되었다. 수크령은 10월 22-29일 사이가 엽색 퇴화 피크 기간으로 초형의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되었다. 새는 10월 29일~11월 5일 사이로 상대적으로 엽색 퇴화 피크 기간이 느렸고 초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변색이 진행되었다. 연중 녹색이 완전히 유지되는 기간은 새가 125일 전 후, 수크령과 switchgrass는 각각 105일 전 후로 나타났으며 새의 녹색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녹화용 관상가치가 높았다.

해안사구의 토착식물로부터 분리된 근권세균의 내염능과 식물성장촉진능 평가 (An Evalu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ies and Salt Tolerance of Rhizobacteria Isolated from Plants Native to Coastal Sand Dunes)

  • 홍선화;이미향;김지슬;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1-2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궁평항 지역의 해안사구에 서식하고 있는 토착식물 6종(Rorippa islandica, Rumex crispu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Lilium sp Stellaria media, and Gramineae)의 식물 뿌리와 근권토양으로부터 colony library를 구축하여 식물성장촉진 능력과 내염능을 평가하였다. 분리한 근권세균 중 4.0%의 염분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50% 이상의 세균이 염분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95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식물성호르몬인 IAA생산능을 가지는 균주는 근권토양에서는 13.9%, 식물뿌리에서는 7.6%였으며,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를 제거하는 ACC deaminase 활성을 가진 균주는 근권토양에서는 55.8%, 뿌리에서는 36.6%였다. 또한, Siderphores 합성능을 가지고 있는 균주는 근권에서 62.7%, 뿌리에서는 50%를 차지하였다. 식물성장촉진능과 내염능을 가진 세균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ACC deaminase 활성과 siderphore(s) 합성능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였고(r=0.605, p<0.037), 염분 내성능과 ACC deaminase 활성, 염분 내성능과 siderphore(s) 합성능 사이에도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r=0.762, p<0.004, r=0.771, p<0.003, 각각).

전남 장성지역 한국잔디 재배지 잡초발생 현황 (Occurrence of Weed Species on Turf Sod Production Areas in Jangsung-gun, Jeonnam Province)

  • 최성환;안수정;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47-255
    • /
    • 2016
  • 본 연구는 전라남도 장성지역의 한국잔디 재배지의 발생 잡초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4년 9월(1차 조사)과 2016년 5월(2차 조사)에 전남 장성군 삼서면 일대에서 한국잔디 재배포장을 밭 토양과 논 토양으로 구분하여 발생잡초 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잡초분포 조사결과 밭 토양에서는 27과 66종(일년생 49종, 다년생 17종)으로 일년생잡초 74.2%, 다년생잡초 25.8%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Compositae)가 19.7%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으로 벼과(Gramineae) 13.6%, 콩과(Leguminosae) 10.6% 순이었다. 논 토양에서는 22과 69종(일년생 53종, 다년생 16종)으로 일년생잡초 76.8%, 다년생잡초 23.2% 비율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Compositae)가 18.8%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으로 벼과(Gramineae) 14.5%, 사초과(Cyperaceae) 7.2% 순이었다. 밭 토양의 1차 조사에서는 벼과의 바랭이(8.49), 2차 조사에서는 괭이밥과의 괭이밥(7.26)이 가장 우점하였고, 논 토양의 1차 조사에서 국화과의 개망초(9.52), 2차 조사에서는 닭의장풀과의 닭의장풀(5.08)과 벼과의 뚝새풀(5.08)이 가장 우점하는 잡초종으로 확인되었다. 잡초발생 현황을 조사시기와 토양조건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논 잡초와 밭 잡초가 혼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시기 또는 토양조건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초종의 비율이 49.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잔디 재배지에서 제초제를 이용한 효율적인 방제효과를 위해서는 재배토양에 상관없이 논 잡초와 밭 잡초를 모두 잘 방제할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mpact of Topsoil Stockpiling Methods on the Viability of Seed Banks

  • Yi, Myung-H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907-923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tockpiling methods for revegetation by comparing the germination status of seed banks before and after preservation for 2 years. Soil temperature in stockpiled topsoil was higher in open treatment and at 1.5 m, whereas soil water content was maintained at lower levels (14.06-19.08%),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seed banks in stockpiled topsoil had 48 species and 1,559 individuals, among which perennials showed the highest number in terms of life forms, whereas Compositae and Gramineae were dominant in terms of families. Based on seed bank type, persist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while transi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By stockpiling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seed bank started to increase after 24 months,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began increasing after 12 months and exceeded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24 months. Regarding the treatment of stockpiling method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open treatment were close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en analyzed by heigh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er at 0 m, but still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 showed that the optimal combination was obtained in open treatment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with the lengthening of the stockpiling period.

南韓地域 漢藥資源植物의 蒐集分類와 利用體系에 關한 硏究, II. 南韓地域 漢藥資源植物의 蒐集分類 (A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II.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ountain of south Korea)

  • 이종일;이상래;박병서;김영기;조영숙;박정로;전순실;윤경원;윤의수;조덕봉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9-124
    • /
    • 1993
  • Plant in chollabuk-do have investded 105 family, 442 species. 2. The order of distribution of the most family was the Compositae 43, Leguminosae Gramineae each 28, Rosaceae 17, Liliaceas 22, Labiatae 17, Ranunculaceae 12, Betulaceae 11, Violaceae 10, Polygonaceae Aspidiaceae each 9, Cruciferae${\cdot}$Caryothyllaceae${\cdot}$Celastraceae each 8, Fagaceae, Rubiaceae each 6, Ulmaceae 5. 3. Medical plants have invested 56 family, 116 species. 4. The order of the most family was the Compositae 8, Liliaceae Rosaceae${\cdot}$Umbelliferae${\cdot}$Labiatae each 6, Leguminosae${\cdot}$Rutaceae each 5, Campanulaceae${\cdot}$Ranunculaceae each 3, Simaroubaceae${\cdot}$Euphorbiaceae${\cdot}$Araliaceae each 2, Scrophulariaceae${\cdot}$Plantaginaceae each 1.

  • PDF

영년채초지에 있어서 혼파조합에 관한 연구 I. 예취빈도와 질소시비수준이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ixture combination in rermanent Pasture I.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botanical composotion)

  • 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8-76
    • /
    • 1989
  •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of mixture sowing combination on the develop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was conducted for 12 years on the meadow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estuca pratensis lost the expected position of a dominant species. Its vegetation ratio decreased gradually until the last survey year. 2. Arrhenatherum elatius, known as a typical 2-cutting grasss, developed to a dominant species only in the 3- cutting plot without limitation. 3. Alopecurus pratensis, whose feeding value diminishes rapidly, developed to a dominant species regardless of N-fertilization under the condition of 3-cutting, even though the same small amount of seeding was introduced as usual. 4. Trisetum flavescens which causes calcinose exceeded the 40% of vegetation ratio which was the approved rate for feeding at the high N-level (2OOKgIha). 5. Among the introduced, the species showed the significance in quantity were Lotus corniculafus solely in the 2-cutting plot, and Trifolium repens solely in the 3-cutting plot. In the 3-cutting plot legume yet remained under N-fertilization. 6. The appropriate ratio of vegetation for the subordinate species in the mixture sowing combination was easily attained from the least amount of seeding (Gramineae with max. 3Kg/ha, Leguminosae with max. 2kgIha). 7. Into the mixture sowing combination, infiltrated unintroduced species marked more noticeably in the 2- cutting plot than in the 3-cutting pl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