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teaching

검색결과 563건 처리시간 0.036초

실습을 통한 수축방법의 효과적인 이해 (Effective Teaching of Deflation using Computer Practice)

  • 이규봉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75-586
    • /
    • 2006
  • Both theory and experiment are very important parts in sciences. Especially in mathematics, theory seems to be very important, but experiment or practice doesn't. Numerical analysis of many parts in mathematics needs practice in computer.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computer-practicing in teaching power method, inverse power method and deflation to calculate eigenvalues and eigenvectors is good in understanding the theory. It also makes students sure that mathematics is helpful.

  • PDF

컴퓨터 재량활동 수업에서 STAD협동학습이 ICT 정보수집과 정보가공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AD Cooperative Learning 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ability in Computer Education)

  • 윤미숙;한병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07-416
    • /
    • 2005
  •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육방법의 논의는 학습자가 컴퓨터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교수법 중 교사와 학습자간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STAD협동학습을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STAD협동학습 이론에 기초한 컴퓨터 실기 수업이 학생들의 ICT 정보수집 및 정보가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수업모형은 컴퓨터 과의 수업모형 중 하나의 예시가 될 것이며, 앞으로 컴퓨터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더 많은 연구사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초등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학과 초등학교의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Reporting the Activit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Enhancing Elementary Mathematical Teaching Professionalism)

  • 박영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47-61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교의 교과전문가와 단위학교의 4학년 교사들로 구성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의 활동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는 학습공동체의 방향 및 내용 설정하기, 우수수업동영상 보고 논평하기, 공동으로 수업 아이디어 도출하고 실천하며 반성하기의 활동을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수업관련 자료 및 모임 기록 등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는 교사가 일상의 초용 수학 수업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점을 찾도록 유도하였으며 수학 수업을 매개로 교과 전문가와 교사, 교사들 간의 수평적 협력 관계가 가능하고 수업전문성 신장의 효과적인 방안임을 보여준다.

Teaching Switching Converter Desig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Simulation of Characterization Modeling

  • Wang, Shun-Chung;Chen, Yih-Chien;Su, Juing-Huei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0권6호
    • /
    • pp.595-603
    • /
    • 2010
  • In this paper, teaching in a "switching converter (SC) design" course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with dynamicbehavior- model simulation, given at Lunghw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LHU), Taiwan, is proposed. The devised methodology encourages students to design and implement the SCs and regulate the controller's parameters in frequency domain by using 'sisitool' ('bode') in the MATLAB toolbox. The environment of PBL with converter characterization modeling and simulation reforms the learning outcome greatly and speeds up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o qualify and evaluate the learning achievements, a hands-on project cooperated with the continuous assessment approach is performed to modulate the teaching pace and learning direction in good time. Results from surveys conducted in the end of the course provided valuable opinions and suggestions for assessing and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of the proposed course successively. Positive feedbacks from the examinations, homework, questionnaires, and the answers to the lecturer's quizzes during class indicated that the presented pedagogy supplied more helpfulness to students in comparisons with conventional teaching paradigm, their learning accomplishments were better than expected as well.

환경 교수학습법에 대한 과학과와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 (Perceptions of Korean Science and Social Science Teachers Regarding Teachers/Learning Metho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최경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2호
    • /
    • pp.40-50
    • /
    • 2001
  • To meet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especially have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mprehe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be able to conduct classes by choosing proper teaching/leam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purpose and educational focu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it B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vide teachers with appropriate environmental teaching/leaming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science teachers'perceptions'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kind of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an be utiliz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135 science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126 social science teachers from Kyoungki province. The majors of the science teachers were in physics, chemistry, biology, geology, and earth science. Also, there was one teacher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For social science teachers two majors were common, geography and general sociology. After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survey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and social science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Second, most teachers had applied environment related topics to their subject of study occasionally, but they mostly concurred that environment related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ir textbooks. Third, science teachers agreed that field trip, discussion, and the STS approach were the most proper metho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ocial science teachers agreed that field trips, inquiry, and discussion were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for a teaching environment. They realized that they should decide good teaching-learning methods appropriate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 needed for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y selected differ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detailed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contents in their textbooks.

  • PDF

효과적인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재연구의 필요성 -피복영역의 지도를 중심으로- (The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 손원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3-85
    • /
    • 1989
  • The Change of environment related to human life, science, technology, economics and education level have much effect on home life. Therefore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to get out of past trite concept that it is only a method to become good housewife and take the role to widen the human life and to grow creative power as a academic part of science. For these, Home Economics should become life education, lif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has to have relation to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effective result from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object, system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object, system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to be improved and teaching material has to be studied systematically. As an object of aboves and education planning in clothing is made for deep understanding the study of Home Economics Teaching Material. And to understand the real state, made some questions, had interview with 63-teaching in Kangweon province and show the results. 1) Tab 1~20 are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object, teaching content, time structure of secondary school. The object is recognized as cultural education and basic job education. 2) Tab 21~30 show the real state of textbook and study of it. To take effect from school lecture other teaching material except textbook is required. 3) Tab 31~40 are the result of sewing and handicraft practice. Sewing and handicraft needs much time and almost all time is used in practicing. 4) Tab 42~54 are the planning of textbook study for effective teaching, self-estimation and teaching material making is also considered. All above is collarless blouse’s planning. Base on above result, all objects of clothing life should be teached. For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1)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teachers is required. 2) To solve indicated problem, national policy, education plan in school and education finance are fully supported. 3) More studies is requi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PDF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영유아 교수·학습방법' 교과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Pre-prim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subject of 'Inf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 권종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23-429
    • /
    • 2022
  • 본 연구는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영유아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문헌조사 및 예비유아교사의 '영유아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주제에 대한 워드클라우드 분석 및 질적 사례분석을 활용한 혼합연구이다. '영유아교수·학습방법' 교과목에 대한 생각, 어려움, 배울점, 교사로서 잘할 수 있는 수업 역량 및 수업 전문성을 위한 경험 등을 통해 유아교사로서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자신들의 효능감을 높힐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하며, 유아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 -"A"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 사례-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Tool in Higher Education -A case of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A" university-)

  • 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33-504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A대학의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의의 질 제고라는 강의평가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도록 강의평가 문항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의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영역 및 요소, A대학의 현행 강의평가 도구의 내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제안된 개선안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영역, 평가 항목, 평가 문항의 구성 체계를 재구성하였다. 둘째, 강의 개선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에서의 좋은 강의의 특징을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도구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평가 요소 등과 관련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넷째, 강의의 질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산술평균으로 결과를 제시할 수 없더라도 관련 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현행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을 수정 보완하였다.

"채워지지 않는 잔(盞)": 초등 교사들에게 있어 과학 수업의 의미 ("Unfillable Cups": Meanings of Science Classe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1-29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서 초등과학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28명의 교사들을 참여자로 하여 그들의 생활 세계 속에서 형성된 과학 수업의 의미를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초등 교사들에게 과학 수업의 의미는 일양(一樣)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 경험하는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열정이 넘치는 초임교사 시절에 과학은 그 즐거움을 학생들과 나누고 싶은 교과이다. 그래서 교사들은 과학 수업뿐만 아니라 과학과 관련된 학교 일을 도맡아 할 정도로 의욕을 보인다. 하지만 점차로 좋은 과학 수업을 고민하게 되고실험과 초등학교 학생들의 특성을 깨닫게 되면서 고민은 더욱 깊어진다. 과학 수업을 둘러싼 초등 교사들의 이러한 고민이 실제로 좋은 과학 수업으로 승화되어 나타나기에는 학교의 과중한 업무, 실험실 사고, 가정을 돌봐야 하는 부담이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사들은 더 좋은 과학 수업을 위한 고민과 노력을 다시 시작하지만,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학 수업은 여전히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는 "채워지지 않는 잔(盞)"처럼 남아 있다.

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지원 방안 연구 :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Learning Support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ing proces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 전영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61-7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가정 아래, 공과대학생들의 학습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지원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학습과정 분석은 다섯 가지 영역-수업내활동, 수업외활동, 상호작용, 학습성과, 학습지원체제-으로 이루어졌으며,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의 공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T-test, Anova, 위계적선형모형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과 교양 수업 만족도는 높았으나,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이나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낮았으며, 고등사고력 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있지 않았고 학습성과 역시 낮았다. 학습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고등사고력 활동, 수업에의 적극적인 참여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등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 수업에의 적극적 참여와 고등사고력 활동을 강조하고 글쓰기 지원 및 교수-학생간 상호작용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