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 MZ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MZ세대(2030대) 남성의 체형비교 및 체형 변화 연구 - 제 7차, 제 8차 사이즈코리아 직접 측정치를 기준으로 - (A Study on MZ Generation(2030s) Male Body Shape Comparison and Body Shape Change - Focused on the 7th and 8th Size Korea's Anthropometric Data -)

  • 김지은;김은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3-47
    • /
    • 2023
  •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human body dimensions between the age groups of Generation M (27 to 39 years old) and Generation Z (20 to 26 years old) was analyzed. This study also analyzed if there was a change in the body shape of the MZ generation, who have different sensibilities from the "young people" of the past. In addition, major changes in human body dimensions were carefully analyzed and presented as basic data for clothing design. Therefore, a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of each age group. To examine the change in human body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year, the 7th and 8th size Korea data statistics were analyzed. The main required dimensions of clothing design were analyzed graphically for visual changes according to measurement year and age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eneration Z was found to have a difference in body shape from Generation M, and is generally smaller and slimmer with broader shoulders. In addition, the body shape change between the 7th and 8th measurement perio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8th measurement overall. Height has increased and back length has become shorter, resulting in a larger ratio of lower body length.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obesity abnormalities has increased. Therefore, since the dimensional system set from the past data can cause problems for the fitting of clothing for the MZ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lothing and reset the dimensional system making it suitable for the changed the body shape of the MZ generation.

육군 장교 모집 경쟁률 향상방안 연구 -MZ세대의 직업가치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ing the Competition Rate for Army Officers - Focusing on the occupational values of the MZ generation -)

  • 김영기;송병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07-213
    • /
    • 2023
  • 우리나라는 인구절벽과 출산율 저하에 직면하고 있으며, 우리 군은 장교 모집 경쟁률이 해마다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안보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이며 우수 인력획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군의 주요 모집대상인 MZ세대에 대한 세심한 고찰을 통한 그들의 직업가치를 파악하고, 직업으로서의 군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군 내·외적 환경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문제별 진단과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이에 우리는 군 특수성을 고려하여 현 실태를 진단하고, 군의 장교 모집대상 자원인 MZ세대가 추구하는 주요 직업 선택 요인을 살펴봄과 동시에 외국군 사례를 분석하여 군 장교 모집 경쟁률 향상방안을 제시한다. MZ세대를 대상으로 군 장교를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추구하는 직업 가치를 충족시키는 종합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비대면 시대 해외 뮤지엄의 온라인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 MZ 세대의 선호요인 연구 (Preference Factors of the Korean MZ Generation vis-à-vis the Online Programs of Museums Abroad)

  • 곽송비;권지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565-573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여파로 생활 속 거리 두기 상황 속에서 해외 미술관들이 고안해낸 여러 비대면 프로그램들에 대한 한국 MZ 세대의 반응과 선호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영 박물관을 비롯하여 내셔널갤러리, 폴 게티 미술관, 반 고흐 미술관, 우피치 미술관, 헤이스팅스 컨템포러리, 구겐하임 미술관 등은 창의적이고 시사적인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폐관기간 동안에도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이어나가고자 했다. 많은 접속자와 호응으로 주목받은 10개의 프로그램들을 선정하여, 국내에서 뮤지엄 관람이 가장 빈번하고 디지털 활용도가 높은 MZ 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앞으로 우리나라가 강구해야 할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기술이 접목된 비대면 관람 방식이 실제 뮤지엄 공간에서 관람하는 느낌을 최대한 구현하는지와, 온라인 전시 콘텐츠에 교육적인 내용이 포함된 것을 선호함을 보여주었다.

MZ세대의 패션상품 구매채널여정 유형화와 특징 비교 (A comparis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rchase channel journey of fashion products in the MZ generation)

  • 이정우;김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5호
    • /
    • pp.656-67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rchase channel journeys of MZ generation consumer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urchase channel journey of 20 women in the MZ generation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s a result, three purchase channel journeys were identified: mobile, multi-channel, and offline. These were variously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s. Gen Z's journey was categorized into types: fashion platform app, Youtube, multi-channel supplement, multi-channel non-planned store visit, offline loyalty store, and impulsive offline store. Gen M's journey was categorized as: an online community bond, portal site, online loyalty store, multi-channel brand involvement, multi-channel efficiency, a multi-channel conversion, offline efficiency and offline task. The difference in mobile journey between generations was found in the time and length of the purchase. Gen M recognized both online and offline search processes to be tiring, while Gen Z enjoyed the search process using the online path. In the offline journey Gen Z began with their own intention to purchase, while Gen M sometimes recognized that purchasing fashion products necessary for work was a cumbersome task.

An Empirical Study on the Happiness of Generation MZ Employe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Preceding Factors of Happiness and Engagement

  • Giha, Shin;Jaeryoung, Song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3호
    • /
    • pp.363-396
    • /
    • 2022
  • This study focuses on the happiness of the generation MZ of innovative enterprises, which are evaluated as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at a time when the value of happiness is emerging. Happiness is related to the prosperity and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However,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who account for 45%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re considered unhappy at wor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receding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of happiness for the generation MZ of innovative enterpris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happiness on employee engagement. For the study, 300 usabl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generation MZ working in innovative enterprises through an online survey. Research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were verified using SPSS 26.0 and AMOS 23.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rocedural justice among the organizational factors, rewarding co-worker/supervisor relationship among the relationship/communication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meaningfulness of work, personal accomplishment) positively affected the MZ generation's workplace happiness. In particular, the meaningfulness of work, which corresponds to personal factors, exert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happiness at the workplace,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which was stronger in organizational engagement than in job engage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ed i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justice, rewarding co-worker/supervisor relationships, the meaningfulness of work, and personal accomplishment positively affected employee engagement through happiness. Through research, the importance of happiness at the workplace was suggested by systematically reviewing the preceding variables of happiness at the workplace and grasping the positive effects of happiness. In addition, the management measure of generation MZ employees of innovative enterprises w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happiness at the workplace was emphasized,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대학생들의 학술정보 포털에 대한 이용 및 수요분석 - ScienceON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Use and Demand for Academic Information Portals: Focusing on ScienceON)

  • 노영희;왕동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47-65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술정보 포털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고 ScienceON이 대학생들의 친화적 포털이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 도출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ScienceON과 유사한 학술정보 포털을 조사하여 ScienceON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FGI 면담을 실시하여 대학생이 느끼는 ScienceON의 문제점을 기반으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하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생들이 원하는 정보를 모두 ScienceON에서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둘째,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구글 및 네이버와 같은 UI를 갖출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딱딱한 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교 저학년을 타겟으로 홍보를 진행하여 ScienceON을 익숙하게 만들어야 한다. 현재 대학생들은 MZ세대에 속하는 연령층으로 MZ세대는 향후 사회적 핵심을 이루는 세대가 될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MZ세대에 대한 관련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MZ세대의 정보검색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Z세대의 콘텐츠 플랫폼 활용행태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정보 분야의 정보이용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Z Generation'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Contents Platforms: Focused on Information Users in the Field of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 유수현;김현정;현미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31-263
    • /
    • 2021
  •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 이용 매체의 등장과 디지털 정보자원의 급증으로 변화하는 과학 기술 정보 환경에서 앞으로 주요한 정보이용자가 될 MZ세대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MZ세대의 콘텐츠 활용 플랫폼, 일상·학술정보 이용행태, 콘텐츠 생산 방식과 특성에 대한 설문을 통해 정보이용자면서 정보 생산자로서의 MZ세대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MZ세대는 유튜브를 콘텐츠 플랫폼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일상정보원으로는 네이버를, 학술정보원으로는 구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소비하는 콘텐츠는 대부분 일상적인 정보였으며, 전문분야 등의 검색은 빈번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콘텐츠 소비뿐만 아니라 생산에도 적극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다만 정보전달의 목적보다는 기록을 위한 목적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MZ 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use of OTT ser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r workers in the MZ generation)

  • 조윤준;이상수;김상윤;조현지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23
  • 본 연구는 MZ 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미디어패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OTT 서비스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했지만 이러한 변화가 MZ 세대의 삶에 대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MZ 세대 직장인의 특성에 따라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를 알아보고, 사용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검정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MZ 세대의 성별, 연령대에 따라 사용빈도가 달라졌고, 사용빈도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콘텐츠의 이용행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처음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기여를 가진다. 향후 사용빈도뿐만 아니라 OTT 콘텐츠의 종류, OTT 서비스의 사용 시간대 등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Focusing on MZ Generation in the COVID-19 Period)

  • 황윤희;정재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MZ세대의 주거환경특성,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20년 한국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다. 주거환경특성 14개 항목을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MZ세대의 주거환경에서 14개 항목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의 Varimax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14개 항목 중 주차시설 항목은 유효성을 저해하여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그 결과 KMO는 0.925, Bartlett의 검사결과는 0.01 미만의 유의한 확률을 보여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의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특성의 잠재변수인 주변환경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접근용이성, 이용편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MZ세대와 같은 젊은 세대일수록 소비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상업시설 접근용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거보유의식은 유의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넷째, MZ세대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주거이동에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주거보유의식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MZ세대는 산업화세대, 베이비붐세대, X세대와 다른 주거환경특성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그 요인은 주거만족도와 주거보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특성 항목들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개선하고 보완해야 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양극화를 줄이기 위하여 세대의 환경과 특성에 맞는 주택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시간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차이가 나타나는지 주거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MZ세대의 콘텐츠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패션브랜드의 가치창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value creation of fashion brands using content collaboration targeting MZ generation)

  • 신혜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830-844
    • /
    • 2020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n as digital transformation, has made MZ generation to be the focus of the new consumer market, brought about the use of technological platforms a new consumption method. Currently, as various types of content collaboration are emerging that specifically targeting at the MZ generation. Content collaboration are considered an integration of content to create new values through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of fashion brands from 2018 using literature and online news articles, and identified and classified through case studies of it determined movie content, game and virtual characters. By this research, it shown that collaboration with movie contents have increased the collaborative synergy by using the story in global media content. Collaboration with mobile games was generally used by young casual and sportswear brands. These brands which utilized characters from mobile games popular with to attract more teen consumers and strengthen brand awareness by adding values of high-technology and scarcity to the familiar images. In addition, collaboration with virtual characters has expanded value of the collaborative approach on expanding the range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from a promotional strategy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through to the use of virtual models. As such, collaboration using the various types of content has developed beyond simple integration of identities among various areas, integrated products or brands that as a new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