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m 양성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9초

최근 8년간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항균제 감수성 양상: 2010~2017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lood Culture during the Last 8 Years: 2010~2017)

  • 김재수;공소영;김종완;임인수;김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5-163
    • /
    • 2019
  • 검사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162,551 검체중 11,233 검체(6.9%)가 배양 양성이었으며, 이중 11,865 균주가 배양되었다. 배양된 균종 중 그람양성구균이 47.8%, 그람음성간균 38.8%, 그람양성간균 4.2%, 진균 6.8%, 혐기성균이 2.3%를 나타냈다. 배양결과를 성별로 비교하면 남성에서 분리된 균이 55.0% (2,732/4,969)로 여성에서 분리된 45.0% (2,237/4,969) 보다 많았다. 또한 연령별로는 70대가 28.7% (1,426/4,969)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10대의 1.2% (62/4,969)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MRSA에 대한 내성률은 2016년 66.7%에서 2017년에는 46.8%로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E. faecium의 vancomycin 내성률은 35.0% (48/137)로 나타났다. 한편 장내세균에서 E. coli의 ESBL 양성률은 2010년 17.2%에서 2017년 28.8%로 증가하였으나, K. pneumoniae에서는 오히려 양성률이 감소하였다. P. aeruginosa의 MRPA는 11.8% (14/119), A. baumannii에서의 MRAB는 64.3% (161/252)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혈액 검체에서 분리되는 미생물의 균종과 항균제 감수성 양상은 시기, 지역 및 대상환자 등에 따라 다르므로 병원균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정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병원에서 내성균의 감독과 조절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 박헌국;김상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6-531
    • /
    • 2006
  •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erratia marcescem를 대상으로 하여 최소 저해 농도, 생육 저해 활성, 콜로니 형성 저해 활성을 실험하였다. 그람 양성균에 대한 자몽 종자 추출물의 최소 저해 농도는 12.5 ppm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그람음성균의 최소저해 농도는 50ppm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균주의 증식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cereus는 1ppm 이하, Bacillus subtilis는 6.25 ppm, Listeria monocytogenes는 1ppm 이하, Escherichia coli는 6.25 ppm, Salmonella enteritidis는 25 ppm Serratia marcescem는 25pp부터 생육이 저해되었다. 그람 양성균의 콜로니 형성 저해활성은 Bacillus cereus는 93.9%, Bacillus subtilis는 94.0%, Listeria monocytogenes는 99.9%, 그람 음성균의 콜로니 형성 저해 활성은 Escherichia coli는 4.4%, Salmonella enteritidis는 82.7%, Serratia marcesem는 86.4%로,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는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균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약모밀(Houttuynia cordata) 뿌리에서 추출한 순차분획물의 항균활성

  • 김민주;송종호;권혁동;손정은;박인호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5-858
    • /
    • 2001
  • 약모밀(Houttuynia cordata)의 뿌리에서 추출한 ethanol,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및 수용성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9 종의 Gram 양성균과 13 종의 Gram 음성균에 대하여 disc diffusion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Ethanol, ethylacetae, butanol 추출물은 B. megaterium C. xerosis, S. aureus, S. epidermidis 및 E.coli 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chloroform과 수용성 추출물은 활성이 나타나지 않거나 미약하였다. 그러나 Ethylacetate와 butanol 추출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인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제 3 보)항생물질의 항균활성과 약제내성에 대한 인삼 Saponin의 영향 (Studie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orean Ginseng (Part 3)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Drug-resistance of Antibiotics in Bacteria)

  • 전홍기;김선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1-175
    • /
    • 1982
  • 항균 활성이 대체로 상승되었으나 Sarcina maginata의 경우는 약간 감소되었다. $\beta$-lactam 항생 물질인 penicillin G.Na와 ampicillin.Na도 인삼 saponin의 첨가로 항균 활성이 상승되었으나 Serratia 속 세균은 penicillin G.Na의 항균활성에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삼 saponin 의 첨가에 의한 항생 물질들의 항균 활성의 변화는 Gram양성 세균 및 Gram음성 세균에 대해 일정하지 않은 상승 작용 혹은 길항작용과 같은 비특이성을 나타내었다. 세균의 약제 내성 현상도 인삼 saponin자 항생물질의 투여로 배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부추의 항미생물 활성물질 (Antimicrobial Substances in Leek (Allium tuberosum))

  • 김선재;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04-608
    • /
    • 1996
  • 부추에 존재하는 항미생물 활성물질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항미생물 활성의 검색 및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부추 MeOH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을 17종의 미생물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Gram 양성의 세균, Gram 음성의 세균 그리고 효모에 대해서 광범위한 미생물 증식 억제능을 나타냈다. 부추를 MeOH로 추출,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활성을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TLC, silica gel partition chromatography, HPLC 등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부추에 존재하는 항비생물 활성물질은 약간의 극성을 띠는 중성물질로 200-400정도 분자량을 갖는 6종의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 PDF

식중독 세균에 대한 구아바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uava against Food-Borne Bacteria)

  • 조영홍;옥둘이;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73-1778
    • /
    • 2009
  • 본 연구는 인공합성보존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대표적인 세균성 식중독 미생물로서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아바 가지와 잎의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 S. aureus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아울러 가지와 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200 ppm 농도의 첨가에서 식중독 원인균 S. aureus균을 전혀 자라지 못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아바 잎과 가지의 추출물에 그람 양성균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구아바 가지를 항균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국화 꽃 휘발성 향기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작용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 장미란;서지은;이제혁;정미숙;김건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4-161
    • /
    • 2010
  • 국화 정유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기 위해 국화 정유와 그 주성분인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10종 균주에 대하여 agar-well diffusion 분석법으로 생육 여부를 분서하였다. 실험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대해서 탁월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Agar-well diffusion 분석법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음성균보다 Gram 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 정유의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모든 균주에 대하여 5 ${\mu}g/m{\ell}$에서 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고,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은 S. choleraesui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시험농도 내에서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다른 균주에 대해서는 5~20 ${\mu}g/m{\ell}$에서 살균력이 나타났다. 또한 액체 배양중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24시간 동안 꾸준히 항균력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조성분으로 함유한 국화 정유성분은 10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입증되어, 천연 항균제재로서 식품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4차 암모늄기를 가진 키토산 유도체의 항균성 (Antibacterial Activity by Chitosan Derivatives with Quaternary Ammonium Salt)

  • 김천호;최영선;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1020-1026
    • /
    • 1996
  • 천연고분자인 chitin의 탈아세틸화물인 chitosan의 유리아미노기에 알킬 길이가 다른 알데히드를 이용하여 N-alkyl chitosan 유도체를 각각 합성한 다음, 이들을 methyl iodide로 4차화시킴으로서 4차 암모늄기가 도입된 새로운 수용성 chitosan 유도체를 합성하여, 도입된 알킬기의 길이에 따른 항균성을 그람양성균인 S. aureus(ATCC 6538P)와 그람 음성균인 E. coli(ATCC 14339)에 대해서 shake flask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소수성이 증대될수록 항균력은 증가하였고, 특히 그람음성균인 E. coli에 비해 그람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이 더욱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cytoplasmic membrane의 구조상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세포외 Adenosine Deaminase를 생산하는 방선균의 분리 (Isolation of Actinomycetes Producing Extracellular Adenosin Deaminase)

  • 전홍기;김태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3-89
    • /
    • 1990
  • 토양으로부터 세포의 adcnosinedeaminase를 생산하는 두종의 방선균 J-845S주와 J-326TK 주름 분리하여 각각 Streptomycs sp. J-845S와 Nocardioides sp. J326TK로 동정하였다. Streptomyces sp. J-845S는 그람염색 양성, 비항산성균으로 기균사의 흰색계열의 간상형의 비운동성의 포자를 형성하였으며, 포자의 표면은 평할하였고 나선상의 포자연쇄를 형성하였다. 균사체의 분자는 양호하였다. 세포벽 구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LL-diaminopimelic acid를 함유하는 cell wall type I 이었으며, phospholipid type II였다. Nocardioides sp. J-326TK는 그람염색반응 양성, 항산성염색반응 음성이었으며, 균사체는 불규칙한 간상 또는 구사으이 절편으로 분절되었다. 기균사의 분자는 그다지 인정되지 않았으며, 포자형태의 긴 elements의 표면은 평할하였다. 세포벽 구성성분을 검토한 결과 cell wall type I과 phospholipid type I으로나타났다.

  • PDF

당귀속 2종 식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in 2 Angelica Species Extracts)

  • 윤경원;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8-282
    • /
    • 2004
  • 한방에서 당귀로 쓰여지고 있는 참당귀(Angelica gigas)와 일당귀 (A. acutiloba)의 추출물로 3종의 그람양성균, 2종의 그람음성균과 1종 효모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당귀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액의 항균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만 나타났는데 지상부 추출액에서는 그람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강했고, 지하부 추출물에서는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강했다. 일당귀 추출액의 항균활성은 지상부 추출액은 n-hexane 분획물에서 지하부 추출액 은 water분획물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액의 ether분획물에서 가장 강했다. 효모 S. cerevisiae에 대해서는 항균환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