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y Book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한.일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국제이해교육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on World Geography: Focused on the Contents of Global Education)

  • 양원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5-92
    • /
    • 1996
  • 본 연구는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고, 또 현재 한 일 고등학교에서 쓰이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의 국제이해 관련 내용을 2개의 중심주제, 6개의 소주제, 20개의 중심개념의 교과서 분석틀로 나누어 비중도 분석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가 국제 이해교육을 위해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용이 적절한지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서 앞으로 한 일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체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한국의 6차 교육과정에 의한 세계지리 교과서와 일본의 6차 개정에 의한 세계지리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심주제인 상호의존의 영역에서는 양국이 거의 비슷한 비중을 보였으며, 상존(常存)문제의 영역인 인권, 인구, 자원문제에 있어서는 상당한 비중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점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즉 한국의 경우 단원별로 계통지리적 방법과 지지적(地誌的) 방법을 별도로 채택만 반면 일본의 경우는 계통지리적 방법과 지지적(地誌的) 방법과의 상호보완 관계로 채택함으로서 취급된 지역에 대해서는 다면적으로 고찰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세계지리 교과서는 다양한 지역을 이해시키기 위한 구성 및 내용체계를 보이는 반면 일본 세계지리 교과서는 소수의 지역이지만 계통적 주제별로 자세하게 그 지역을 이해시키기 위한 구성 및 내용체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향후 양국의 지리 교과서는 본 연구자가 제시한 바 있는 국제이해교육의 기본적 틀에 맞추어 구성해 가는 것과 내용면에 있어서도 한국의 경우는 단편 지식위주의 서술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며, 일본의 경우는 6차 개정에서 많은 진전을 엿볼 수 있지만 자국위주 및 자국우월주의적 서술로부터의 탈피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19세기 안의삼동(安義三洞) 동천(洞天)의 경관구조 해석 (An Analysis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Anuisamdong-Dongcheon in the 19th Century)

  • 김동현;이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2-753
    • /
    • 2016
  • 안의삼동은 19세기 영남 지방 최고의 명승으로 각광받던 곳이었으나 오늘날에는 각 경관요소가 산재되어 전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안의삼동의 경관구조 재현 및 명승적 가치 제고를 위해 관찬지리지에 수록된 주요지점을 추출하고 경관구조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관찬지리지에 나타나는 안의삼동의 명승적 가치를 지닌 주요지점을 추출한 결과 화림동은 6개소, 심진동은 9개소, 원학동은 25개소로 확인되었다. 화림동은 누정과 형승이 각각 3개소로 나타났으며, 심진동의 주요지점은 모두 형승에 해당하는 자연물에 해당하였다. 원학동은 안의삼동 동천 중 가장 많은 요소들이 수록되었다. 화림동은 정자 중심의 경구집합형, 심진동은 계곡을 따라 분포하는 경점연속형, 원학동은 경구집합형과 경점연속형이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형의 개별 분포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각 동천의 집합적 의미구조를 살펴본 결과 지형에 따라 시각적 거리적 격리를 통해 주변과의 영역성을 달리하고 있으며, 좁은 입구와 위요된 지형은 동천이 무릉도원의 공간으로 인식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19세기 유람문화의 성행과 함께 효율적인 경로 모색에 의한 각 주요지점의 연계는 이전시기 개별 동천으로 인식되던 경관구조가 통합된 하나의 동천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동일한 시점과 종점, 유람경로를 지니는 일반적인 동천의 경관전개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귀농.귀촌지 선정에 있어서 이중환의 <택리지> 재조명 - 현대 귀농.귀촌 지침서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nterpretation of Jung-Hwan Lee's in the Decision Making of a Returnfarm Place -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Contemporary Guide Books -)

  • 허성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1-128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returnfarmer is increasing in Korea, interlinked with baby boomer's retirement. One of the returnfarmer's serious problems is the decision making for his returnfarm place. This study intends to get information about a ideal returnfarm place by interpreting Jung-Hwan Lee's written in the Choseon Dynasty, and to use it for returnfarmer's decision making as a lesson in the present age. In the results, this study could finds 8 evaluation criteria in his book except his 4 requirements for a ideal place to live : Ji-ri(地理, geographic), Saeng-ri(生理, physiology), In-sim(人心, popular mind), and San-su(山水, landscape), which are (1) distance from seoul, (2)multi-habitation, (3)convenient transportation, (4)a natural disaster, (5)thief(public order), (6)refuge from a war & escaping from a troubled society, (7)feeling from a place, and (8)Jang-gi(poison coming from earth).

한국에서 기온상승이 사과 재배지역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Temperature Rising on Changing of Cultivation Area of Apple in Korea)

  • 김선영;허인혜;이승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1-21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과 재배지역을 대상으로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시기별 변화를 파악하고,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최근의 기온상승이 사과 재배면적 및 생산량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사과 재배면적 및 생산량 자료와 사례지역의 기후자료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사과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대구 경산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북도 남부지역에 집중되었으나, 최근 의성 문경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북도 북부와 산간 고랭지로 집중 재배지역이 이동하였다. 사례지역인 의성과 장수는 생육기간의 평균기온은 생육 적온 범위에 포함되어 있으나, 대구는 생육 적온 범위보다 고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계속되는 기온상승이 대구 사과 재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구와 장수의 일교차는 감소하는 경향이며, 의성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 PDF

한국지형학회지를 중심으로 본 지형학과 토양지리학의 발달 (Development in Geomorphology and Soil Geography: Focusing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 박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74-489
    • /
    • 2012
  • 오경섭(1997)과 손일(2000)에 의한 지형학과 한국의 자연지리학 연구 성과에 대한 정리가 있은 후, 처음으로 한국지형학회지를 통해 2011년과 2012년에 걸쳐 지형학 각 분야 성과에 대한 정리가 있었다. 이 논문은 이들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지형학과 토양학 분야에서 이루어 놓은 성과를 정확히 소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00년 이후 특히 주목할 만한 성과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산지체계와 서양의 근대적 산맥론과 관련된 수년간에 걸친 논쟁을 통해 뚜렷한 성과는 없었지만 학계에만 머물던 지형학이 대중매체에게 알려졌다는 것이며, 둘째는 사회적 수요를 반영하여 해안 지역의 구조물과 해안도로 등의 개발과 이에 따른 해안지형의 변화가 주요한 주제가 되고 있으며, 해안사구를 비롯한 해안퇴적 지형의 연구 성과가 크다는 점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는 산사태와 같은 방재지형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고, 제주도의 지질공원 지정에 따른 지오투어리즘 분야의 연구 성과가 주목할 만하다. 최근 한국의 연구 성과가 해외저널에 소개되기 시작한 점은 고무적이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동아시아에서 황칠수(黃漆樹)의 활용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Hwangchil Tree (黃漆樹 Dendropanax morbiferus H.Lév.) in East Asia)

  • 안영수;류정아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57
    • /
    • 2020
  • Essence of the Hwangchil tree (黃漆樹 Dendropanax morbiferus H.Lév.)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like waxing emperor's armors, covering an astrology board, or, during the Silla Dynasty, burying it to block something bad in the soil symbolically. Essence of the Hwangchil tree was known to have remarkable preservation effects such as waterproofing, damp-proofing, rust-proofing, and moth-proofing as well as not being easily peeled off from even soft surfaces like paper. There is a record in Prescriptions for Epidemic diseases of Cows, Horses, Sheep, and Pigs (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 published in 1541, of Hwangchil that is local to Jeju Island being used instead of benzoin (安息香), of burning Hwangchil, and of making cows inhale its smoke to prevent plague among them. Along the same lines, there are records in the Local Chronicle of Tamra (耽羅志) and the Book of Earth Geography (輿地圖書) that identify Hwangchil with benzoin. In Seonghosaseol (星湖僿說), a book written by Lee Yik in around 1760, it is acknowledged that Hwangchil could be medicinal herb. In 2000, Ahn Duk-Kyun registered the roots and branches of Hwangchil tree as 'Boncho' (本草 herbal medicine) in the Pictorial Book of Korean Medicinals (韓國本草圖鑑) and presented the method of taking it for medical purpose.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Hwangchil essence as well as diverse parts of the plant such as its roots, branches, leaves, flowers, fruits, and gum have various meaningful medicinal properties. Regarding the history and recent researches of using Hwangchil tree, it has various medicinal probabilities such as, 'dispersing miasma' (辟邪), 'opening holes' (開竅), 'waking the heart' (醒心), 'smoothing spirits' (安神), 'piercing the block' (疎泄), 'removing the old and welcoming the new' (去故生新). This paper contributes ideas about how to expand the uses of Hwangchil Tree.

일본의 운기학(運氣學)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Five Circuits and Six Qi Learning of Japan)

  • 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47
    • /
    • 2018
  • Objectives: The three nations of far Northeastern Asia, namely China, Korea, and Japan, have developed a tradition of Asian medicine within a common cultural realm. Studying Japan's Yunqi not only helps our understanding of Japanese traditional medicine, but the course of development taken by the three nations' traditional Asian medicine as a whole. Methods: All books relating to Yunqi published in Japan were studied, with special focus on books that are especially more important. Results: It is assumed that Japan's first book on Yunqi is 吉田宗桂's Ungiileonjib. The Japanese mainstream study on Yunqi is the annotations and studies on Suwenrushiyungilunao, written by Liuwenshu. YunQiLunAoKouYiis the first annotation on Suwenrushiyungilunao and had the greatest impact. Yunqilunjujie is an annotation book written by a Confucian scholar, and Yunqilunaoshuchao an annotation book composed by a Confucian doctor who was a thorough expert on sinology and the annotations ranged greatly from medical books, Confucian books, historical books and hundred schools of books. Aotouyunqilun is the most slight in terms of annotations compared to other annotation books, and Yunqilunaoyanjie is special in that it writes with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apanese language in order to help easier understanding by the novice scholars. Conclusions: Suwenrushiyunqilunao includes astronomy, geography, delivery sound, calendar, the eight trigrams, the Twelve laws, Shier chen, Constellation of twenty eight, Thirty-six birds, and secret days, which is leading to further study in these fields. Suwenrushiyunqilunao also contains excerpts from Suwen Liujiecangxianglun to describe the algorithm of the operation of Sun and Moon, which is also leading a further study in the field.

『광제비급』의 「향약단방치험」에 나타난 향약활용법에 대한 연구 - 인삼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utilization of Hyangyak in 「Single-medicine prescription treatment of domestic herbs」 of 『Kwangjebikeup』 : Focusing on Ginseng)

  • 강윤미;김윤경;안상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0
    • /
    • 2014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yangyak in "Single-medicine prescription treatment of domestic herbs" of "Kwangjebikeup" and then conducted further studies focusing on ginseng as it is written in "Single-medicine prescription treatment of domestic herbs". Methods : Through a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on Hyangyak and ginseng, information regarding the two was gather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both time and region. Results : All of the herbs in "Single-medicine prescription treatment of domestic herbs", the 4th volume of "Kwangjebikeup", are domestic herbs. Ginseng was a part of the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long ago and ginseng was cultivated from most of the peninsula. We confirmed cultivation of ginseng in Sungcheon, Pyungan-do and most areas of Hamgyeong-do through geography books such as "Geography Monograph of King Sejong". Because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onducive to growing wild ginseng,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ginseng. In the late Chosun period, cultivated ginseng was so prevalent that people would have been able to collect and use ginseng without great difficulty. In "Kwangjebikeup", ginseng shows superior efficacy in terms of first-aid. "Kwangjebikeup" contains practical herbal medicines that were based on obtainable ingredients. Conclusions : The purpose of publication of this book was to make medical knowledge available to general public in an easy-to-understand form. And through added clinical experiences of the author, we know that "Kwangjebikeup" played a role in settlement and spreading of foreign knowledge to civilians.

"백두산행기"에 나타난 윤화수의 장소인식과 지리지식의 유형 (Yun Hwasu's Understanding of Place and the Types of Geographical Knowledge Shown in the Book of Baekdusanhaenggi)

  • 강순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14
    • /
    • 2009
  • 본고는 1927년에 발행된 "백두산행기"에 담겨있는 저자 윤화수의 장소인식과 지리지식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일기를 이용해 산행의 전 과정을 일자별로 상세히 기록한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백두산 여정 중에 관찰되는 자연과 인문의 객관적인 현상과 사실뿐 아니라 그것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 또는 평가, 느낌까지도 담고 있다. 윤화수는 애국계몽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민족의 근대화와 독립을 위해 민중들을 교육하고 계몽하는 일에 전념하였던 사람이며, 중등학교용 지리교과서 "최신조선지리"를 간도에서 발행한 인물이다. 저자는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장소인식의 기반 위에서 관념적이면서도 긍정적으로 우리 장소를 인식하였다. 이는 저자가 낙토 또는 영지라는 장소인식을 가지고, 불리한 자연환경을 지닌 간도나 백두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백두산행기"에 나타난 지리지식은 크게 지리내용과 지리개념이라는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지리내용은 자연지리(기후, 식생, 지형과 식생 지형의 경제적 이용)와 인문경관(취락경관과 그 변화, 문화경관)이라는 유형으로, 지리개념은 위치, 거리, 지역이라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미국 국립공원 주니어레인저 워크북 특성 및 국내 지형교육에의 시사점 (Characteristics of Junior Ranger Activity Books of U.S. National Parks and Their Implications for Geomorphological Education in Korea)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1-114
    • /
    • 2021
  • Junior Ranger is a self-directed interpretation program for young visitors at national parks in the United States. The success of this program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role of an activity book which is given an applicant free of charge at a visitor cent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ctivity books for 14 national parks' Junior Ranger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education. Although the activity books are varied in size, volume and printing, all of them offer diverse activities which are composed of different contents related to park resources in four fields and are performed in different ways such as Q&A, picture and word game, and creative activity. The time-consuming activities including attendance at a ranger-led program prevent the participant from making a superficial visit to be a junior range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omorphological education for children is needed to be strongly based on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to be more carried out using a way of game rather than conventional Q&A, suggesting that it encourages students not to lose their interest for learning. Secondly,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learning contents to be focused on various resources related to landform as well as landform itself. In addition, a creative activity such as writing verse or drawing feeling should be more applied to the geomorphological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ir effects on affective domain beyond cognitive one. It is likely to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 landform by internalizing a sense of land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