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 MZ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5초

여성 니트 골프웨어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골프웨어 브랜드 중심으로 -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women's knit golf wear - Focusing on golf wear brands -)

  • 이유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7-132
    • /
    • 2021
  • As the golfwear market grows rapidly and expands due to the influx of MZ generation golfers, competition among brands is intensifying, so it is necessary to plan knit golf wear products that are suitable for the consume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duct planning by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omen's knitted golfwear products among golfwear brands. First, the top 10 brands, as selected by Golf Magazine, were used for analysis. The selected brands include PXG, Titleist Apparel, Wide Angle, Pearlygates, Footjoy Golf, Castelbajac, Fantom, Ping, Le Coq Golf, and PGA Tour & LPGA. 692 women's cross-knit knitwear products were investigated based on design elements, such as flat tissue, gauge, color, pattern, image, and items.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knitted golfwear showed a high utilizations of Jacquard and high gauge Intarsiafor pattern expression and a low variety of deformed stich. The proportion of achromatic colors is large, and many brands use point colors based on black and white. Brand identity is important, and brand letters, Monograms are frequently used, and the proportion of sportive and modern image in the products is high. With the increase of MZ generation golfers, the preferred design direction will change and gradually deepen.

온라인 패션 쇼핑몰 챗봇의 커뮤니케이션 실패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반응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of Chatbots in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 서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3-19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communication failure of chatbots caused by their imperfec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1) the relationship among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dissatisfaction, negative behavior (complaint, negative word-of-mouth (nWOM), and inertia); 2)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and dissatisfaction; 3) the differences in the negative responses between the generation MZ and the previous generations.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First, the participants interacted with the chatbot developed for this survey, to experience the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Thereafter,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PLS-SEM was conducted using the R software environment to test the hypotheses.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at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positively affected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ustomers who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s were more likely to complain than engage in nWOM. Compared to the generation MZ,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caused a higher level of dissatisfaction in previous gener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shopping malls should carefully introduce an improved chatbot service after minimizing its communication failure rate. The chatbot developers of online shopping malls targeting middle-aged and elderly consumers should strive to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o further alleviate consumers' dissatisfaction in the situation of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시니어 패션 인플루언서의 유튜브 영상에서 시청자의 지각된 혜택과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wers' Perceived Benefits and Responses from the YouTube Videos of Senior Fashion Influencers)

  • 서민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5-96
    • /
    • 2022
  • The MZ Generation likes watching YouTube videos produced by senior influencers despite the big age gap. In addition, the final goal of collaborative YouTube videos between senior influencers and brands is to increase sale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is interesting phenomenon and aimed to provide useful insights for creating YouTube video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Study 1 explored the viewers' perceived benefits by looking at the YouTube video comments of a senior fashion influencer, and then classified the perceived benefits into informational, psychological, and hedonic benefits. Study 2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iewers' perceived benefits (informational, psychological, hedonic benefits), attitude toward a brand, and behavior intention. Study 2 found that only informational benefits, among the three perceived benefits, enhanced attitudes toward a brand, thereby affecting behavio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wo sub-studi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al benefits to maximize the marketing effects employing the collaborative YouTube videos of senior influencers and brands.

여성 인플루언서의 SNS 바디프로필에 나타난 신체표현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 연구 (A Study of Semiotic Analysis of Body Expression Image Shown in the Body Profile of Female Influencer's SNS)

  • 채정화;조경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8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semantic actions of body image symbolized in body expression images shown by micro-influencers body profiles to understand the body profile phenomenon of the MZ generation. As a result of collecting body profile data from micro-influencers, the body profile image types of female influencers on SN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thletic, Slim body, Natural, and, Glamorous. Images representing each type were analyzed using the Roland Barthes' Myth model analysis frame. As a result of the semantic analysis, influencers were found to be very active and bold, emphasizing certain body parts according to the type of body image they pursue. Fashion is strategically used to emphasize these aspects. It was found that the ideology of a 'subjective modern woman' was commonly expressed through emphasis on visual sig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indirectly lead to the understanding the fashion culture expressed by the MZ generation and provide consumer information and essential data that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fashion market.

[Review] The Impact of Character Collaboration Product Characteristics on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F&B Products

  • Kyung Tae JANG;Senghyeon LEE;Seong-Soo CH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racter collaboration product characteristics on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within the food and beverage (F&B) industry, with a special focus on Generation MZ's growing interest in such products. The methodology involves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character marketing, brand awareness,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supplemented by case studies of successful character collaborations in the F&B sector. The findings reveal that character collaborations significantly impact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s, particularly among younger consumers like Generation MZ. These collaborations not only rekindle nostalgia but also introduce new and exciting consumer experiences, effectively attracting a wide demographic. The success of character-themed products, from Pokémon bread to Coca-Cola's League of Legends collaboration, underscores the strategy's effectiveness in boosting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engag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manifold for the F&B industry. First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everaging popular characters to forge emotional connections with consumers. Secondly, it suggests that product development should closely align with consumer preferences and market trends to maximize appeal. Lastly, it positions character collaboration as a strategic marketing tool that not only enhances product sales but also strengthens brand loyalty and facilitates sustained brand growth.

웹 3.0시대의 주얼리 산업에서의 NFT 현황 분석 (A Situation Analysis of NFT on the Jewelry Industry in Web 3.0 Era)

  • 강혜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39-445
    • /
    • 2022
  • 본 연구는 웹 3.0시대의 NFT가 촉발하는 사회적 현상을 중심으로 주얼리 산업에 관련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주얼리 산업에 적용 가능한 방향성을 찾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NFT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특성을 분석하여 NFT 현황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NFT의 투명성, 영원성, 유일성의 세 가지 특성들은 연구를 통해 분석된 현황들의 전략 속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NFT의 주요 고객층인 MZ세대의 소비성향 분석이 중요하며, 웹 3.0시대에 필요한 디지털 어질리티(digital agility)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메타버스와 NFT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주얼리 산업체에 있어서 융합형 보완 연구를 통해 실질적으로 국내 주얼리 브랜드들의 경쟁력 강화에 조력하고자 한다.

한국, 중국, 일본 남성 소비자의 화장품 사용 실태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Cosmetics by Male Consumer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 김경빈;주현영;송위신;장지아위;김규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03-315
    • /
    • 2022
  • 본 연구는 아세안 시장을 중심으로 코로나19의 창궐로 인해 급격하게 달라진 남성 화장품 시장 중 주요 경쟁국인 일본, 중국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중일에 거주하는 MZ세대 남성 300명에게 설문을 받은 결과를 연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SPSS 21.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먼저 구매행동분석에 대한 결과이다. 한중일 3개국 남성 소비자의 화장품 평균 구매비용은 모두 30,000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요인으로는 3개국 모두 기능성, 사용감이 상위를 기록했다. 둘째,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한 답변에서는 한국과 중국은 해외브랜드에 개방적인 반면 일본은 주로 자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요인으로는 3개국 모두 기능성, 사용감이 상위를 기록했다.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한 답변에서는 한국과 중국은 해외브랜드에 개방적인 반면 일본은 주로 자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이후의 화장품 사용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코로나19 이후의 피부고민에 대한 답변으로 한국, 일본의 경우 여드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의 경우 피지 분비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지에 대한 고민은 3개국 모두 상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세안 시장에서 한국 남성 화장품의 수출 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관심과 간호직 유지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Economic, Sociocultural Interest and Intention of maintaining the Nursing Job of the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 구옥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33-42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8월-9월 C시 소재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정치적 관심, 경제적 관심, 사회문화적 관심과 간호직 유지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치적 관심 3.35점(최대 5점), 경제적 관심 3.76점(최대 5점), 사회문화적 관심 4.15점(최대 5점), 간호직 유지의도 3.40점(최대 5점)이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치적 관심과 사회문화적 기술의 상관계수(r=.385, p<.01)가 높았고, 경제적 관심과 전체 사회문화적 관심이 가장 상관계수(r=.534, p<.01)가 높았다. 간호직 유지의도와의 상관관계는 사회문화적 실천의지(r=.158, p<.01)와 태도(r=.131, p<.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직 유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관심을 포함한 반복연구와 전문 직업으로 간호직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 태도와 실천의지를 포함한 체계적이기도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해양 요트 체험 매력 속성이 스트레스 회복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Busan Yacht Experience Tourism on the Stress Recovery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 박승화;정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28
    • /
    • 2023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야외에서 즐기는 여가 레저 활동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야외 레저 활동 중 해양스포츠의 경우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한국에서는 즐기기 좋은 요건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해양스포츠 중 요트의 경우 최근 부산 광안리와 수영만을 중심으로 다수의 요트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 요트 체험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관광 상품으로 많은 이용자들에게 스트레스 회복을 가져다줄 수 있다. 이 연구는 해양 요트 체험 이용자의 경험을 토대로 해양 요트체험의 매력 속성이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스트레스 회복을 통해 해양 요트 체험을 재방문하거나 SNS를 통해서 타인에게 공유하는 의도를 함께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절변수로 SNS 사용이 타 세대보다 활발한 MZ세대와 다른 세대 간의 차이를 제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해 보았다. 이 연구의 설문은 부산의 해양 요트 체험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 요트 체험의 매력 요소 중 경관, 분위기, 부대시설, 프로그램 그리고 서비스가 이용자의 스트레스 회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회복을 통한 만족감은 재방문 의도와 SNS 공유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연령에 따른 조절 효과 검증에서는 MZ세대와 타 세대 간의 재방문 의도에 대한 세대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요트 체험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객들의 재방문을 유도하고, SNS을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을 실시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조직 내 세대차이 극복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 LX하우시스 세대공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Overcom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s - Focusing on LX Hausys Generation Empathy Program)

  • 김성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1-122
    • /
    • 2022
  • Many companies are now studying these generational conflict issues and seeking countermeasures. As seen in the recent performance-based pay issue, the MZ generation is boldly showing their intention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study focuses on LX Hausys' education program to overcome the generation gap. As a representative field education program of LXHausys, it is a longevity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veloped and operated at the end of 14 years and has been in operation so far. By acknowledging and understanding the generation gap through this educational program, it was possible to see that they could sympathize and accept each other one step further, and that trust in each other was formed on the basis of it. The success factors of the generation empathy program were identified as the willingness to share percep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active participation of members, and overcoming generation empathy. Through such education, the organization should continuously raise the issue of generational empathy and allow members to recognize it as an object to overcome. To this end, efforts should be made to overcome generational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