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3초

Relational Detabase Management System as Expert System Building Tool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Lee, Kyoo-Se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5-119
    • /
    • 1987
  •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opologically structur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with relational DBMS, the attribute data can be handled without considering locational data. By utilzing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al DBMS, it can be used as an expert system building tool in GIS. The relational DBMS of the GIS furnishes the data needed to perform deductive functions of the expert system, and the rule based approach provides the decision rules. Therefore, rule based approach with the expert judgemen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relational DBMS.

국가수치기본도를 활용한 도로안내표지판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oad Guide Sign Management System Based on National Digital Base Maps)

  • 김시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5-44
    • /
    • 1998
  • 도로안내표지판은 도로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중요한 교통시설물이다. 대도시의 경우 도로가 신설되거나 일시 중단되는 경우가 허다한 바, 이러한 각종 교통상황변화에 따라 도로안내표지판의 내용 또한 적시에 수정 보완되지 않으면 운전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와 교통흔잡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도로안내표지판의 관리는 종이도면으로 수작업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방대한 도로안내표지판의 정보를 시기적절하게 관리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GIS개념을 도입하여 도로안내표지판을 효율적으로 관리학 수 있는 도로표지판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히,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기본계획 하에서 범부처적으로 구축하고 있는 국가수치기본도를 활용하는 전제하에서 출발하였다. 동 시스템은 도로안내표지판과 관련된 각종 통계처리, 임의로 지정하는 교통축에 대한 지명의 연계성 확인, 문안자동화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로안내표지판관리시스템을 시범적으로 서울시 강남구에 적용해 보았다.

  • PDF

Web기반 GIS를 이용한 금강유역의 실시간 수문지형인자 추출 (Web-based GIS for Real Time Hydrologic Topographical Data Extraction for the Geum River Watershed in Korea)

  • 남원호;최진용;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5호
    • /
    • pp.81-90
    • /
    • 2007
  • Watershed topographical information is required in hydrologic analysis, supporting efficient hydrologic model operation and managing water resources. Watershed topographical data extraction systems based on desktop GIS are abundant these days placing burdens for spatial data processing on users. This paper describes development of a Web-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hat can delineate the Geum River sub-basins and extract watershed topographical data in real time. Through this system, users can obtain a watershed boundary by selecting outlet location and then extracting topographical data including watershed area, boundary length, average altitude, slope distribution about the elevation range with Web browsers. Moreover, the system provides watershed hydrological data including land use, soil types, soil drainage conditions, and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curve number for hydrologic model operation through grid overlay technique. The system operability was evaluated with the hydrological data of WAMIS(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ith the government operation Web site as reference data.

Storage Feature-Based Watermarking Algorithm with Coordinate Values Preservation for Vector Line Data

  • Zhou, Qifei;Ren, Na;Zhu, Changqing;Tong, Dey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7호
    • /
    • pp.3475-3496
    • /
    • 2018
  • Most of current watermarking algorithms for GIS vector data embed copyright information by means of modifying the coordinate values, which will do harm to its quality and accuracy. To preserve the fidelity of vector line data and protect its copyright at the same time, a lossless watermarking algorithm is proposed based on storage feature in this paper. Firstly, the superiority of embedding watermark based on storage feature is demonstrated theoretically and technically. Then, the basic concepts and operations on storage feature have been defined including length and angle of the polyline feature. In the process of embedding watermark,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embedded into directions of polyline feature by the quantitative mechanism, while the positions of embedding watermark are determined by the feature length. Hence, the watermark can be extracted by the same geometric features without original data or watermark. Finally,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show that coordinate values remain unchanged after embedding watermark. Moreover,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공간데이타 처리를 위한 확장된 저장관리시스템 (Extended Storage Management System for Spatial Data Processing)

  • 김재홍;배해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7-16
    • /
    • 1993
  •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단순한 문자, 숫자 등의 정보 표현에서 사용자가 보다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그래픽, 이미지 등의 공간 데이타에 대한 표현을 요구하고 있다. 지리 정보 시스템은 지도 형태의 데이타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지리 데이타(geographic data)의 저장, 검색, 조작 및 분석 등을 처리하는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으로 지리적 요소의 공간 데이타와 이와 관련된 속성 데이타를 처리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공간 데이타의 처리는 기존의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그 처리가 어렵고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하지 못하므로 공간 데이타에 대한 효율적인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 정보시스템과 같은 방대한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저장관리하며, 사용자에게 빠른 접근을 위해 새로운 공간 색인 기법을 지원하는 확장된 거장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경로계획을 이용한 지능형순항제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Cruise Control using Path Planning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임경일;오재석;이제욱;김정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7-223
    • /
    • 2015
  • Autonomous driving is no longer atechnology of the future since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has now been realized, and many technologi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for the convenience of drivers. For example, autonomous vehicl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drive assistant systems. Among these many drive assistant systems, Cruise Control Systems are now a typical technology. This system constantly maintains a vehicle's speed and distance from a vehicle in front by using Radar or LiDAR sensors in real time. Cruise Control Systems do not only serve their original role, but also fulfill another role as a 'Driving Safety' measure as they can detect a situation that a driver did not predict and can intervene by assuming a vehicle's longitude control. However, these systems have the limitation of only focusing on driver safety. Therefore, in this paper, an Intelligent Cruise Control System that utilizes the path planning method and GIS is proposed to overcome some existing limitations.

Evaluation of Micro EV's Spreading to Local Community by Multinomial Logit Model

  • Seki, Yoichi;Manrique, Luis C.;Amagai, Kenji;Takarada, Takayuk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148-154
    • /
    • 2012
  • Micro Electric Vehicles are considered as a solution for reducing $CO_2$ emiss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its impact in a local community when it has been introduc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how to spread the Micro EV within the community, using the utility derived from a multinomial logit model, and analyze the effect on $CO_2$ emissions. The householder's utility model is based on an investigation about Kiryu citizen's activities of shopping, transportation methods, etc.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e get the distances of each householder and the stores, and estimate a multinomial logit model about the combination choices of shopping stores and transportation method.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난피해자 관리시스템 (A Disaster Victim Management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황현숙;최은혜;김창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72
    • /
    • 2011
  • 갑작스런 재난에 의해 물적 신체적 손상뿐 만 아니라 심리적 손상을 입은 피해자들이 원활하게 사회생활에 다시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안전복지차원의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소방방재청 주관으로"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센터"를 운영함으로써 재난 피해자들의 심리 치유를 도우고 재난 심리 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심리관리 서비스 전달 체계, 재난심리지원 피해자 분류, 위기 상담 방법 등에 관한 체계를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센터에서는 지원센터 및 복지기관 현황에 대한 기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체계 구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시스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피해자 및 관리자들에게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원활한 교류를 지원하고 정상적인 사회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도 기반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간단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축한다. 본 시스템은 재난 피해자, 손상발생, 관련 의료, 복지, 정신센터에 대한 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어, 키워드에 의한 기본 정보 검색 뿐 만 아니라 지도 기반의 공간 검색 및 통계 분석을 지원함으로써 재난 관리자들의 효율적인 정책 체계에 도움을 제공하여 심리적인 피해로 인한 피해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저탄소도시계획지원을 위한 포털서비스의 구축방향 (A Study on Building up the Portal Service to Support Low-Carbon City Planning in Korea)

  • 김한준;최홍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465-2473
    • /
    • 2013
  • 본 논문은 도시.지역계획 등 공간계획 분야의 계획지원시스템(PSS)을 핵심구성요소인 도시모형(특히, 토지이용-교통 모형 LUTM)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술의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한 계획과정에 대한 시민참여 요구 확대, 인터넷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IT 기술심화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변화된 계획환경에 대응하여 PSS의 보완 또는 확장 개념으로서 저탄소도시계획지원에 초점을 둔 포털서비스의 구축방향을 제안한다.

계층적 시간지원 지리정보 시스템을 위한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 그 연산자 확장 (Spatiotemporal Data Model and Extension of their Operations for a Layered Tempor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김동호;이종연;주영도;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083-1097
    • /
    • 1998
  • 기존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실세계에 존재하는 지형객체의 속성정보와 공간정보를 취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 시스템은 고정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시간변이 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으며 제공한다 하더라도 제한적이며 질의 표현과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시간지원 지리정보 시스템을 계층적 접근 방법을 기반으로 기존의 지리정보 시스템이 제공하는 공간에 시간 개념을 확장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객체의 이력을 지원하는 시공간 통합 데이터 모델을 연구하였다. 즉,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시간변이 공간연산과 이에 따른 시간지원 공간연산자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