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bberellic Acid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6초

인삼 체세포 배 발아를 위한 $GA_3$의 최적 조건 (The Effects of Optimal Germination of Somatic Embryos Induced from Mature Cotyledon Explan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by Gibberellic Acid)

  • 김영창;박홍우;김옥태;방경환;현동윤;차선우;김동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8-242
    • /
    • 2009
  • Somatic embryos on growth regulator-free medium can be produced directly from cotyledon explan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When the embryo developmental stage was torpedo and cotyledon, the germination rate of embryos was quite high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gibberellic acid ($GA_3$). However, the percentage of plantlet formation at the cotyledon stage was higher than that at the torpedo stag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embryo at the cotyledon stage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increasing germination by $GA_3$. Embryos cultured on medium including four levels of $GA_3$ concentrations (3, 5, 10, or 20 mg/$\ell$) showed all quite high germination rates (87-91%). When the well-developed embryos were continuously cultured on media including high concentrations of $GA_3$ from 10 to 20 mg/$\ell$, the percentage of formation of normal plantlets was lower than that seen under low concentrations from 3 to 5 mg/$\ell$. This treatment of high concentrations resulted in shoots with abnormal shape. The optimal $GA_3$ treatment provides a basis for the efficient method obtaining healthy plantlets derived from ginseng somatic embryos.

지베렐린산 생산을 위한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의 최적 배양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gibberellic acid production by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 ;;한광현;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22-527
    • /
    • 2010
  • 지베렐린산은 곰팡이 및 세균으로부터 생산되는 주요 식물생장촉진물질이며 다양한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을 이용하여 GA3를 생산하기 위해 탄소원 및 질소원을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탄소원 및 질소원의 최적 농도와 최적 비율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Na-succinate가 methanol, glucose, maltose, sucrose, fructose, lactose에 비해 가장 우수하였으며, 질소원으로는 $NH_4Cl$$NO_3$, $NaNO_3$, glycine 등에 비해 우수하였다. 배양액에서 Nasuccinate와 $NH_4Cl$를 각각 5 및 0.4 g $L^{-1}$ 농도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 $CA_3$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ammonium mineral salt 배지의 pH를 7로 유지하고 $30^{\circ}C$의 조건으로 96시간 배양하였을 때 $CA_3$의 생산이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베렐린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Gibberellic acid)

  • 이영선;손형진;김익환;민태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7-222
    • /
    • 1983
  • 본 실험에서 G. fujkuroi I-892를 우수 균주로 선정한 후 자외선과 NTC를 처리하여, 지베렐린 생산성이 30%이상 증가된 변이주 G. fujkuroi G-471을 분리하였다. (178.6mg/$\ell$) 이 변이주에 적당한 최적 배지조성과 발효조건을 조사한 결과 saccharose 10%, ammoniun tartarate 50mM malt extract 1.0% KH$_2$PO$_4$, 0.5% MgSO$_4$0.5%, FeSO$_4$0.0002%,, 미량원소 0.002%(v/v)으로 나타났으며, 초기pH5.0. 통기량 1vvm 교반속도 400rpm의 발효조건에서 253mg/$\ell$가 생산되어 기존의 배양조건에서 보다 30%정도 생산성이 증가되었다. 발효액의 초기pH는 지베렐린 생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초기pH를 4.0으로 조절한 경우가 가장 좋은 생산성을 나타냈다.

  • PDF

Gibberellic acid가 수도의 Isozyme patter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Isozyme Pattern of Rice Plant)

  • 박원목;이용세;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9-45
    • /
    • 1984
  • 본 실험은 수도의 유전연구에 전기영동법을 도입함에 있어 기초조사를 하기 위하여 수도 조직내의 몇가지 산소가 부위별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생장 조절제인 GA를 처이함으로 같은 산소의 동위효소 pattern이 변하는지 '아끼바레'와 '유신' 두 품종을 사용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Isoelectrofocusing에 의한 종자, Shoot, Root의 Esterase, Phosphatase, Amylase 동위효소 pattern은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2. 7% polyacrg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Peroxidase 동위효소 pattern도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3. GA(10/sup -5/)을 처리했을 경우 Esterase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와 '유신'의 shoot, root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있었으며 Phosphat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에서 차이가 있었다. Amylase와 Peroxid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대조구와 GA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사과의 접합자배 encapsulation에 의한 인공종자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Seeds by Encapsulation Zygotic Embryo of Apple (Malus pumila var. domestica))

  • 최필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3
    • /
    • 2021
  • 2% 알진산으로 캡슐화하여 만든 사과 인공종자의 발아 연구를 위하여 자엽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영양분과 지베렐린을 단독 또는 조합처리한 알진산으로 캡슐화하여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3/4자엽 배(3/4 CE), 1/2자엽 배(1/2 CE), 1/4자엽 배(1/4 CE), 그리고 자엽을 완전히 제거한 배(NCE)로 만든 인공종자는 정상배로 만든 인공종자의 발아율 82.31%에 비하여 최대 24.44%까지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한 발아율은 MS영양분과 지베렐린 처리에 의해 상당히 회복되었다. 특히, 알진산 단독에서 1/2 자엽을 갖는 인공종자의 낮아진 발아율(55.81%)은 3% sucrose와 80 mg/L 지베렐린 조합처리에 의해 98.74%까지 증가하였다. 자엽이 없는 인공종자의 경우 낮아진 발아율(24.44%)은 MS용액과 80 mg/L 지베렐린 조합처리에서 82.45%까지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의 발아율이 자엽의 부분적 제거에 의해 억제되었고, 그 감소된 발아율은 영양분과 지베렐린 처리에 의해 상당히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지베렐린과 2,4-D 처리를 이용한 토마토 착과율 및 수확량 증가 (Fruit Set and Yield Enhancement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Using Gibberellic Acid and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Spray)

  • 루이텔 비노드;이택종;강원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2015
  • 토마토의 착과와 수확량은 여름철 비닐하우스내 고온스트레스로 인하여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여름철 화천지역에 위치한 비닐하우스에서 지베렐린($GA_3$)과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2,4-D) 처리가 토마토의 수확량, 착과율, 착과 후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oration' 품종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GA_3$ 0-, 5-, 10-, $15mg{\cdot}L^{-1}$와 2,4-D 0-, 5-, $10mg{\cdot}L^{-1}$를 개화 초기에 처리한 후 착과율, 수확량, 과실품질과 관련된 형질을 관찰한 결과, $GA_3$ $10mg{\cdot}L^{-1}$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14.2%의 착과율 증가를 보였다. $GA_3$처리구에서는 수확량, 과중, 상품과실 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4-D를 개화기에 처리했을 경우 착과율, 수확량, 상품과의 과중에 영향을 미쳤으며 $GA_3$과 2,4-D를 각각 $5mg{\cdot}L^{-1}$ 농도로 혼합처리 하였을 때 가장 높은(62.5%) 착과율을 나타내었다. 과실크기와 고형물함량은 $GA_3$처리구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름철 비닐하우스의 고온조건에서 $GA_3$ $0mg{\cdot}L^{-1}$처리구와 2,4-D $5mg{\cdot}L^{-1}$를 처리했을 때 착과율이 가장 높아 많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nservation of Thymus pallidus Cosson ex Batt. by shoot tip and axillary bud in vitro culture

  • Ansari, Zineb Nejjar El;Boussaoudi, Ibtissam;Benkaddour, Rajae;Hamdoun, Ouafaa;Lemrini, Mounya;Martin, Patrick;Badoc, Alain;Lamarti, Ahmed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53-65
    • /
    • 2020
  • Here, we describe an efficient and rapid protocol for the micropropagation of Thymus pallidus Cosson ex Batt., a very rar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in Morocco. After seed germination, we tested the effect of different macronutrients, cytokinin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gibberellic acid (GA3) or auxins, on T. pallidus plantlet growth. We found that Margara macronutrients (N30K) had the best effect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the plantlets. The addition of 0.93 μM/L 1,3-diphenylurea (DPU), 0.46 μM/L adenine (Ad), and 0.46 and 0.93 μM/L kinetin (Kin) resulted in the best shoot multiplication and elongation.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0.46 μM/L Kin, DPU, or Ad with gibberellic acid, in particular, 0.46 μM/L Ad + 0.58 μM/L GA3 and 0.46 μM/L Kin + 1.15 μM/L GA3, led to better bud and shoot multiplication. Moreover, the integration of the combinations of 0.46 μM/L Kin and auxins, namely 0.46 μM/L Kin + 2.85 μM/L indole-3-acetic acid (IAA), 0.46 μM/L Kin + 2.85 or 5.71 μM/L indole-3-butyric acid (IBA), and 0.46 μM/L Kin + 0.3 or 0.57 μM/L 1-naphthaleneacetic acid (NAA), in the culture medium led to better root development and optimized aerial growth. Finally, the in vitro plants from the medium containing N30K + 0.46 μM/L Kin + 2.85 μM/L IAA were successfully acclimatized; these plants served as a source for repeating in vitro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