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d bead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8초

금사, 금침, 금주를 중심으로 한 금(金)의 인체 내 매장요법에 대한 연구동향 고찰연구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Gold Implantation Therapy Focused on Gold Thread, Gold Needle and Gold Bead)

  • 조대현;아리온치멕;조예은;이상훈;이재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79-93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gold implantation therapy performed on the animal and human body, through a review of clinical studies focused on gold thread, gold needle and gold bead. Methods : Medical databases, including Pubmed, CENTRAL, MEDLINE, EMBASE, RISS4u, KISTI, OASIS and KTKP, were searched for relevant articles published from their launch to December 31, 2015 using the key word 'gold' with '$thread^*$', '$needle^*$', '$acupuncture^*$', '$wire^*$', '$bead^*$', '$embed^*$', '$implant^*$', or '$insert^*$'.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in vivo studies, clinical trials and clinical reports. Analysis of the results was conducted in several research areas, from the identity of studies such as nationality and published year, to the gold preparations-features and implanted locations and to the outcomes that reflect the clinically favorable or adverse effect of gold implantation therapy. Results : A total of 30 studies including 11 in vivo studies, 4 clinical trials and 15 case reports, were found in the search. We observed certain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he research time, nationality and target indication of the studies. The studies primarily revealed a chronic local inflammatory response which could be a useful mechanism for pain-relief in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facial rejuvenation. Researches concerning long-term reactions or adverse effects were rare.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orts to discover the level of clinical efficacy of gold implantation therapy were steady and worldwide. However, further researches on the longterm effect, and more importantly, the safety of gold implantation therapy are required.

Gold Beads Implants for The Treatment of Canine Chronic Recurrent Otitis Externa

  • Sumano, Hector;Tapia-Perez, Graciela;Gutierrez, Lili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0-106
    • /
    • 2013
  • A clinical trial was performed to assess clinical efficacy and/or reduction in relapses by gold-bead implantation into acupuncture points in dogs with canine chronic recurrent otitis externa (CCROE). Forty dog-patient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ere diagnosed as suffering CCROE, having intact tympanic membranes and a history of recurrences. Treatments were: control group (CG),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antimicrobial otic droplets, dosed twice daily for 7 days; and experimental group (GBI- gold bead implants), treated as for CG plus the insertion of 13 gold-bead implants under light anesthesia. Overall per cent assessment of composite clinical progression and progression of individual clinical signs were recorded. Bilateral chronic external otitis was diagnosed in 60% of the cases and left or right otitis in 20% of the cases each. Logistic model for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GBI induced a better clinical recovery as far as lesion score of some clinical signs is concerned. The overall percent cures of each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 McNemar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number of relapses was observed in CG patients as compared to the GBI (P < 0.05). In particular during these days, lesion on the pinna showed in odd ratios analysis a 7:1 ratio (recurrence CG:GBI) and ear wax/pus (4:1) from D42 to D365. It is concluded that gold-bead implantation into acupuncture points improves resolution of some clinical signs and greatly reduce relapses in CCROE affected dogs after 1 year follow-up (98.75%).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Bakjimeure Site in Asan, Korea)

  • 김나영;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5-216
    • /
    • 2012
  • 아산 밖지므레 유적 마한 분묘에서 출토된 유리 65점은 포타쉬유리군이 13점, 소다유리군이 52점으로 소다유리군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색상별로 세분하면, 감청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과 소다유리군이 공반되는 반면 자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이고 적색, 벽색, 녹색, 금박유리는 소다유리군으로 나타났다. 감청색 유리는 안정제의 함량이 낮은 LCA계이고 이중에 소다유리는 MgO와 $K_2O$ 함량이 낮은 LMK형으로 천연탄산소다가 원료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적색 유리는 균질한 유리가 LCA-B계/HMK형이고 불균질한 유리가 HCLA계/LMK형으로 각각 해양 식물 재와 천연탄산소다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벽색과 녹색 유리는 환옥이 LCA-A계/LMHK형이고 연주옥이 LCA-B계/HMK형으로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금박구슬은 19.9~22.6K의 순도를 갖는 금박과 HCLA계/LMK형의 소다유리로 제작되었다. 즉, 아산 밖지므레 유적 유리구슬 대부분은 백제시대 타 유적에서 확인되는 유리 조성과 유사성이 높은 편이나 벽색 및 녹색 연주옥과 일부 적색 환옥은 다른 화학 조성을 보이므로 원료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고대유리의 교역 체계 이해를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금속면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금합금과 전장레진간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RESIN TO TYPE IV GOLD ALLOY)

  • 박동원;임오남;우이형;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85-692
    • /
    • 1995
  • The effect of five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resin bond to Type IV Gold alloy was studied by bonding resin to metal. The metal surface was subjected to one of the following treatments and bonded ;(1) air abraded with $50{\mu}m$ alumina particles,(2) beads(3) beads and tin-plated at curreant density of 300mA/$cm^2$,(4) tin-plated at current density of 300mA/$cm^2$,(5) silicacoating with sililink, and bonded with an MDP Opaque primer, CESEAD resin system. The bonded specimens were immersed in water for 23 hours after 1 hour resin curing and shear bond strength were record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1.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shear bond strength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And bead glroup exihibit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sand blasting group exhibit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on five groups. 2. Bead group, mechanical bond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tained with the samples, tinplating, silicacoating, and chemical bonding. 3. No statistically signifl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hear bond strengths obtained with bead and bead-tinplating, and between tinplating and sili cacoating.

  • PDF

파이버 레이저를 이용한 순 티타늄 박판의 용접특성 향상을 위한 연구 - 실드가스 노즐변수의 영향 - (The Study for Improving the Weldability of Pure Titanium Sheet by Using Fiber Laser - The Effect of Shielding Gas Nozzle Variable -)

  • 김종도;김지성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4권5호
    • /
    • pp.6-12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bead welding of pure titanium by using fiber laser. Since titanium is very sensitive to oxidation and nitriding during welding, it is important to compose the shielding equipment compared with different material. Thus side and coaxial shield nozzle, rail and chamber type shielding equipment are widely used to protect effectively the weld during weld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changing nozzle angle and distance using side and coaxial shield nozzle. The bead colors of gold, brown, blue, purple and yellowish white were obtained by changing variables of shield nozzle, and then its weldability was investigated. As experiment result, sound and not brominated beads were formed when side nozzle angle and distance were respectively $45^{\circ}$ and 10 mm.

표면처리에 따른 금속과 간접복합레진간의 전단결합강도 비교연구 (Comparison of shearbond strength between metal and indirect resin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ditionings)

  • 최수영;최현민;문홍석;심준성;박영범;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64-271
    • /
    • 2017
  • 목적: 본 연구에서는 4종의 간접복합레진에 대하여 금합금과 Ni-Cr합금에 대한 결합강도의 차이와 각각의 합금에 표면형태를 다르게 하여 일정한 온도의 증류수에 보관 전과 후에 전단결합강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금속 시편을 주조 제작하였는데, 금합금과 Ni-Cr합금의 표면형태를 flatting, bead, loop로 하여 4종의 간접복합레진(Gradia, Tescera Sinfony and in;joy)당 60개씩 총 240개를 준비하였다. 이후 금속표면에 각각의 제조사에서 지시한대로 간접 복합레진을 접착하였다. 간접복합레진의 중합 24시간 후에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전용 지그에 금속시편을 부착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증류수에 240시간 보관 후에 같은 방법으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금속의 표면 형태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측정에서 4종의 레진 모두 bead군에서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고 loop, flatting 순이었다 (P < .05). 수조에서 240시간 보관 후에는 Gradia가 모든 군에서 다른 레진 군에 비해 비슷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P < .05)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금속표면의 형태에 따라, 금속의 종류에 따라, 물속 보관 전후에 따라 금속과 간접복합레진의 결합력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추가 실험을 통해 최적의 조합에 따른 임상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보물 제634호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검증 연구: 디자인과 문화 상징요소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Study on the Treasure #634 of Silla Face-Inlaid Glass Bead: Focusing on the Design and Cultural Symbolic Elements)

  • 최미숙;이효정;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71-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슬 문양 디자인의 상징성과 의미 및 신라문화와의 연관성, 유리구슬 제조의 제반 여건을 조사하여 예술성과 기술성이 뛰어난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신라 자체 제작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디자인 분석 이외에 고문헌과 신화, 유리 유물, 유리 및 금속의 생산기술, 실크로드 교차로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홍산문화 유물, 다른 상감 유리구슬의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마한, 부여, 신라인은 구슬을 보배로 삼고 장신구에 애용하였는데, 구슬 속의 인면상 상투와 금관장식, 새와 꽃나무의 모든 디자인 요소가 김알지, 김수로, 박혁거세, 주몽 등 위인들의 난생설화, 북방의 새 및 신수 숭상 등과 밀접하였고, 디자인 요소와 배치가 신라의 다른 유물에서도 동일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슬과 인면상의 기원은 홍산문화였으며 하가점하층문화의 고조선 북표에서는 구슬용 석범이 발견되었다. 또 경주 식리총의 상감 유리구슬과 일본 토간모리 고분의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출토는 신라 자체 제작설을 확증시켜주는 것이다. 백제인이 5세기 일본에 유리구슬 제작소를 둔 사실은 신라인이 인도네시아 자바에도 제작소를 두었음을 의미한다. 신라와 밀접한 관계였던 인도네시아 자바는 신라의 해상실크로드 교차로, 원석 및 노동력 제공지이고 유리구슬의 소비 지역이나 기원지는 아니었다. 이에 구슬에 대한 신화와 전통을 보유하고 머리에 상투와 금관을 착용하였으며, 금속 및 상감 기술 등 난이도 높은 기술을 보유했던 신라가 자체 제작한 것이 틀림없다.

Gold-protein A Complex 항체 고정화법을 이용한 Salmonella spp.의 신속 검출 (Rapid Detection of Salmonella spp. by Antibody Immobilization with Gold-protein A Complex)

  • 박인선;김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
    • /
    • 1999
  • Salmonella spp.의 신속한 검출을 위하여 발진모듈, 수정결정 진동측정기, 박막형태의 수정결정으로 이루어진 압전류적(piezoelectric, PZ) 항체센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수정결정의 금전극 표면에 Salmonella 구조 항원(common structural antigen)에 대한 항체를 protein A를 사용하여 고정화하고, 항체가 고정화된 수정결정과 미생물간의 결합반응에 의한 질량증가로 나타나는 진동수의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PZ 항체센서는 $35^{\circ}C$, pH 7.2의 0.1M 인산 완충용액에서 Salmonella균에 대하여 가장 높은 감응도를 나타내었다. PZ 항체센서의 반응은 Salmonella균에 대하여 매우 선택적이었고 polystyrene bead 첨가시 센서의 감응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Salmonella균의 농도가 $10^5{\sim}10^6\;CFU/mL$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쌍대수좌표에서 직선구간의 검량선을 얻을 수 있었고, Salmonella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은 50분이내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