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otechnical investigations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배면침하 영향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의 I형 연결시스템 강도 평가 (Strength Evaluation of I-Type Connecting System on a Segmental Retaining Reinforced Wall Consideration the Backfill Settlement)

  • 문희정;한중근;이종영;조삼덕;이광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27-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강토 옹벽의 주요부재인 블록과 지오그리드간의 문제점인 파손을 최소화하고 배면지반의 수직변위를 허용한 I형 연결판을 사용해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접속방법의 변화로 지오그리드를 약 700mm경감시킬 수 있었으며, 실내역학 실험을 통해 연결부의 연결강도는 실험에 사용한 지오그리드의 최대광폭인장강도의 53%로 나타났다. 이는 실내실험의 한정된 모사로 인한 결과로 현장조건에서 지지부재의 역할을 고려할 때 우수한 연결강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입수로 인한 보강토옹벽의 피해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amage of Reinforced Soil Walls due to Inflow Water)

  • 이광우;조인휘;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23-134
    • /
    • 2022
  • 1990년대 중반 이래로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보강토옹벽이 콘크리트 옹벽을 급속도로 대체하였다. 보강토옹벽의 적용이 증가하면서 피해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보강토옹벽의 파손은 주로 부적절한 설계와 시공관리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보강토옹벽 상부 및 배면으로의 유입수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2개소 현장을 대상으로 피해 발생 원인을 검토하고 복구대책을 제안하였다. 일련의 현장 지반조사를 통해 손상된 보강토옹벽의 피해발생 원인과 손상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손상 범위 및 정도를 고려하여 쏘일네일링으로 보강토체를 보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무인 착저식 지반조사 장비의 안정성 검토 및 수중 SPT효율 분석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underwater SPT module and stability for seabed type geotechnical investigation equipment)

  • 김우태;장인성;고진환;신창주;권오순;이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78-1785
    • /
    • 2014
  • 최근 초장대 교량, 인공섬 또는 해상풍력 기초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해양구조물을 안전하게 건설하기 위해서는 신뢰성이 높은 지반조사가 필수적이다. 현재 해상의 지반조사 작업은 해상용 작업선에 육상용 지반조사장비를 설치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럴 경우, 30m이상의 대수심 조건이나 고파랑, 높은 조류 등 열악한 해양 환경에 제약을 많이 받는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대수심 조건에서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지반조사를 위하여 착저형 무인 해저지반조사 장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해저지반조사 장비는 수심 100m 조건에서 심도 50m까지 지반조사가 가능하며,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지반보링 시스템, 암반 코어링 시스템이 가능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수중에서 4노트(2m/s)의 조류에 대한 해저지반조사 장비의 거동을 수치해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해저지반조사 장비에 장착되어 있는 표준관입시험 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실험으로부터 측정한 결과 78%를 확인하였다.

동해, 울릉 분지 심해토의 지반공학특성 (Geotechnical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Ulleung Basin Sediment, East Sea)

  • 이창호;윤태섭;산타마리나;박장준;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7-29
    • /
    • 2009
  • 에너지 수요의 증가 및 에너지 탐사와 연관되어 해저 지반의 조사가 증가하고 있다. 해수면 2100m 해저 110m 아래에서 얻어진 압력 코어 시료의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시험 후 얻어진 사료를 이용하여 울릉 분지 심해토의 지반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본 토성, 광물학적 특성, 화학 조성, 그리고 미세구조 관찰을 위하여 토성 실험, XRD, 그리고 SEM을 실시하였다. 또한, 멀티 센서 압밀셀을 이용하여 두 시료의 압축성, 전단파 및 전자기파 파악하였다. 강도특성은 직접전단실험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주요 광물로는 카오리나이트, 일라이트, 크로라이트(chlorite), 그리고 캘싸이트(calcite)가 관찰되었다. SEM 결과 잘 발달된 내 외부 간극 구조가 관찰되었다. 수직유효응력의 증가에 따라 전단파 속도, 전기비저항, 실수 유전율, 그리고 전기전도도는 이중선형 거동을 보였다. 직접전단실험으로 얻은 마찰각은 약 $21^{\circ}$로 선행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와 같은 에너지 자원의 개발 및 새로운 지반공학적 영역의 확보를 위하여 심해 퇴적토의 거동 이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연약암반에서 암반의 특성을 고려한 광산갱도의 최적 설계 (Optimized Design of Mine Sp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ockmass in Soft Ground)

  • 장명환;하태욱;정희선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2호
    • /
    • pp.125-141
    • /
    • 2018
  • 장기적 광산 개발계획을 위하여 광산의 갱도설계는 장비계획, 운반계획, 운영계획 등의 기본이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bigcirc}{\bigcirc}$광산은 생산성 향상에 중점을 둔 갱도설계가 이루어짐으로써 채광계획 변경이 매우 어렵고, 굴착갱도를 유지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암반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최적갱도를 설계하고 지보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암반의 역학적 변수(팽윤압력, 변형계수, 지압계수)들에 대한 추정, 다양한 현장조사와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oof bolt 등을 활용하여 갱도유지를 하려면 갱도단면 축소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으며, 현 갱도규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보재와 지보방법에 대한 다양한 기능적 기술들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동강 유역 신항만부지 지역 점토 퇴적물의 광물조성과 토질특성의 상관성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gineering properties and mineralogy of clay sediments in New Busan Port area of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이선갑;황진연;정성교;김성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83-490
    • /
    • 2004
  • Nakdong River Plain and its adjoining sea arc unusually covered by very thick soft clay sediments which were caned Pusan clays, sometimes reaching 40-70m. Since early 1990s a large number of geotechnical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for land reclamation works in the area, including Busan city and its neighboring cities. Nevertheless, geotechnical engineers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study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clays, except some researches related to mineralogy, geo-chemistry, benthic foraminiferal fauna etc. The purpose of reserach is the knowledge of the correlation between engineering properties and mineralogy of clay sediments. The correlation analysis carry out multiple regression that have independent variables (Engineering properties) and dependent variables (mineralogy, geochemistry). Engineering properties of clay are correlated with the mineral composition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Wn = -0,6Feldspar + 1.1pH + 0.01TDS + 27.5, Ip = 0.36Clay + 1.44Vermiculite + 0.94clay mineral - 22.118, PI. = 0.005TDS - 0.31Feldspar + 22.43, eo = 0.02Vermiculite - 0.01Quartz + TDS + 0.93, ${\nu}$t = 0.009Quartz - 0.06Conductivity + 1.67, E50 = 1.94Vermicuhte - 0.96Kaohnite -0.53silt + 49.64, SR = -0.25Kaolinite + 1.5pH -2.3Conductivity, Cc = 0.03pH + TDS -0.2, LL = 0.5Clay + 1.3Vermiculite + 5.5Conductivity + 0.8Caly mineral -20.48

  • PD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empirical geo-engineering relations of the South Pars Zone marls, Iran

  • Azarafza, Mohammad;Ghazifard, Akbar;Akgun, Haluk;Asghari-Kaljahi, Ebrahi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9권5호
    • /
    • pp.393-405
    • /
    • 2019
  • This paper evaluates the geotechnical and geo-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South Pars Zone (SPZ) marls in Assalouyeh, Iran. These marly beds mostly belong to the Aghajari and Mishan formations which entail the gray, cream, black, green, dark red and pink types. Marls can be observed as rock (soft rock) or soil. Marlstone outcrops show a relatively rapid change to soils in the presence of weathering. To geotechnically characterise the marls,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such as particle-size distribution, hydrometer, Atterberg limits, uniaxial compression, laboratory direct-shear, durability and carbonate content tests have been performed on soil and rock samples to investigate the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and behaviour of the SPZ marls in order to establish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he geo-engineering features of the marls. Based on the experiments conducted on marly soils, the USCS classes of the marls is CL to CH which has a LL ranging from 32 to 57% and PL ranging from 18 to 27%. Mineralogical analyses of the samples revealed that the major clay minerals of the marls belong to the smectite or illite groups with low to moderate swelling activities. The geomechanical investigations revealed that the SPZ marls are classified as argillaceous lime, calcareous marl and marlstone (based on the carbonate content) which show variations in the geomechanical properties (i.e., with a cohesion ranging from 97 to 320 kPa and a friction angle ranging from 16 to 35 degrees). The results of the durability tests revealed that the degradation potential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none to fully disintegr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studied marls have been classified as calcareous marl, marlstone and argillaceous lime due to the variations in the carbonate and clay content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an increase in the carbonate content leads to a decrease in the degradation potential and an increase in the density and strength parameters such as dur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A comparison of the empirical relationships obtained from the regression analyses with similar studies revealed that the results obtained herein are reasonably reliable.

Resolving a velocity inversion at the geotechnical scale using the microtremor (passive seismic) survey method

  • Roberts James C.;Asten Michael W.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1호
    • /
    • pp.14-18
    • /
    • 2004
  • High levels of ambient noise and safety factors often limit the use of 'active-source' seismic methods for geotechnical investigations in urban environments. As an alternative, shear-wave velocity-depth profiles can be obtained by treating the background microtremor wave field as a stochastic process, rather than adopting the traditional approach of calculating velocity based on ray path geometry from a known source. A recent field test in Melbourne demonstrates the ability of the microtremor method, using only Rayleigh waves, to resolve a velocity inversion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a hard, 12 m thick basalt flow overlying 25 m of softer alluvial sediments and weathered mudstone. Normally the presence of the weaker underlying sediments would lead to an ambiguous or incorrect interpretation with conventional seismic refraction methods. However, this layer of sediments is resolved by the microtremor method, and its inclusion is required in one-dimensional layered-earth modelling in order to reproduce the Rayleigh-wave coherency spectra computed from observed seismic noise records. Nearby borehole data provided both a guide for interpretation and a confirma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passive Rayleigh-wave microtremor method. Sensitivity analyses of resolvable modelling parameters demonstrate that estimates of shear velocities and layer thicknesses are accurate to within approximately $10\%\;to\;20\%$ us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SPAC) technique. Improved accuracy can be obtained by constraining shear velocities and/or layer thicknesses using independent site knowledge. Although there exists potential for ambiguity due to velocity-thickness equivalence, the microtremor method has significant potential as a site investigation tool in situations where the use of traditional seismic methods is limited.

달 얼음-월면토 결합 형태에 따른 얼음 추출로 발생하는 침하량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Ice-regolith Mixture Settlement Caused by Lunar Ice Extraction)

  • 이장근;공정;진현우;유병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13-19
    • /
    • 2023
  • 달 얼음은 향후 인류의 심우주 탐사와 장기 체류를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달 얼음에 대한 기원 및 존재 유형은 여전히 가설로 남아 있다. 최근 세계 우주국에서는 달 얼음에 대한 원격탐사에서 지상탐사를 통해 정량적 매장량과 존재 유형을 밝히고자 경쟁적으로 미션을 계획하여 추진 중에 있다. 달 얼음의 매장량이 충분하다면 향후 얼음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현지자원활용 개념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얼음 추출에 따른 지반 공학적 관점에서 유의해야 하는 침하에 대한 검토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월면토-얼음 존재 유형별로 얼음 추출로 인해 발생 가능한 침하량에 대한 실험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초기 함수비 약 10%의 인공월면토-얼음 혼합토에서 상당한 침하가 발생하였다.

동상민감성 판정 실내실험법 및 기준에 대한 고찰 (Review of Frost-susceptibility Testing Methods and Criteria)

  • 이장근;진현우;유병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7호
    • /
    • pp.39-48
    • /
    • 2023
  • 동상으로 인한 구조물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세계 100여개의 국가에서는 토양의 동상민감성을 판정하는 실내실험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알래스카와 홋카이도와 같은 동토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동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연구 결과와 현장 적용을 통해 동상민감성 판정 표준 실험법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 방법이 복잡하고 공학적인 해설이 부족하며, 결과 분석에 대한 논리가 모호한 부분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미국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과 일본 JGS(Japanese Geotechnical Society)의 동상 실험법을 동상 실험에 미치는 온도조건, 시료크기, 동결방향, 배수조건 등을 고려하여 면밀히 비교 분석하고,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국제적인 연구동향에 부합하는 국내 동상민감성 판정 실험법과 기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