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Anuisamdong-Dongcheon in the 19th Century

19세기 안의삼동(安義三洞) 동천(洞天)의 경관구조 해석

  •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6.07.14
  • Accepted : 2016.11.11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produce of Anuisamdong's landscape structure and improve the value of Scenic site. It was extract main spot from Geography book published by government in the 19th Century. And analyzed landscape architecture of Dongcheon. Extract main spot from Geography book published by government. Consequently, Hwarim-dong main spot 6 places, Simjin-dong main spot 9 places, and Wonhak-dong main spot 25 places were identified. Hwarim-dong's main spot was divided into 3 places of pavilion and scenery, respectively. Simjin-Dong's main spots was all that natural elements as a scenery. Wonhak-dong's main spot was the most elements of the Anuisamdong in geography book published by government. Hwarim-dong was pavilion-based scenery area complex, Simjin-dong was continues scenery spot along the valley, and Wonhak-dong was hybrid distribution that landscape structure. Each dongcheon in Anuisamdong was created a separate area through isolated geographical, visually for structure of collectively means. Also, a narrow entrance and enclosure topography are areas which arouse atmosphere of paradise. In addition, Aunuisamdong's landscape structure, which was previously divided into individual Dongcheon, was expanded into a single integrated landscape structure of Dongcheon. This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landscape development of common Dongcheon with the same starting and ending points and sightseeing routes.

안의삼동은 19세기 영남 지방 최고의 명승으로 각광받던 곳이었으나 오늘날에는 각 경관요소가 산재되어 전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안의삼동의 경관구조 재현 및 명승적 가치 제고를 위해 관찬지리지에 수록된 주요지점을 추출하고 경관구조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관찬지리지에 나타나는 안의삼동의 명승적 가치를 지닌 주요지점을 추출한 결과 화림동은 6개소, 심진동은 9개소, 원학동은 25개소로 확인되었다. 화림동은 누정과 형승이 각각 3개소로 나타났으며, 심진동의 주요지점은 모두 형승에 해당하는 자연물에 해당하였다. 원학동은 안의삼동 동천 중 가장 많은 요소들이 수록되었다. 화림동은 정자 중심의 경구집합형, 심진동은 계곡을 따라 분포하는 경점연속형, 원학동은 경구집합형과 경점연속형이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형의 개별 분포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각 동천의 집합적 의미구조를 살펴본 결과 지형에 따라 시각적 거리적 격리를 통해 주변과의 영역성을 달리하고 있으며, 좁은 입구와 위요된 지형은 동천이 무릉도원의 공간으로 인식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19세기 유람문화의 성행과 함께 효율적인 경로 모색에 의한 각 주요지점의 연계는 이전시기 개별 동천으로 인식되던 경관구조가 통합된 하나의 동천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동일한 시점과 종점, 유람경로를 지니는 일반적인 동천의 경관전개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
  2. 최석기, 조선선비들의 답사일번지,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5.
  3.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휴머니스트, 2006.
  4. 강철기, "수승대와 인근의 경승자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0권, 제4호, pp.79-92, 2002.
  5. 김형석, 심우경, "풍류의 장, 안의삼동 누정과 선비문화의 현대적 활용," 문화재지, 제48권, 제2호, pp.48-63, 2015.
  6. 민족문화추진회, 신증동국여지승람, 민족문화추진회, 1982.
  7. 이혁종, 전통조경공간에서 나타난 동천의 조영 특성,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
  9. 정병호, 삼천에 구백리 머나먼 여행길, 문경새재박물관, 2008.
  10. 이종묵, "심진동 장수사와 옥계 노진," 남명학연구, 제26권, pp.405-436, 2008.
  11. 문화재청, 2006년 전통명승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7.
  1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13. 도연명 저, 이성호 역, 도연명전집, 문자향, 2001.
  14. 이혁종, 최기수, "원림 속 동천의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03-11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