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obionina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모래무지아과(Cyprinidae)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The Taxonomic Study of Gudgeons of the Subfamily Gobioninae(Cyprinidae) in Korea)

  • 김익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36-448
    • /
    • 1984
  • 1972년부터 1983년까지 국내 여러 하천에서 채집된 모래무지아과 어류의 많은 표본을 중심으로 검토 동정하였는 바 모두 16속 28종 및 아종으로 이들의 Synonyms 와 분포를 기록하고 아과와 속의 검삭표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Abbottina springeri 가 우리나라 남부의 여러 지역에서 출현함을 밝히고, 이들의 형태적 특징을 재기재하였으며, 우리나라 동해 남부 연안에 유입되는 영덕오십천, 형산강 및 회야강에서는 측선린수와 모양, 체즉반문 및 안경등이 Squalidus 속의 기지종과 잘 구별되는 Squalidus sp.가 발견되어 기재하였다. 한편, 어름치의 속명 Gonoproktopterus는 Hemibarbus로 이전시켰다. 한국산 모래무지아과의 속은 여러가지 외부특징의 비교로 5개의 phyletic group 즉 Hemibarbus, Pseudorasbora, Pseudopuntungia, Gnathopogon 및 Pseudogobio group으로 구분하고 그들의 유연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편 Gobiobotia 속은 수염과 두골의 몇가지 형질의 특징으로 보아 돌상어어과 Gobioboitinae로 간주하였으나 Microphysogobio와 Saurogobio 속은 모래무지 아과로 취급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모래무지아과(亞科)(Gobioninae) 어류의 미설골(尾舌骨)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Urohyal of the Subfamily Gobioninae of Korea)

  • 김익수;강언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24-34
    • /
    • 1989
  • 외부형태를 근거로 구분되어 온 잉어과(科)(Cyprinidae)의 모래무지아과(亞科)(Gobioninae)어류는 아과(亞科)의 한계가 학자 간에 일치되지 않아 분류학적으로 문제된다. 본 연구는 이의 규명을 위해 한국산 모래무지아과(亞科) 어류(魚類) 14속(屬)에 대해 두골의 형질을 재검토하던 중 미설골(urohyal)의 형질이 뚜렷한 형질전이 상태를 보여 주목되었다. 한국산 모래무지아과(亞科) 어류는 미설골의 형질상태에 의해 다음과 같은 4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1. Coreo leuciscus, Gnathopogon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후연이 쐐기모양으로 패인 원추형이고, 그 길이는 수직판보다 길다. 2. Squalidus, Hemibarbus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뒤로 갈수록 넓어지며 후연은 뾰죽하게 뻗은 긴 마름모꼴로, 그 길이는 수직판과 거의 같다. 3. Sarcocheilichthys, Pseudorasbora, Pseudopungtungia, Pungtungia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중앙부분이 매우 넓은 마름모꼴로, 그 길이는 수직판 보다 길고, 인대가 부착되는 선단은 2분지 되지 않으며, 중앙부분이 복면을 향해 굽어 있다. 4. Ladislavia, Gobiobotia, Abbottina, Hicrophysogobio, Pseudogobio, Saurogobio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뒤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침상 혹은 넓은 쐐기모양으로, 그 길이는 수직판보다 짧고, 선단의 인대가 부착되는 부위는 배면으로 비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dductor mandibulae complex와 geniohyoideus 등의 근육형질이나 두부 측선감각관 등의 형질에 의한 결과와도 일치되는 것으로 주목된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pilot application of 14 microsatellite loci from the Korean shi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 Kim, Sang-Ki;Kim, Ji-Jung;Ryu, Shi-Hyun;Suk, Ho-Young;Hwang, Ui-W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224-229
    • /
    • 2012
  • The Korean shi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ninae), a small freshwater fish native to Korea Peninsula, widely inhabits in most of the major drainages in South Korea. Here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14 novel and polymorphic microsatellites for this species and its effective utilization in estimation of genetic diversity using 72 individuals from three sampling sites in different drainages. Loci were isolated from a microsatellite enrichment procedure using probe-labeled magnetic beads. A total of 242 alleles were detected across all loci with an average of 17.3 alleles per locus ranging 4 32. The loci varied levels of polymorphism as evident from its expecte heterozygosity ranging from 0.111 to 0.957. The average pairwise $F_{ST}$ between two populations examined shows significant differentiation ($F_{ST}$ = 0.215, p<0.05). The 14 microsatellite loci developed here will also be useful to explain for the genetic structures among geographically isolated populations and gene flow dynamics within drainages in this species as well as the closely related species.

점몰개 Squalidus multimaculatus(Gobioninae)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qualidus multimaculatus (Gobioninae))

  • 송하윤;고명훈;서인영;문신주;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2-61
    • /
    • 2017
  • 한국고유어종 Squalidus multimaculatus의 난 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습식법으로 인공수정하였다. 수정란의 직경은 0.8~0.9 mm로 원형으로 투명한 황색을 띈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유구는 없었다. 부화는 수온 평균 $24{\pm}1^{\circ}C$에서 수정 후 65시간을 전후하여 시작하였다. 부화자어는 전장이 2.5~3.1 m로 입과 항문은 열려있지 않았다. 부화 후 5일째 자어는 전장이 4.0~4.2 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며 입과 항문이 완전히 열리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0일째 개체의 전장은 11.2~15.7 mm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수가 정수에 달하며 몸의 무늬가 어미와 유사한 치어 단계로 이행하였다. 부화 45일 후에는 전장이 18.8~22.5 mm로 자라 외형이 성어와 유사하였고, 80일 후에는 25.7~35.9 mm로 자라 외형과 반문이 성어와 동일하였다.

Comparative Analysis of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Scorpaenidae and Gobioninae

  • Park, In-Seok;Gil, Hyun Woo;Oh, Ji Su;Choi, Hui Jung;Kim, Chi H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2호
    • /
    • pp.85-96
    • /
    • 2015
  • Measurements of closely related sets of classical and truss dimensions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species of scorpaenidae including the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the black rockfish, S. schlegeli, and gobioninae including the striped shiner, Pungtungia herzi, and the slender shi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The measurements of the dimensions were arc sin square root transformed, and compared as a function of the standard length of each species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value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2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shiners, 9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2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1 valu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4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shiners, 13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3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6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The dimension sets us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s taxonomic indicators for discriminating among fish species in Korea.

조종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Gobioninae)의 난발생, 자치어 형태 발달 및 자연산란장 연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and Juveniles, Characteristics of Spawning Sites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Gobioninae) in the Jo-jong Stream, Korea)

  • 송하윤;김승용;김경무;곽영호;전형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6-181
    • /
    • 2020
  • 조종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ninae)의 초기생활사와 자연산란장 연구를 2020년 5월에 수행하였다. 수정란의 크기는 2.05~2.23 mm (평균, 2.13 mm)로 유구는 없었다. 수온 20±1℃에서 수정 후 약 98시간이 경과하여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자어의 전장은 5.03~5.68 mm (평균, 5.31 mm)로 입과 항문은 열리지 않았다. 부화 4일 후 전장은 6.95~7.89 mm (평균, 7.51 mm)로 자어의 머리와 체측면에서 막대 모양의 cupulae가 관찰되었다. 부화 후 7일의 전장은 8.39~9.29 mm (평균 8.78 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cupulae는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부화 후 29일에는 전장은 14.16~17.04 mm (평균, 14.99 mm)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수가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8일의 전장은 18.21~23.74 mm (평균, 19.42 mm)로 비늘은 미병부부터 발달이 시작되었다. 부화 후 73일에는 전장 26.82~33.33 mm (평균, 30.28 mm)로 외부 형태적 특징은 성어와 유사하였다. 쉬리의 자연산란장은 조약돌(64~16 mm)과 자갈(16~2 mm)이 바닥에 깔려있었으며, 수심 6~18 cm, 바닥부분의 유속은 0.43~0.73 m/sec인 지역이었다. 수정란은 난괴(egg mass) 또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조약돌과 자갈 아래의 작은 간극에 위치하였다.

돌마자 M. yaluensis (어상강, 잉어과)의 동종이명, Microphysogobio tungtingensis uchidai (Microphysogobio tungtingensis uchidai, a Junior Synonym of M. yaluensis (Pisces, Cyprinidae))

  • Ik-Soo Kim;Hyun Y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2호
    • /
    • pp.159-163
    • /
    • 2000
  • 1973년 Banarescu and Nalbant는 우리나라 낙동강에서 채집된 모래무지아과의 어류 표본 5개체를 근거로 하여 Microphysogobio tungtingensis uchidai로 기재 발표하고, Uchida가 미확인종으로 보고한 경모치 Microphysogobio sp.를 M. t. uchidai의 동종이명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Microphysogobio t. uchidai의 type specimens의 모식 표본들의 입술의 유두돌기를 포함한 계수 및 계측 형질을 비교 검토한 결과 M. t. uchidai는 돌마자 M. yaluensis의 동종이명임을 확인하였다. 확인하였다.

  • PDF

낙동강 수계 감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 (Pisces: Gobionin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cheon Stream, Nakdonggang River (Pisces: Gobioninae))

  • 김형수;양현;홍양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4
  • 2010년 3월부터 11월, 2012년 6월에 낙동강 수계 감천일대에서 흰수마자의 서식지 환경특성 및 개체군 생태를 조사하였다. 흰수마자의 미소서식처의 환경조건은 유속 0.11~0.44 ($0.32{\pm}0.06$) m/s, 수심 11~69 ($28{\pm}14.4$) cm 내외인 곳이었고, 하상입자크기의 구성비율은 1.71% (>3.35 mm), 71.3% (>0.500 mm), 26.9% (>0.106 mm)이었다. 1년생은 체장 25~30 mm, 2년생이 31~41 mm, 3년생이 42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5월 기준). 산란기는 6월과 7월 사이(수온 $28.0{\sim}31.0^{\circ}C$)였고 성비는 1 : 0.64로서 암컷이 우세하였다. 포란수는 1,067~7,298 (평균 2,827)개였고 난경은 0.71~1.04 ($0.79{\pm}0.051$) mm였다. 흰수마자의 주요 먹이생물은 깔다구과였고, 먹이생물 개체수는 정오인 12:00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0:00~03:00 사이에 가장 많았다.

섬진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어류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Pisces: Gobioninae)의 산란특성 (Spawning Characteristics of an Endangered Freshwater Fish Microphysogobio koreensis (Pisces: Gobioninae) in the Semjingang (river) from Korea)

  • 박종성;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1-266
    • /
    • 2017
  • 모래주사 Microphsygobio koreensis는 환경부에 의해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는 한국 고유종이다. 본 연구에서 모래주사의 산란시기와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종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전북 임실군 신평면 덕암리에서 실시하였다. 자연 상태와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산란시기는 4~5월로 산란 성기는 수온이 $20{\sim}23^{\circ}C$인 5월초로 확인되었다. 산란시기의 수컷은 몸 전체가 밝은 주황색을 띄고 아가미 뒷부분에서부터 미병부까지 이어지는 중앙 줄무늬와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배지느러미가 붉어지는 특징을 보였고 추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암컷은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을 가졌다. 난소 내 포란수는 10,705~22,165 ($15,573{\pm}4,274$)개였고 성숙난의 수는 1,100~5,920 ($3,383{\pm}2,126$)개로 나타났으며 성숙난의 비율은 10.3~44.8 ($22.4{\pm}15.6$)%였다. 그리고 성숙난의 크기는 $0.74{\pm}0.06$ (0.60~1.00) mm였다.

한국 섬진강산 누치(Hemibarbus labeo)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in Seomjin River of Korea)

  • 박기연;이완옥;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2권3호
    • /
    • pp.221-230
    • /
    • 2019
  • 섬진강 수계에 서식하는 누치(Hemibarbus labeo)의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 유전자를 발굴하고 누치속 Hemibarbus 및 잉어과(Cyprinidae) 내 계통유전학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굴된 577 bp COI 시컨스의 다중배열 결과 섬진강산 누치들의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99~100%).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누치속 3종에서 누치(H. labeo: HD1)와 어름치(H. mylodon)의 염기서열 유사성은 88.91%, 참마자 (H. longirostis)와는 88.81%이었다. 또한, H. maculatus, H. meditus, H. umbrifer, H. barbus는 각각 누치와의 염기서열 유사성이 98.97%, 97.20%, 96.87%, 98.85% 등으로 나타났다. 누치속 7종의 계통유전학적 분석결과 섬진강산 누치(H. labeo)들은 두개의 단계통 (clade)을 형성하는데 하나는 하동, 임실, 강진, 순창의 섬진강 누치들로만 이루어진 단계통, 다른 하나는 하동의 HD2, HD8, HD9와 국내 부산, 아산, 서울 등에서 채집 보고된 누치들과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잉어과 내 섬진강산누치(HD1)의 계통진화적 위치는 피라미(Zacco platypus)와는 진화적 거리가 0.143, 누치속 H. maculatus와는 0.006으로 나타났다. 또한 잉어과 28종 내 계통유전학적 위치는 모래무지아과(Gobioninae) 어류들이 포함된 그룹 I에 섬진강산 누치가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누치를 포함하는 잉어과 내 어류의 계통유전학적 비교와 환경오염에 따른 담수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모델어류의 발굴연구에 주요한 유전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