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emical Characteristic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Bakjimeure Site in Asan, Korea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 Kim, Na Yo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Gyu 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나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규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2.06.04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09.20

Abstract

65 samples of glass bead excavated from Mahan tombs of Asan Bakjimeure site consists of 13 of potash glass group and 52 of soda glass group and soda glass is superior in numbers.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color, purple blue glass bead is accompanied potash and soda glass group whereas purple glass bead is potash glass group and red, greenish blue, green and gold foil glass bead is soda glass group. Purple blue glass bead is classified as LCA type in which the content of the stabilizer is low. Of this, the soda glass categorized as LMK type with low content of MgO and $K_2O$ is determined that natron is used as the raw material. As to red glass, the homogeneous glass is LCA-B/HMK type and the heterogeneous glass is HCLA/LMK type. Thus, each of these two types are likely to be used plant ash and natron respectively. Greenish blue and green glass depends of the type that round glass is LCA-A/LMHK type and the segmented glass is LCA-B/HMK type. The gold foil glass bead is manufactured by the purity of 19.9~22.6K gold foil and the soda glass of HCLA/LMK type. In other words, the most of the glass bead of Asan Bakjimeure site is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the glass confirmed in other sites of the Baekch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greenish blue and green segmented bead and some red round bead is a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 is considered that the difference in raw materials. These characteristics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evidenc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e system of the ancient glass.

아산 밖지므레 유적 마한 분묘에서 출토된 유리 65점은 포타쉬유리군이 13점, 소다유리군이 52점으로 소다유리군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색상별로 세분하면, 감청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과 소다유리군이 공반되는 반면 자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이고 적색, 벽색, 녹색, 금박유리는 소다유리군으로 나타났다. 감청색 유리는 안정제의 함량이 낮은 LCA계이고 이중에 소다유리는 MgO와 $K_2O$ 함량이 낮은 LMK형으로 천연탄산소다가 원료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적색 유리는 균질한 유리가 LCA-B계/HMK형이고 불균질한 유리가 HCLA계/LMK형으로 각각 해양 식물 재와 천연탄산소다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벽색과 녹색 유리는 환옥이 LCA-A계/LMHK형이고 연주옥이 LCA-B계/HMK형으로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금박구슬은 19.9~22.6K의 순도를 갖는 금박과 HCLA계/LMK형의 소다유리로 제작되었다. 즉, 아산 밖지므레 유적 유리구슬 대부분은 백제시대 타 유적에서 확인되는 유리 조성과 유사성이 높은 편이나 벽색 및 녹색 연주옥과 일부 적색 환옥은 다른 화학 조성을 보이므로 원료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고대유리의 교역 체계 이해를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호, "유리공학". 청문각, p10-21, (1997).
  2. Rune Persson, "유리공업". 청문각, (2000).
  3. Turner, W.E.S. "The composition, weathering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ome Assyrian glasses of the eighth of sixth centuries BC from Nimrud". J. Soc. Glass Technol, p445-456, (1954).
  4. 이인숙, "한국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5.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6. 이인숙, "한국의 고대유리". 창문, (1993).
  7. 송유나, 김나영, 한수영, 김규호, "전북 완주 갈동 유적 출토 유리환의 고고화학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발표논문집, 22, p307-312, (2005).
  8. 박슬기, "삼국시대 구슬장식에 관한 연구-남한출토 유리구슬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 권영필, "한국고대미술의 중앙아시아와의 접촉",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991).
  10. 이한상, "신라분묘 속 서역계문물의 현황과 해석". 한국고대사연구, 45, p133-159, (2007).
  11. 김차규, "로마(비잔티움) 유리용기의 신라유입 과정에 대한 해석 : 5-6세기 초 비잔티움의 동방 교역정책과 관련하여". 서양중세사연구, 24, p1-27, (2009).
  1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문화재조사팀, "아산 탕정 밖지므레유적 V". 충남역사문화원, (2011).
  13. Roy Newton, Sandra Davison, "Conservation of Glass". Butterworths, p135-158, (1989).
  14. 권윤미, "사천 늑도와 경상도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및 특성 비교".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5. 송유나, "충남지역 출토 백제시대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김동윤, 김나영, 이석범, 김규호, "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상고사학보, 74, p115-131, (2011).
  17. 김규호, "연천 학곡리 적석총 출토 구슬의 과학적 연구 보고서". 연천 학곡리 적석총,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p148-164, (2002).
  18. 김규호, 송유나, 김나영, "수청동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오산 수청동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p113-128, (2006).
  19. 김규호, 김나영, "고창 남산리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창 남산리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p449-474, (2007).
  20. Lambert J.B., "Traces of the past". Perseus Publishing, p104-127, (1998).
  21. Shortland A.J. and Tite M.S, "Raw materials of glass from Amarna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s of Egyptian glass". Archaeometry, 42(1), p141-151, (2000). https://doi.org/10.1111/j.1475-4754.2000.tb00872.x
  22. Prero Mirti, Marco Pace, Mery Malandrino, Mariamaddalena Negro Ponzi, "Sasanian glass form Veh Aradasir: new evidences by ICP-MS analysi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6, p1061-1069, (2009). https://doi.org/10.1016/j.jas.2008.12.008
  23. Karl Hans Wedepohl, Klaus Simon, Andreas Kronz, "Data on 61 Chemical Elemen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ree Major Glass Compositions in Late Antiquity and the Middle Late ages". Archaeometry, 53, p81-102, (2011). https://doi.org/10.1111/j.1475-4754.2010.005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