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 citizenship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2초

정성적 연구를 통한 온라인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Online Prosocial Behavior)

  • 장윤정;조은영;김희웅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1호
    • /
    • pp.225-242
    • /
    • 2015
  • Cyberbullying, i.e., posting malicious comments online, has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issue in the online and social media context. It has become prevalent on a global scale, which happens across all ages. As a way to reduce and prevent cyberbullying, it is important to promote online prosocial behavior. In line with the concept of online prosocial behavior, we suggest posting benevolent comments against posting malicious comments as a new type of online prosocial behavior, which can combat cyberbullying and facilitate positive online culture. This study thus aims to analyze what motivates people to post benevolent comments in the online context. Based on interview methods, we extracted seven driving factors (self-presentation, pleasure, social contribution, emotional support, reputation, monetary reward, and reciprocity) and two inhibiting factors (social anxiety and effort) of posting benevolent comments online. This study has its theoretical contribution in exploring the motivation factors leading to the posting of benevolent comments by extending the concept of online prosocial behavior. It also has its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viding guidance for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in the online context.

청소년의 예 리더십(禮 Leadership)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anner Leadership on Happiness of Adolescents)

  • 김경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97-1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cept of manner leadership for adolescents based on the manner of the East and leadership of the West. Also, it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nner leadership on happiness of adolescents. For this, manner leadership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empirical study, in-depth interview,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dimensions of manner leadership consisted of time management, academic performance, goal attainment and citizenship behavior,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ship, social relationship, image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The data were obtained by administer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and AMO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adolescents' manner leadership tended to be more than average. In addition, they were good at image management but time management was absolutely lacking among the sub-dimension of manner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that the adolescents' happiness level was lower than the manner leadership. Second,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the manner 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of adolescents. Finally, happiness of adolescents was affected on these variables, such as grade, self-efficacy, emotional intimacy between mother and adolescent, time management, goal attainment, communication, and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anner leadership programs for enhancing happiness for adolescents would be developed.

데이터자본주의 시대 테크노컬처의 의미화 실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문화정치적 대안 (Signifying Practices of Technoculture in the age of Data Capitalism: Cultural and Political Alternative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 임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143-148
    • /
    • 2022
  • 본고는 21세기 데이터자본주의 시대의 강력한 물적 토대인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와 그 사회문화적 메타포를 비판적으로 사유하여 예술적 가능성으로 전유한 테크노컬처 사례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그것의 대안성과 문화정치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본격화된 데이터자본주의의 속성과 영향력, 그리고 그 반동으로 등장한 문화예술적 콘텍스트를 검토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첫 번째 사례인 퍼더필드의 <0달러 노트북컴퓨터> 워크숍은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서로 관계하는 배움과 교육을 통해 시민들이 사회변화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유용한 범례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사례인 그리스의 해커스페이스 HSGR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그리스의 재정위기, 국가의 창작지원 감소 등의 상황에서 공동의 진보적 '문화 공유지' 유형을 새롭게 제안하여 네트워크 테크놀로지를 위기 극복의 동력으로서 개발하였다. 세 번째 사례인 파올로 치리오의 <글로벌 다이렉트> 프로젝트는 사회적 거버넌스의 지배적 유형으로서의 국가와 커뮤니티 시스템을 향한 비평적 시민의식을 제고하였다. 이러한 테크노컬처 사례들은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의 의미화 가능성에 주목하여, 문화정치의 맥락에서 진보적 정치 이념과 그것의 예술적 실현의 전통을 서로 조합하고 재발견한 실천이라 평가할 수 있겠다.

ICT를 활용한 교육의 동향과 전망 (The Trends and Prospects of ICT based Education)

  • 우현정;조혜정;최율
    • 정보화정책
    • /
    • 제25권4호
    • /
    • pp.3-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ICT가 융합된 미래 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ICT 활용 교육의 동향과 전망을 제시하였다. 첫째, ICT 교육의 목표는 다양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역동적인 사회 참여를 가능케하는 디지털 시민성의 구성이다. 디지털 시민성의 확립을 위해서 ICT 교육은 '평생 학습자', '정보생산자이자 소비자', '지역적 세계적 시민' 등을 학습자의 미래 핵심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육내용 측면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SW 교육이다. 이에 실제 수업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나 효과성 검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환경 개선과 함께 교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교과교육과의 통합 운영 역량 강화 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내용으로서의 적절성이 반감될 것이다. 셋째, 교육 방법으로서 플립러닝이나 증강현실 등 다양한 ICT가 실제 수업에 적용되고 있다. 각 교과별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는 분야로서, 해당 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설계, 수업의 효과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은 기존 교육방법을 보완하고 ICT 교육 현장의 질적 변화를 이끄는 데 토대가 될 것이다. 넷째, 평가와 관련된 논의는 컴퓨터 기반 평가에 집중되어 있다. ICT를 활용한 평가는 학습자의 특성 및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방법의 교수-학습 과정을 전반적으로 안내하는 평가의 본질에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이상의 ICT 교육에 관한 종합적인 검토와 함께 교육 불평등의 관점에서 평가한 ICT 교육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비판교육학을 통한 교육 국제자원활동의 이해 (Understanding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through Critical Pedagogy)

  • 허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7-95
    • /
    • 2016
  • 교육 국제자원활동은 교육을 통해 지역 재원을 끌어낼 수 있는 자원활동 중의 하나이다. 이는 최근 들어 국제자원활동에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도 교육 국제자원활동 참여 인구와 지원은 급증하고 있는데, 참가자들은 그것이 가진 근본적인 의미인 지역 재원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보다는 자신의 스펙 쌓기 위한 과정, 자기 성장을 위한 봉사학습, 그리고 시혜적인 차원의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국제자원활동이 추구하는 방향이 부재한 데서 오는 오해라고 본 논의는 주장하고 있다. 이에 교육 국제자원활동 방향에 지평이 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의 필요성과 함께, 본 논의는 비판교육학을 제시하고 있다. 비판교육학은 허위의식을 해체함으로써 의식과 행동에서 자율성과 자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비판교육학은 교육 국제자원활동에서 의미하는 자원활동이 가진 지역 재원 활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활동을 끌어내는 데 필요하고 적합한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음을 본 논의는 강조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연구 -LG전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SR -Focused on LG Electronics-)

  • 김성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69-83
    • /
    • 2016
  • CSR은 최근 기업들에게 중요한 이수로 대두되고 있으며 CSR활동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적인 활동으로 많은 기업들은 법을 준수하는 기초적인 차원이 아니라, 윤리적 책임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기업인 LG전자의 사례를 통해 LG그룹의 CSR방향성과 LG전자의 활동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LG전자의 CSR관련 자료 검토와 CSR관련부서의 미팅을 통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LG전자는 LG그룹의 CSR에 대한 기본비전과 목표아래,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깅 위해 사회, 환경, 경제를 균형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고려한 CSR활동을 추진하였다. 특히 다양한 국제기준과 법규를 준수하면서 글로벌 시민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회사내부에서도 공식적인 업무의 범위로 인정받고 있으며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LG전자의 활동은 CSR을 도입하려는 기업 뿐 만 아니라, CSR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여타 다른 기업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Teachers' Perceptions and Applications of Key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Mathematics Classrooms)

  • 김해윤;허난;노지화;강옥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05-625
    • /
    • 2012
  • 국내외 교육개혁에 있어 역량이 도입되는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수학과 교수 학습 과정에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초 중 고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제안한 핵심역량 중 교수 학습 과정에 반영되고 있는 핵심역량은 문제해결능력, 기초학습능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개발능력은 수학내용과 직접적인 연결이 안 됨, 수업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교수 학습 과정에 덜 반영되고 있으며, 특히 국제사회문화이해, 시민의식, 대인관계능력, 진로개발능력은 수학교육에 반영이 어려운 역량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역량은 수학교육을 통해서도 길러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교사들의 인식전환, 교수 학습 방법과 학습 자료의 개발 및 홍보, 평가 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원격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초등교사의 기술수용도 분석 (Analysis on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 이혜원;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99-606
    • /
    • 2019
  • 원격 로봇보조학습은 신체적·지적·문화적·환경적으로 취약한 학생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농산어촌 고교학점제의 어학관련 과목의 온라인교육과정을 대체하거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국제교류학습에 활용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수용모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만 이루어졌으며 사후사용의도 요인은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원격 로봇보조학습에 대하여 사용의도와 사후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기초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원격 로봇보조학습에 대하여 초등교사들은 성별에 의해 각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력이 많은초등교사들이 FC, PAD, PS, SP에서 더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또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PU, ATT, PENJ, SI, Ttrust 모두 매우 유의미 있게 나왔다. 이와 같은 원격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용의도를 바탕으로 교육정보 정책 수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상사 신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ant R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volved around Effect of Tuned from Confidence of Superior)

  • 김재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15-226
    • /
    • 2015
  •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조직은 과거에 비해 변화 지향적인 대응방식이 필요하고 조직의 존속 및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전통적인 관리모델에 적응되지 못하므로 새로운 리더와 새로운 리더와 부하관계를 원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경기불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소비위축으로 기업들은 많은 어려움에 봉착을 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경영환경과 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면 결국 시장에서 도태되게 된다. 이로 인해 리더십의 중요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고찰을 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에 종사자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상사의 신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군관계와 국방리더십의 발전방향 (Civil-Military Relations and Military Leadership)

  • 손수태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4호
    • /
    • pp.119-156
    • /
    • 2006
  • Now it is not useful the theory about civil-military relationship that have been analysed for power games between military and civilians Korean society is going on governance society managed by cooperating network of government, civilian society and business market These social change require for new context about civil-Military relationship. Military leadership must contribute desirable civil-military relationship This study will suggest the direction about military leadership for desirable civil-military relationship. Now political issues about military intervention to the government are almost settled, but the worry about complications between military and civilians exist in the part of low issues like policy-making. Another important issues is military leadership about the style of social-being. In recent years, social change is very complex and speedy like global networking and diversity, leadership environment also, changed like leadership paradigm shift. Military leadership must be examined from the principle to the context of social integration At the present age, individual soldier is citizen in uniformed. Also military leadership must to seek the principle in the citizen mind like citizenship. Another charactristics of present day military is influence of high technogy. For the high-tech war military need the transition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whole society. In the context of above the development of military leadership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military control leadership must besought to the context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military. Government must provide the system to strengthen military professionals in the process of policy-making about national security Second, military leadership must embody the important social values through the advanced military making, Third, military leadership must provide the adaptability to the society through the military education of their soldiers Forth, military leadership must be contributed to the social integration and to the growing up individual soldiers like their socialization and their achievement. Five, an important subject of military leadership is the creation of desirable military culture through the harmony of social culture and military cul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