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al programming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1초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홍수기 저수지 최적 운영 (Optimal Reservoir Operation Using Goal Programming for Flood Season)

  • 김혜진;안재황;최창원;이재응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47-156
    • /
    • 2011
  • 홍수기 다목적댐 운영의 목적은 홍수조절용량을 최대한 이용하여 하류 주요 지점의 첨두홍수량을 저감시키거나, 계획홍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방류량과 방류시점을 조절함으로써 홍수피해규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홍수기 다목적댐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최적의 방류시점과 방류량의 결정이며 이를 통해 홍수기말 이수용량을 최대로 확보 하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 최적화기법의 하나인 goal programming을 이용하여 홍수기 저수지 최적운영을 실시하였다. goal programming은 선형계획법 또는 비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목적을 가진 문제의 최적 대안을 구하기 위해, 목표값으로부터의 편차의 합을 최소화하여 최적화하는 기법이다. 홍수기 다목적댐 운영에서 goal programming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제 홍수 사상을 이용하여, 단일저수지 운영과 저수지 연계운영을 실시하였다. 단일저수지 운영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유역으로는 충주댐 유역을 선정하였고 저수지 연계운영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유역으로는 안동댐과 임하댐 유역을 선정하였다. goal programming의 결과 분석을 위해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인 HEC-5 모형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검토 결과 goal programming을 이용할 경우 홍수기 말에 저수지 수위를 홍수기제한수위로 유지할 수 있었으며 주요 지점의 홍수량을 매 시간 적절히 계획홍수량 아래로 유지할 수 있었다.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최적 운영의 경우 전 구간의 유입량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 점에서 실제 저수지 운영과는 차이가 있으나, 적절한 제약조건을 적용하고 홍수예경보를 이용하여 예보된 유입량을 활용하면 최적의 방류량 시점과 방류량을 산정하여 홍수기 다목적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주요 지점의 홍수량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비선형 구조최적화에 관한 선형 goal programming의 응용 (Application of Linear Goal Programming to Large Scale Nonlinear Structural Optimization)

  • 장태사;엘세이드;김호룡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1호
    • /
    • pp.133-142
    • /
    • 1992
  • 본 논문은 수식화의 특이성 때문에 구조 최적화 문제에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선형 goal programming을 대규모 비선형 구조 최적화에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다기준 최적화의 도구로 사용되는데 그 까닭은 goal programming이 목적함수와 제한조건등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난점들을 제거해 주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비선형 goal 최적화 문제들의 해를 얻기 위해서 유한요소해석, 선형 goal programming기법, 그리고 계속적인 선형화 기법을 이용한다. 즉, 대규모 비선형 구조 최적화 문제를 비선형 goal programming형태로 전환시키는 일반적인 수식화 방법을 제시하고, 얻어진 비선형 goal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한 계속적인 선형화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설계도구로서 이 방법의 유효성을 논증하기 위하여 10, 25 및 200트러스의 사례를 가지고 응력제한조건들의 최소무게 구조 최적화 문제에 대한 해를 모색하며 이를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검토한다.

  • PDF

홍수기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저수지 최적운영 (Optimal Reservoir Operation Using Goal Programming for Flood Season)

  • 김혜진;안재황;최창원;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67-71
    • /
    • 2010
  • 홍수기 다목적댐 운영의 목적은 홍수조절용량을 최대한 이용하여 하류 주요 지점의 첨두홍수량을 저감시키거나, 계획홍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방류량과 방류시점을 조절함으로써 홍수 피해규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 다목적댐 운영에서 다목적 최적화의 한 형태인 goal programming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제 강우사상을 이용하여 단일저수지 운영과 저수지 연계운영을 실시하였다. 단일 저수지 운영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유역으로는 충주댐 유역을 선정하였고 저수지 연계운영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유역으로는 안동댐과 임하댐 유역을 선정하였다. goal programming의 결과 분석을 위해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인 HEC-5 모형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goal programming을 이용할 경우 HEC-5 운영결과보다 안정적인 운영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최적화 운영의 경우 전구간의 유입량을 알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 저수지 운영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적절한 제약조건을 적용하고 홍수예경보를 이용하여 예보된 유입량을 활용하면 최적의 방류시점과 방류량을 산정하여 홍수기 다목적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주요 지점의 홍수량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퍼지목표계획(目標計劃) 모형(模型)의 보조문제화(補助問題化) (On Auxiliary Linear Programming Problems for Fuzzy Goal Programming)

  • 박상규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106
    • /
    • 1992
  • In this paper fuzzy goal programming problems with fuzzy constraints and fuzzy coefficients in both matrix and right hand side of the constraints set are considered. Because of fuzzy coefficients in both members of each constraint ranking methods for fuzzy numbers are considered. An additive model to solve fuzzy goal programming problems is formulated. The diversity of each methods provides a lot of different models of auxiliary linear programming problems from which fuzzy solutions to the fuzzy goal programming problem can be obtained.

  • PDF

0 - 1 목표계획모형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기회제약계획법(CCP)과 계층화 분석과정(AHP)의 결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formulation of 0-1 Goal Programming)

  • 이영찬;민재형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공군사관학교, 청주; 26-27 Apr. 1996
    • /
    • pp.525-529
    • /
    • 1996
  • Decision environments involve a high degree of uncertainty as well as multiple, conflicting goals. Although traditional goal programming offers a means of considering multiple, conflicting goals and arrives at a satisficing solution in a deterministic manner, its major drawback is that decision makers often specify aspiration level of each goal as a single numb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setting aspiration levels, chance constrained programming can be incorporated into goal programming formulation so that sampling information can be utilized to describe uncertainty distribution. Another drawback of goal programming is that it does not provide a systematic approach to set priorities and trade-offs among conflicting goals. To overcome this weeknes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is used in the model. Also, most goal programming models in the literature are of a linear form, although some nonlinear models have been presented. Consideration of risk in technological coefficients and right hand sides, however, leads to nonlinear goal programming models, which require a linear approximation to be solved. In this paper, chance constrained reformulation with linear approximation is presented for a 0-1 goal programming problem whose technological coefficients and right hand sides are stochastic. The model is presented with a numerical example for the purpose of demonstration.

  • PDF

Fuzzy Goal Programming을 응용한 분산형전원의 설치 및 운영 (Placement and Operation of Dispersed Generation Systems using Fuzzy Goal Programming)

  • 송현선;김규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46-15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Fuzzy Goal Programming을 이용하여 배전계통에서 분산형 전원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산형전원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의 탐색공간의 크기를 줄이면서 계통상황 변동에 적합하게 정식화하였다. 특히, 목적함수인 계통 유효전력손실과 제약조건인 분산형전원의 수 또는 총용량 및 모선전압에 대하여 각각의 부정확한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퍼지 Goal Programing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해를 탐색하였다.

구조최적화에 관한 비선형 Goal Programming의 응용 (Application of nonlinear goal programming to structural optimization)

  • ;장태사;김호룡
    • 오토저널
    • /
    • 제14권1호
    • /
    • pp.64-73
    • /
    • 1992
  • 본 논문은 비선형 goal programming을 이용하여 구조 최적화 문제들의 해를 얻는 방법을 제시한 다. 이 방법은 다기준 최적화의 도구로 사용되는데 그 까닭은 goal programming이 목적함수와 제한조건 등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난점들을 제거해 주며, 또한 설계목적의 우선 순위를 다루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비선형 goal programming에 대한 구조 최적화의 모델이 제시된다. Hooke-Jeeves의 pattern 탐색, 수정된 Hooke-Jeeves의 Pattern 탐색, 그리고 Powell의 공액방향 탐색방향을 이용한 세 가지의 비선형 goal programming 들이 개발되고 토의된다. 설계 도구로서 이 방법의 유효성을 논증하기 위하여 사례의 해를 모색하며 이를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 검토한다.

  • PDF

FUZZY GOAL PROGRAMMING FOR MULTIOBJECTIVE TRANSPORTATION PROBLEMS

  • Zangiabadi, M.;Maleki, H.R.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4권1_2호
    • /
    • pp.449-460
    • /
    • 2007
  • Several fuzzy approaches can be considered for solving multi-objective transportation problem. This paper presents a fuzzy goal programming approach to determine an optimal compromise solution for the multiobjective transportation problem. We assume that each objective function has a fuzzy goal. Also we assign a special type of nonlinear (hyperbolic) membership function to each objective function to describe each fuzzy goal. The approach focuses on minimizing the negative deviation variables from 1 to obtain a compromise solution of the multiobjective transportation problem.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nd the fuzzy programming method are equivalent. In addition,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applied to solve other multiobjective mathematical programming problems. A numerical example is given to illustrat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pproach.

Goal Programming을 이용한 상호영향도 분석 (Cross Impact Analysis Using Goal Programming)

  • 김연민;이진주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3
    • /
    • 1981
  • This paper deals with cross impact analysis for technology assessment. The focus of the paper is to develop new technique of cross impact matrix using goal programming method. In this study, the idea of cross impact analysis based on scenario generation method especially SMIC-74 (2) is expanded. Critical literature review on SMIC-74 is presented to discuss the mathematical rationale of consistent probability in cross impact analysis. A new model of cross impact analysis using goal programming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scenario generation technique especially SMIC-74 is developed. This new technique is also applied to the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problem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give us following findings 1) Cross impact analysis using goal programming produce more meaningful solutions comparing to those of SMIC-74 2) Theoretical rationale of the objective function in the newly developed technique is more appropriate than that of SMIC-74.

  • PDF

Revised Iterative Goal Programming Using Sparsity Technique on Microcomputer

  • Gen, Mitsuo;Ida, Kenichi;Lee, Sang M.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30
    • /
    • 1985
  • Recently,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has been well established as a practical approach to seek a satisfactory solution to a decision making problem. Goal programming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CDM tools with satisfying operational assumptions that reflect the actual decision making process in real-world situ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implemented on a microcomputer for solving linear goal programming problems. It is an iterative revised goal simplex method using the sparsity technique. We design as interactive software package for microcomputers based on this method. From some computational experiences, we can state that the revised iterative goal simplex method using the sparsity technique is the most efficient one for microcomputer for solving goal programming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