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naphalium affine D. D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초

건조 및 추출 방법을 달리한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Drying and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of Gnaphalium affine D. DON)

  • 김혜진;박병건;한인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95-701
    • /
    • 2015
  • 본 연구는 떡쑥을 동결건조, 음지건조, 열풍건조 후 상온교반과 초음파를 각각 적용하며 물, 80% 메탄올, 80% 에탄올로 추출한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각 건조 방법 및 추출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 페놀 물질 함량에서는 동결건조 상온교반 80% 에탄올 추출물(13.87 mg QE/g)이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음지건조 상온교반 80% 메탄올 추출물(12.78 mg QE/g)이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있어서는 건조 방법 및 교반 조건에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에탄올과 80%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환원력은 음지건조 초음파 80% 메탄올 추출물($225.5g{\mu}g$ TERP/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건조 초음파 물 추출물($22.2{\mu}g$ TERP/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떡쑥의 환원력에서는 용매에 따라 80% 메탄올, 80% 에탄올, 증류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떡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페놀물질로부터 기인하며 떡쑥은 물보다 80% 에탄올과 80% 메탄올이 항산화 물질 추출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0% 에탄올 추출물의 모든 항산화 효과는 건조 및 교반 조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은 열풍건조와 음지건조 처리 시 동결건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떡쑥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naphalium affine Extract)

  • 노경백;이정아;박준호;정광선;정은선;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14
    • /
    • 2017
  •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GA)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전통적인 민간요법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현재 떡쑥 추출물(GA extract, GAE)의 항산화 활성과 항보체 활성 등은 알려져 있으나, 항염과 항알러지 효능 및 그 작용 기작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 프로스타글란딘 $E_2$, Toll-유사수용체 4, 에오탁신-1, 히스타민의 활성화에 대한 GAE의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AE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와 COX-2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화질소와 프로스타글란딘 $E_2$의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GAE는 LPS로부터 유도된 Toll-유사수용체 4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23187로부터 유도되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의 억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L-4로부터 유도된 에오탁신-1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AE는 항염증과 항알러지 효능을 가진다고 사료되며, 향후 항염증 및 항알러지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보였다.

떡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Gnaphalium Affine D. DON)

  • 임나리;김해수;하지훈;노근영;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70-4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떡쑥 추출물로부터 3가지 dicaffeoylquinic acid (DCQA)를 분리 정제하여 구조를 결정하고, 항산화 활성,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떡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크로마토그래피, $^1H$-NMR 및 MS 분석을 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은 총 3가지 DCQA 유도체 : 3,5-dicaffoylquinic acid (3,5-DCQA, 1), 4,5-dicaffeoylquinic acid (4,5-DCQA, 2), 1,5-dicaffoylquinic acid (1,5-DCQA, 3)로 나타났다. 분리된 compound 1-3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활성($FSC_{50}$)은 각각 3.70, 5.80 및 $5.50{\mu}M$로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FSC_{50}=21.90{\mu}M$)과 비교하여 더 큰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1O_2$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tyrosinase 저해활성($IC_{50}$)은 각각 0.15, 0.16, 및 0.13 mM로 미백성분으로 알려진 arbutin ($IC_{50}=0.33mM$)과 비교하여 높은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세 가지 DCQA가 식품 또는 화장품 산업에서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활성 성분 분석 (Antioxidative Effect and Active Component Analysis of Gnaphalium affine D. DON. Extracts)

  • 김해수;임나리;박준호;김명옥;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모든 실험은 떡쑥 추출물의 7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법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활성(FS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15{\mu}g/mL$)이 비교물질인(+)-${\alpha}$-tocopherol ($8.89{\mu}g/mL$)보다 높게 나타났다.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떡쑥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60{\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경우 $0.075{\mu}g/mL$, 아글리콘 분획의 경우 $2.28{\mu}g/mL$로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6.88{\mu}g/mL$)보다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람 적혈구의 $^1O_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실험에서 70% 에탄올 추출물과 아글리콘 분획의 ${\tau}50$$10{\mu}g/mL$에서 각각 52.0, 60.6 min으로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38.0 min)보다 더 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LC와 HPLC를 이용한 아글리콘 분획의 성분분석 결과 luteolin, apigenin 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떡쑥 추출물은 라디칼을 포함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서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I)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I))

  • 김미성;이유선;;김희연;최해진;임상현;허수정;권순배;박동식;한상섭;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20-23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의 자생식물 중 살포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55과 98종 시료로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에 대한 살초검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98종 중 놀은 살포활성($GR_{50}$ 값 < 1,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가중나무(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고비(Osmunda japonica THUNB.),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KITAMURA), 두릅(Aralia elata SEEM.),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미국산사나무(Crataegus scabrida SARG.), 사군자(Quisqualis indica L.), 센달나무(Machilus japonica S. et Z.), 소귀나무(Myrica rubra S. et Z.), 실육카(Yucca smalliana FERN.),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영춘화(Jasminum nudiflorum LINDL.), 유채(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음나무(Kalopanax pictus (THUNB.) NAKAI),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장딸기(Rubus hirsutus THUNB.), 젓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족도리풀(Asarum sieboldii MIQ.), 참으아리(Clematis terniflora DC.),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 등 20종으로 나타났다. 자생식물 98종 중 50종 식물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1,000 ${\mu}g\;g^{-1}$ < $GR_{50}$ 값 < 2,000 ${\mu}g\;g^{-1}$), 28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