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the Urohyal of the Subfamily Gobioninae of Korea

한국산(韓國産) 모래무지아과(亞科)(Gobioninae) 어류의 미설골(尾舌骨)에 대한 비교연구

  • Kim, Ik-Soo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ang, Eon-Jong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익수 (전북대학교 자연대 생물학과) ;
  • 강언종 (전북대학교 자연대 생물학과)
  • Published : 1989.12.30

Abstract

We reexamined the skulls of 14 gobionine genera of Korea to study taxonomic status of Gobioninae. The character transformation series found in the morphology of urohyal was very distinct among other skeletal characters. The gobioninae fishes of Korea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ir morphology of urohyal as follows ; 1. Coreoleuciscus, Gnathopogon group ; The horizontal plate of urohyal has a ellipse shape with posterior edge wedged and the length is longer than that of vertical plate. 2. Hemibarbus, Squalidus group ; The horizontal plate has a elongated rhombeus shape with posterior edge pointed and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vertical plate. 3. Sarcocheilichthys, Pseudopungtungia, Pseudorasbora, Pungtungia group ; the horizontal plate has a expanded rhombeus shape, the length is longer than that of vertical plate, the hypohyal attatchment is not bifurcated, and the profil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late curved ventrally. 4. Ladislavia, Gobiobotia, Abbottina, Hicrophysogobio, Pseudogobio, Saurogobio group ; The horizontal plate has a pin or wedge shape expanded anteriorly,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vertical plate, and the hypohyal attatchment is thickened laterally. This results agreed with those by the adductor mandibulae complex, the geniohyoideus of cephalic muscles, and the cephalic-lateral line canals.

외부형태를 근거로 구분되어 온 잉어과(科)(Cyprinidae)의 모래무지아과(亞科)(Gobioninae)어류는 아과(亞科)의 한계가 학자 간에 일치되지 않아 분류학적으로 문제된다. 본 연구는 이의 규명을 위해 한국산 모래무지아과(亞科) 어류(魚類) 14속(屬)에 대해 두골의 형질을 재검토하던 중 미설골(urohyal)의 형질이 뚜렷한 형질전이 상태를 보여 주목되었다. 한국산 모래무지아과(亞科) 어류는 미설골의 형질상태에 의해 다음과 같은 4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1. Coreo leuciscus, Gnathopogon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후연이 쐐기모양으로 패인 원추형이고, 그 길이는 수직판보다 길다. 2. Squalidus, Hemibarbus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뒤로 갈수록 넓어지며 후연은 뾰죽하게 뻗은 긴 마름모꼴로, 그 길이는 수직판과 거의 같다. 3. Sarcocheilichthys, Pseudorasbora, Pseudopungtungia, Pungtungia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중앙부분이 매우 넓은 마름모꼴로, 그 길이는 수직판 보다 길고, 인대가 부착되는 선단은 2분지 되지 않으며, 중앙부분이 복면을 향해 굽어 있다. 4. Ladislavia, Gobiobotia, Abbottina, Hicrophysogobio, Pseudogobio, Saurogobio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뒤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침상 혹은 넓은 쐐기모양으로, 그 길이는 수직판보다 짧고, 선단의 인대가 부착되는 부위는 배면으로 비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dductor mandibulae complex와 geniohyoideus 등의 근육형질이나 두부 측선감각관 등의 형질에 의한 결과와도 일치되는 것으로 주목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