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tianacea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한약 "용담(龍膽)"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Chinese Crude Drug 'Yong Dam')

  • 황명석;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124호
    • /
    • pp.1-5
    • /
    • 2001
  • The Chinese crude drug, 'Yong Dam (龍膽)' which is derived from the root of Gentiana plants of the family Gentianaceae, has been used as remedy for stomachic, intestinal catarrh, convulsion, etc. With regard to the botanical origin of 'Yong Dam',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Gentiana species of Gentianaceae, especially Gentiana scabra, but there has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Yong Dam' from Korea, we studied on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entiana species growing wild in Korea i.e. Gentiana scabra var. buergeri, G. uchiyamai, G. triflora, G. axillariflora var. coreana and of 'Yong Dam' from Korea on Korean market. Through our studies, the botanical origin of 'Yong Dam' from Korea was proved to be Gentiana scabra var. buergeri and Gentiana axillariflora var. coreana.

  • PDF

한반도 미기록 식물: 꼬인용담(용담과) (The first record of Gentianopsis (Gentianaceae) in Korea: G. contorta (Royle) Ma)

  • 지성진;김윤영;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3-529
    • /
    • 2008
  • 한반도 중부의 강원도 정선군 금대봉에서 채집된 용담과 수염용담속의 1분류군-꼬인용담-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였다. 본 분류군은 인도, 네팔, 파키스탄 등 히말라야 산악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또한 중국 및 일본 일대에도 생육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형태학적 형질을 근거로 분류군에 대한 기재를 수행하였으며, 국명을 꽃의 형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꼬인용담'으로 하였다. 또한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도와 근연식물과의 차이점을 검색표로 제시하였다.

진교(秦?, Gentianae Macrophyllae Radix)의 품질표준화에 관한 연구 (Standardization of Gentianae Macrophyllae Radix)

  • 이광섭;이승재;김호현;진희억;함인혜;황완균
    • 생약학회지
    • /
    • 제32권4호통권127호
    • /
    • pp.287-291
    • /
    • 2001
  • The Radix of Gentiana macrophylla (Gentianaceae) has been used for dispelling wind-damp, relaxing the sinews, and clearing heat from deficiency. In order to evaluate its quality, the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entiopicroside as standard compound has been developed. Gentiopicroside was a major compound of Gentianae Macrophyllae Radix. It was analyzed by HPLC using 30% MeOH as a solvent system. The amount of gentiopicroside from Gentianae Macrophyllae Radix was in the range of $2.22{\pm}1.22%\;(n=18)$.

  • PDF

한국산 덩굴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Studies of Korean Tripterospermum japonicum (Max.) Max. and Pterygocalyx volubilis Max.)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73
    • /
    • 2003
  • 한국산 용담과 식물중, 덩굴식물인 좁은잎덩굴용담속과 덩굴용담속에는 각기 1분류군씰 분포한다. 이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으며,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형태를 조사하여 두 속간의 한계 와 유연관계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두 분류군의 식별형질로는 주로 열매형질(삭과와 장과), 부화관의 유무와 화분형 질(망상과 유선상)로 의존해 왔으나, 조사결과 외부형태형질(뿌리, 잎, 꽃받침, 주두, 약)과 내 부형태형질(꽃받침, 자방) 그리고 미세구조(화피열편의 표면, 잎의표면, 주맥의 표면, 종피)에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두 분류군의 분포는 한반도 육지역에 분포하는 것은 전부 좁은잎덩굴용담이었고 덩굴용담은 해양성기후대인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산 용담과 용담속(Gentiana) 식물의 분류 - 해부학적형질 및 미세구조 - (A Taxonomic Sfudy of the Gentiana (Gentianaceae) in Korea - Anatomical and Ultrastructure -)

  • 정영재;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4
    • /
    • 2006
  • 한국산 용담속(용담과) 식물중 남한에 분포하는 10분류군을 대상으로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과 종피의 해부학적 형질과 미세구조를 조사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줄기, 잎, 악편, 자방의 횡단면 및 잎상하표피, 화관열편 표면의 미세구조에서 등에 의해 절, 아절 그리고 계로 구분되었고 종자의 형태와 종피의 미세구조에 의해 종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형질들은 용담속의 분류군들을 구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2. 해부학적형질 및 미세구조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lia D. Don(Gentianaceae) in Korea -Anatomical and ultrastructure-)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9
    • /
    • 2000
  • 한국산 쓴풀속(용담과) 식물 중 남한에 분포하는 5분류군과 변이체라 생각되는 1분류군, 총 6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해부학적 형질과 미세구조를 조사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북한에 분포하는 1분류군은 동경대학의 소장품을 관찰하여 분류군의 기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방의 내부구조, 밀선의 형태, 화관열편 표면의 미세구조 그리고 화분 표면의 무의 등에 의해 2개의 절로 구분되었고 밀선과 종피의 미세구조에 의해 종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형질들은 쓴풀속의 분류군들을 구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변이체라고 생각되었던 큰잎쓴풀(화관 열편에 자색 점무늬를 갖는 분류군)A형은 자색 점 이외의 형질들에서는 전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 모종의 변이 폭에 넣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1. 외부형태 및 분포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zia(Gentianaceae) in Korea 1.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4-339
    • /
    • 1999
  • 한국산 쓴풀속(용담과) 식물 중 남한에 분포하는 5분류군과 변이체라 생각되는 1분류군, 총 6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판별분석(44개의 양적형질)을 수행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북한에 분포하는 1분류군은 동경대학의 소장품을 관찰하여 분류군의 기재에만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밀선의 전체적 형태, 화관과 꽃받침의 열편수에 의해 2개 절로 구분되었으며 경생엽의 형태와 화관의 색과 무의에 의해 종간 구분이 가능하였다. 변이체라고 생각되었던 큰잎쓴풀(화관 열편에 자색 점무의를 갖는 분류군) A형은 자색 점 이외의 형질들에서는 전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 모종의 변이 폭에 넣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판별분석에 의해 쓴풀속의 식물들을 구별하는 중요한 양적형질은 화관에 관여하는 형질들임이 밝혀졌다. 종자의 형태와 종피의 형질은 종이상을 구별하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따라서 한국산 쓴풀속 식물들에 대한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였으며, 속내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였다.

  • PDF

당약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DangYak")

  • 배지영;박종희;안미정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3-319
    • /
    • 2013
  • A Korean folk medicine, "DangYak (當藥)" has been used as a bitter stomachic in Korea. With regard to the botanical origin of this crude drug,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from Swertia species (Gentianaceae), but there was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Swertia species growing in Korea, Swertia japonica Makino, S. pseudochinensis Hara and S. tetrapetala Pall. were compared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DangYak".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 commercial "DangYak" from Korean traditional market was proved to be the whole plant body mixture of Swertia japonica and Swertia pseudochinensis.

용담의 RAW 264.7 세포주에서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물질 (A Nitric Oxide Synthesis Inhibitor from the Roots of Gentiana scabra in RAW 264.7 Cells)

  • 김나영;강태현;김도훈;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3-176
    • /
    • 1999
  •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a $H_2O$ extract of the roots of Gentiana scabra has furnished 5-(hydroxymethyl)-2-furfural (1) as an inhibitory compound for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stimulated with $interferon-{\gamma}$ plus lipopolysaccharide. Compound 1 showed the moderat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with $IC_{50}$ value of $803\;{\mu}M$.

  • PDF

강간제(强肝劑)로 사용(使用)된 생약(生藥)의 조사연구(調査硏究) (V) -백출(白朮) 및 용담(龍膽)의 강간효과(强肝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Plants with Liver Protective Activities (V) -Liver protective activities of Atractylodes japonica (alba) and Gentiana scabra-)

  • 윤혜숙;유재천;장일무
    • 생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5
    • /
    • 1981
  • Methanol extracts of the roots of Atractylodes japonica (alba) (Compositae) and Gentiana scabra (Gentianaceae) were further fractionated with n-butanol, chloroform, n-hexane and water. Then each fraction was p.o.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hepatitis caused by $CCl_4$ intoxication. Measurements of sleeping time of mice induced by hexobarbital administration indicated that n-butanol and chloroform fractions of Atractylodes japonica (alba), and chloroform and n-hexane fractions of Gentiana scabra showed significant liver protective activities. Measurements of the activities of serum transaminase, S-GOT and S-GPT appeared to support these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