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ment2.0

검색결과 1,326건 처리시간 0.031초

서울지역 유통 반찬류의 나트륨, 칼륨 함량 및 식중독균 오염도 조사 (Contents of Sodium, Potassium and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ion of Side Dishes Distributed in Seoul Area)

  • 황인숙;장미라;김욱희;이성득;박영애;최부철;이경아;김리라;김동규;정애희;오영희;김정헌;정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41
    • /
    • 2017
  •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식생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서울지역 백화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등에서 포장되어 판매되는 반찬류를 대상으로 나트륨 및 칼륨 함량을 조사하였다. 반찬류 22종류 92건의 100 g당 평균 나트륨 함량 및 칼륨 함량은 각각 $893.5{\pm}449.7mg/100g$, $307.4{\pm}213.5mg/100g$으로 나타났다. 조림류의 나트륨 함량이 $1,003.6{\pm}322.2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리방법에 따른 평균 나트륨 함량은 조림류, 무침류, 나물류로 조사되어 나물류가 나트륨을 적게 섭취할 수 있는 반찬유형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림류와 무침류의 나트륨함량은 나물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요 반찬류의 1회 제공량당 나트륨 함량은 174.9~404.5 mg으로, 세계보건기구의 1일 최대 권고량(2,000 mg)대비 섭취비율이 8.7~20.2% 수준으로 나타났다. 멸치조림, 콩나물, 파래무침의 1회 분량 당 나트륨 섭취비율은 각각 WHO 권고량의 14.2%, 15.5%, 20.2%로 나타나, 3가지 반찬을 동시에 섭취한다고 가정하면 1일 최대 권고량의 약 50%(1,000 mg)를 섭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식단을 작성할 때 나트륨 함량 등을 고려하여 반찬을 선택하고, 즉석반찬의 표준 저염조리법 개발 및 포장반찬의 나트륨 함량 표시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칼륨/나트륨 비는 나물 0.51, 무침 0.40, 조림 0.37로 반찬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금치나물 및 콩조림에서 각각 1.70, 0.81로 나타났으며, 고사리는 0.09로 나타났다. 칼륨/나트륨비가 1 이상이면 고 나트륨 섭취에 의한 고혈압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식단표 작성에 참고하면 유용할 것이다. 서울시내 일부 백화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내 반찬가게에서 구입한 나물류 20건, 무침류 34건, 조림류 38건 총 92건 반찬시료에서 식중독균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식육 및 계란에서 플루오로퀴놀론계 항균물질 정량분석 및 잔류조사 (II) (Determination and survey of fluoroquinolones in meats and eggs (II))

  • 최윤화;김연주;이경혜;강영일;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1-286
    • /
    • 2009
  • Fluoroquinolones in muscle and egg were separated by liquid extraction and determine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following conditions; C18 column ($150{\times}4.6mm$, $5{\mu}m$), mobile phase composed of D.W. (containing 0.4% triethylamine and phosphoric acid) : methanol : acetonitrile (780:100:120, v/v/v), quarternary pump at a flow rate of 0.9ml/min and $20{\mu}l$ of injection volume, fluorescence detector with EX 278nm/Em 456nm. The calibration range of seven fluoroquinolones showed linearity ($r^2{\geq}0.999$) at concentration range of $0.025{\sim}0.8{\mu}g/ml$. The recoveries in fortified muscle and egg represented more than 81.3%. The detection limits for ofloxacin,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 danofloxacin, saraloxacin and orbifloxacin were 3.1, 2.5, 3.6, 1.7, 0.9, 2.5 and $2.1{\mu}g/kg$, respectively. We also monitored fluoroquinolones residue in the sample (chicken muscle 182, cattle muscle 140, pig muscle 139, egg 212) using EEC-plate (E. coli ATCC 11303) screening and HPLC confirmation methods. The screening test results, fluoroquinolones, antibacterial substances were all negative.

동시 다성분 분석법에 의한 농산물 중 Diflubenzuron 분석 (Analysis of Diflubenzuron in Agricultural Commodities by Multiresidue Method)

  • 박선희;한창호;김애경;신재민;이재규;박영혜;김지민;황래홍;장민수;송미옥;박주성;윤은선;김무상;정권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9-277
    • /
    • 2014
  • HPLC-UVD를 이용하여 diflubenzuron이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 제2법에 적합한지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농약이 검출되지 않은 시금치, 엇갈이배추, 가지, 애호박, 청피망, 오이, 참외 등 7종 농산물을 대상으로 직선성,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을 확인하였다. Diflubenzuron 표준용액을 0.05-5 mg/kg 농도로 희석하여 분석한 표준검량선의 직선성은($R^2=0.99999$)은 매우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검출한계는 0.008 mg/kg, 정량한계는 0.02 mg/kg 이며 회수율은 77.5-105.6%, 상대표준편차는 최대 20% 미만, 정밀도는 intra-day test에서 0.4-1.9%, inter-day test에서 0.7-1.9%를 나타내어 잔류농약분석법에서 허용하는 회수율 기준 70-120% 범위와 상대표준편차 20% 이하의 기준에 적합하였다. LC-MSD를 이용한 재확인 과정을 통해 잔류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유통농산물 중 diflubenzuron의 일상적 검사법으로 빠르고 간편한 다종농약다성분 제2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통식육에서 중금속 함량조사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eats)

  • 최윤화;김연주;이경혜;강영일;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9-30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meats available on the Korean markets. Trace metals (Pb, As and Cd) were detected in 4 kinds, 172 samples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The values of heavy metals in meats were as follows; In beef, mean (minimum~maximum) values of the heavy metals were Pb: 0.075 (0.020~0.190)mg/kg, As: 0.010 (0.001~0.050)mg/kg and Cd: 0.43(0.07~2.11)${\mu}g/kg$. In pork, mean (minimum~maximum) values of the heavy metals were Pb: 0.065 (0.012~0.171)mg/kg, As: 0.004 (ND~0.021)mg/kg and Cd: 0.43(0.08~1.09)${\mu}g/kg$. In chiken, mean (minimum~maximum) values of the heavy metals were Pb: 0.060(0.016~0.211)mg/kg, As: 0.008 (ND~0.042)mg/kg and Cd: 0.42 (0.02~3.80)${\mu}g/kg$. In duck, mean (minimum~maximum) values of the heavy metals were Pb: 0.070 (0.011~0.157)mg/kg, As: 0.005 (0.001~0.011)mg/kg and Cd: 0.87 (0.15~3.75)${\mu}g/kg$. This results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future legislation on the regulation and control of heavy metal in meats.

서울 북부지역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Korea)

  • 한성희;박성규;김욱희;최영희;승현정;이영주;정희정;김윤희;유인실;김유경;한기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20
    • /
    • 2012
  • 본 연구는 2011년 서울 북부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2,914건을 대상으로 GC, HPLC, GC-MSD 및 LC-MSD을 이용한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에 따라 284종 대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농산물 중 431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어 14.8%의 검출률을 나타냈으며, 농약 검출빈도가 높은 농산물은 들깻잎 40.0%(28/70), 참나물 35.5%(11/31), 비름나물 30.0%(3/10), 시금치 27.7%(38/137) 순이었다. 이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산물은 31건으로 부적합률은 1.0% 였으며 인삼 6건(19.4%), 들깻잎, 부추 각각 4건(12.9%), 파, 돌나물 각각 3건(9.7%), 시금치, 상추 각각 1건(3.2%)등이었다. 분석대상 농약 284종 중에서 검출된 농약 성분은 59종으로 이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은 21종이었다. 농약의 용도별 분포를 보면 살균제(56.4%)가 살충제(42.1%)에 비해 검출빈도가 높았다. Procymidone의 검출빈도가 가장 높았고 이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은 tolclofos-methyl, endosulfan, dimethomorph, diniconazole, fludioxonil이였다. 판매점별 분포를 살펴보면 유통되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률은 직거래 장터가, 잔류농약기준 초과률은 전통시장이 가장 높았다. 배추에서 검출된 각 농약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PADI 대비 식이섭취율은 diazinon에서 2.9901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른 모든 농약도 3.0% 미만으로 나타나 모두 PADI 대비 위해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 축산물가공품의 보존료 사용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sorts and dosage of preservatives used in processed meat and milk products)

  • 최효정;홍인석;최윤화;이윤희;김창기;이덕주;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7-443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rts and the quantity of preservatives in 2,575 samples of 10 kind products which had been sold in the markets from 2004 to 2006. These analyses were done using HPLC. B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reservative was sorbic acid in 222 cases. Detection rate of sorbic acid was 8.62%. Dehydroacetic acid (DHA) was detected in 8 cases among 36 butter samples and one of 278 sausage samples. Detection rate of DHA was 0.0035%. In detail, the detection rate was 71.5% (88/123) in dried meat, 22.2% (8/36) in processed butter, 17.3% (48/278) in sausage, 10.4% (17/163) in canned meat etc., 7.9% (49/619) in ham, 7.48% (19/254) in processed cheese and 4% (2/49) in bacon, respectively. The content range of sorbic acid and its average in each of the processed meat and milk products are as follows: $ND{\sim}1.64 g/kg$, 0.26 g/kg in dried meat, $ND{\sim}1.34 g/kg$, 0.114g/kg in sausage, $ND{\sim}0.41g/kg$, 0.015 g/kg in canned meat etc., $ND{\sim}1.37 g/kg$, 0.038g/kg in ham, $ND{\sim}1.63g/kg$, 0.056 g/kg in processed cheese, $ND{\sim}0.57 g/kg$, 0.022 g/kg in bacon, respectively. Amount of detected DHA was less than 0.23 g/kg, and its average was 0.022 g/kg in processed butter.

유통 음료, 액상차 및 액상커피의 다량무기질 함량 (The Content of Macrominerals in Beverages, Liquid Teas, and Liquid Coffees)

  • 김성단;문현경;박주성;양혜란;이윤정;한은정;이용철;신기영;김정헌;채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34-1143
    • /
    • 2012
  • 본 연구는 비알콜음료 중 다량무기질 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6~12월 중 서울지역 대형유통센터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 207건, 액상커피 24건 및 액상차 19건을 구입하여 습식분해로 전처리 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량무기질 평균 함량은 칼륨 $208.4{\pm}298.2mg/L$($72.2{\pm}169.8mg/container$, 검출율 100%)> 칼슘 $89.0{\pm}161.0mg/L$($26.0{\pm}57.7mg/container$, 검출율 88.4%)> 나트륨$71.2{\pm}75.0mg/L$($20.9{\pm}27.9mg/container$, 검출율 100%)>인 $55.6{\pm}91.9mg/L$($17.9{\pm}33.8mg/container$, 검출율 93.2%)> 마그네슘 $6.1{\pm}18.4mg/L$($2.4{\pm}10.1mg/container$, 검출율 20.4%) 순으로 높았다. 인과 칼슘의 비율은 평균 $4.2{\pm}16.0$(ND~164.4)으로 스포츠음료가 $48.5{\pm}75.6$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나트륨의 경우 표시량에 대한 실측치의 비율이 120% 이상인 제품은 12개(5.5%)였다.

거버먼트 2.0을 위한 서울시 공간정보데이터 오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Geo-Spatial Open Data for Government 2.0)

  • 김문기;박용철;박은주;장동우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6-29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거버먼트 2.0 시대를 맞이하여 해외 공공기관에서의 활발하게 진행 중인 공간정보데이터 오픈의 최신 사례와 세계전자정부의 선두주자인 서울시에서 현재 운영 중인 GIS포털시스템 공간정보데이터의 오픈 현황과 향후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배급수계통에서 잔류염소 및 THMs 분포 예측에 관한 연구 (Modeling Residual Chlorine and THM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 안재찬;이수원;노방식;최영준;최재호;김효일;박태준;박창민;박현;구자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06-7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배급수계통에서 잔류염소와 THMs의 분포를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잔류염소와 THMs의 등의 수질변화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체와 관벽에 대한 잔류염소 감소계수와 THMs의 생성계수를 산출하여 관망해석에 의한 수질모델링에 적용하였다. 병실험을 통해 잔류염소 병렬 1차 수체 반응계수를 구하고, 5개 관벽 감소 모델을 비교 평가하여 1차 관벽 감소계수 산출하고 적용했을 때 잔류염소 현장 측정값과 관망 수질모델링에 의한 예측간의 평균절대오차 및 평균제곱근오차가 각각 0.03, 0.037 mg/L로 가장 작았다. 또한 병실험에 의한 THMs생성량을 비선형 회귀분석으로 1차 생성계수를 구하고 현장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9월의 현장 측정값과 예측값의 결정계수 $R^2$는 0.98, 11월에는 0.82로 예측이 가능하였다.

서울지역에서 유통 중인 쇠고기와 돼지고기로부터 분리된 대장균과 장구균의 분리율 및 항생제 내성 (Isolation frequency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beef & pork on sale in Seoul, Korea)

  • 김주영;박미애;김지은;채희선;박연재;손장원;양윤모;최태석;이주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1-119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solation frequency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E. coli) and Enterococcus spp. from domestic beef and pork on sale in Seoul, Korea. A total of 106 (10.4%) E. coli and 114 (11.2%) Enterococcus spp. from 635 domestic beef and 381 pork samples were isolated and examined for susceptibility to 15 and 11 antimicrobial agents,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antimicrobial resistance observed in E. coli isolates was to ampicillin (38.6%), followed by streptocmycin (34.9%) and tetracycline (32.0%). The most frequent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 faecium isolates was to erythromycin (53.8%) and rifampin (46.1%), and in E. faecalis isolates was to tetracycline (55.7%) and rifampin (55.0%). Among the isolates, multi-drug resistant (MDR) E. coli and Enterococcus spp. strains showing resistances to more than two antimicrobial agents tested were 10.4% and 11.2%, respectively. As a result, appropriate protocols for antimicrobial agents and strategies to reduce antimicrobial resistance will be needed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