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Production of Gibberellic acid

지베렐린 생산에 관한 연구

  • 이영선 (한국과학기술원 미생물연구실) ;
  • 손형진 (한국과학기술원 미생물연구실) ;
  • 김익환 (한국과학기술원 미생물연구실) ;
  • 민태익 (한국과학기술원 미생물연구실)
  • Published : 1983.09.01

Abstract

By the treatment of Gibberella fujkuroi I-892 with mutagen such as UV light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a mutant G. fujkuroi G-471 was selected as the highest producer of gibberellic acid among 800 mutant strains. It showed 30% increase of production yield compared with that of the parent strain. At optimum medium composition (saccharose 1.0%, ammonium tartarate 50mM, malt extract 1.0% KH$_2$PO$_4$ 0.5%, MgSO$_4$0.5%, FeSO$_4$0.0002%, trace element sol.0.002% (v/v), the yield of submerged culture increased by 30% after 7 days culture at 24$^{\circ}C$ (253mg/$\ell$). In submerged culture, the initial pH showed much effects on the increase of gibberellic acid production. The highest yield of the production was attained with pH adjustment to 4.0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ion.

본 실험에서 G. fujkuroi I-892를 우수 균주로 선정한 후 자외선과 NTC를 처리하여, 지베렐린 생산성이 30%이상 증가된 변이주 G. fujkuroi G-471을 분리하였다. (178.6mg/$\ell$) 이 변이주에 적당한 최적 배지조성과 발효조건을 조사한 결과 saccharose 10%, ammoniun tartarate 50mM malt extract 1.0% KH$_2$PO$_4$, 0.5% MgSO$_4$0.5%, FeSO$_4$0.0002%,, 미량원소 0.002%(v/v)으로 나타났으며, 초기pH5.0. 통기량 1vvm 교반속도 400rpm의 발효조건에서 253mg/$\ell$가 생산되어 기존의 배양조건에서 보다 30%정도 생산성이 증가되었다. 발효액의 초기pH는 지베렐린 생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초기pH를 4.0으로 조절한 경우가 가장 좋은 생산성을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