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axonomic Study of Gudgeons of the Subfamily Gobioninae(Cyprinidae) in Korea

한국산 모래무지아과(Cyprinidae)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KIM Ik-Soo (Department of Biology, Chonbug National University)
  • 김익수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84.09.01

Abstract

The taxonomy of gudgeons of the subfamily Gobioninae in Korea is reviewed and keys to supraspecific taxa (subfamilies and genera) of the subfamily Gobioninae are provided, as well as the synonyms and distribution of the species or subspecies. Abbottina springeri, poorly known in Korea is redescribed with the extention of its know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Squalidus sp. occurring rivers of the Yongdokoship, the Hyongsan, and the Hoeya in the Gyongsangbugdo and in the Gyongsangnamdo differs from three previously described species from Korea in the numbers and structure of lateral line scales, color patterns on the body sides, and eye diameter etc. The genus name of Gonoprcktopterus mylodon should be transferred from Gonoproktopterus to Hemibarbus, because the species is more similar to Hemibarbus longirostris or Belligobio eristrigma than to Gonoproktopterus, an Indian genus of Barbinae. The korean gudgeons of the subfamily Gobioninae are grouped five possible phyletic series, as follow ; Hemibarbus, Pseudorasbora, Sarcocheilichthys, Gnathopogon, and Pseudogobio group. The genus Gobiobotia is not placed in the subfamily Gobioninae but in the subfamily Gobiobotinae in relation to 3 pairs of mental barbels and some osteological characters.

1972년부터 1983년까지 국내 여러 하천에서 채집된 모래무지아과 어류의 많은 표본을 중심으로 검토 동정하였는 바 모두 16속 28종 및 아종으로 이들의 Synonyms 와 분포를 기록하고 아과와 속의 검삭표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Abbottina springeri 가 우리나라 남부의 여러 지역에서 출현함을 밝히고, 이들의 형태적 특징을 재기재하였으며, 우리나라 동해 남부 연안에 유입되는 영덕오십천, 형산강 및 회야강에서는 측선린수와 모양, 체즉반문 및 안경등이 Squalidus 속의 기지종과 잘 구별되는 Squalidus sp.가 발견되어 기재하였다. 한편, 어름치의 속명 Gonoproktopterus는 Hemibarbus로 이전시켰다. 한국산 모래무지아과의 속은 여러가지 외부특징의 비교로 5개의 phyletic group 즉 Hemibarbus, Pseudorasbora, Pseudopuntungia, Gnathopogon 및 Pseudogobio group으로 구분하고 그들의 유연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편 Gobiobotia 속은 수염과 두골의 몇가지 형질의 특징으로 보아 돌상어어과 Gobioboitinae로 간주하였으나 Microphysogobio와 Saurogobio 속은 모래무지 아과로 취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