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innovatio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성인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가 학습몰입과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f Adult Learners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 유병민;박혜진;진현승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4호
    • /
    • pp.449-45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ducational use of the Facebook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at university class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5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class at a 4-year university in Seoul, and certain questions verified in the existing studies were modified, complemented, and used as a tool for measurement. The details of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the usefulness that learners perceived.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usefulness,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learners' perceived attitudes. We can interpret such a result as suggesting that the higher a learner's perceived attitude,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시스템에 대한 인식과 지불의사 (Nurses'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for Nursing Career Ladder System in General Hospital)

  • 이미준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1-71
    • /
    • 2019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urses' perception o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hich was introduced to enhance the nursing capabilities in general hospital. Methods: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for approximately 30 days since March 28, 2017 from 171 nurses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177 nurses who had not participated, and a total of 348. Finding: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nurses' perception on the cost effectiveness of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age, program experience, personal stage i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and the individual's health condition. In addition, the nurses' willingness to pay for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artment and the needs for the system. With adjusted age, gender, position,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nursing competency was 8.71(95% Confidence Interval; 4.79 to 12.63) in the presence of system experience, but the perception on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as 4.34(95% Confidence Interval; -6.84 to -1.84).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expect that more hospitals introduce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and also use these study results as basic data for securing excellent nurses.

Research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Focusing on the Research of the Past 10 Year

  • KIM, Seo-Young;KIM, Shang-Soon
    • 융합경영연구
    • /
    • 제8권4호
    • /
    • pp.37-4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by reviewing the relevant existing studies, and to examine changes in entrepreneurial leadership research through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mong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8 Korean studies and 42 international studies (UK and US) that clearly identify entrepreneurial leadership as research topic were analyzed. Results: Examinations on the yearly trends, keywords, and research methods reveal that research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is increasing recently with the emphasis on the statistical analysis. Keyword analysis shows high frequency of team and innovation for domestic research, while overseas research focuses on entrepreneurship, leadership, and gender associated keywords. Conclusions: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overseas studies employ various methodologies, focusing on statistical analysis and that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re in progress. For domestic cases, studies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re limited in number. Research topics and methods are areas that need further improvements. Research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has recently begun, requiring diversity in the subjects and methods for future development

Daily Amperometric Monitoring of Immunoglobulin E in a Mouse Whole Blood: Model of Ovalbumin Induced Asthma

  • Lee, Ju Kyung;Yoon, Sung-hoon;Kim, Sang Hee
    • 전기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1
    • /
    • 2022
  •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monitoring of specific biomarker for determining progression of a disease or efficacy of a treatment. Conventional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specific biomarkers as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has high material costs, long incubation periods, requires large volume of samples and involves special instruments, which necessitates clinical samples to be sent to a lab. This paper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chemical biosensor to measure total immunoglobulin E (IgE), a marker of asthma disease that varies with age, gender, and disease in concentrations from 0.3-1000 ng/mL with consuming 20 µL volume of whole blood sample. The sensor provides rapid, accurate, easy, point-of-care measurement of IgE, also, sequential monitoring of total IgE with ovalbumin (OVA) induced mice is another application of senso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an alternative way for detection of biomarkers in whole blood with low volumes and long-term ex-vivo assessments for understanding the progression of a disease.

공학계열 대학 졸업자의 첫 일자리 취업성과 결정요인 탐색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First Job Employment Outcom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 이지연;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2-19
    • /
    • 2022
  •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first job employment outcomes(employment status, salary, company size)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using 201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as variables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and job preparation efforts. The prioritie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factors determining employment outcomes were identified us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irst job employment status' was 'exam preparation(public and private company, test for teacher recruitment)' among individual's job preparation efforts.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first job salary' was 'gender'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irst company size' was the experience of 'corporate job aptitude study' among individual's job preparation effo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customized career development strategies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코로나-19 유행 이후 1인 가구의 식생활 변화와 식생활 만족 (Changes in Dietary Life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이성림;허은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29-38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dietary life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a sample of 916 one-person households from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we applied ANOVA and a system of equations model for our analysis which produced four main results. First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ating homemade and delivered meals increased, whereas eating restaurant, group, and HMR meals decreased. Eat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habits also increased during the pandemic. Secondly, approximately 30% of the sample reported increased expenditure on fresh food and HMR meals. The proportion of positive changes in dietary life was also greater than negative change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it had been before the pandemic. Thirdly, hav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nding on fresh food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MR purchase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Changes in expenditure on fresh food and HMR meals positively affected dietary life satisfaction through eat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Fourthly, increased consumption of delivered food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education, occupation, and age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changes in dietary life satisfaction.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지속적 사용의도 영향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Affecting Factors of Healthcare Applications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their Relationships)

  • 기연수;안성만;조민국;최병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89
    • /
    • 2019
  •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 및 도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공이 기술 수용이나 도입이 아닌 지속적 사용의도에 의해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있어 성별과 연령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 혁신성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지향, 즐거움은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은 지속적 사용의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성별은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영자들에게 일정 정도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모소명 개념에 대한 부와 모의 인식 차이: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시각적 비교 (The gender difference in concept of calling in childrearing: Visual Comparison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김수진;손영우;이수란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93-114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부모가 부모소명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부모소명이 어떠한 개념과 연결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부모소명 인식에 관한 네트워크를 추출하여, 아버지와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유의하게 큰 네트워크와 밀도를 보여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부모소명 개념을 사용하여 부모됨과 자녀 양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들은 책임감, 자녀성장, 방향성, 헌신, 부모의 인간적 자질을 부모소명과 직접 연결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여기에 더해 정체감, 부모성장을 연결했고, 아버지의 경우 부모 공통 개념에서 방향성이 빠져 총 4개의 개념만을 부모소명과 직접 연결했다. 이는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부모로서 정체성과 같은 본질적인 자기 개념과 성장의 주제를 부모소명에 연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개념 간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연결중앙성에서는 부모 공통으로 책임감, 자녀성장, 방향성, 신념 순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경우 자녀성장, 책임감, 신념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 책임감, 부모성장, 정체감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평가되었다.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인지적 요인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gnitive Attributes)

  • 박정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51-76
    • /
    • 2022
  •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은 창업가를 양성하고 국가 내 기업가적 혁신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일이다. 그동안의 연구들이 사회인지 속성을 예측인자로 활용해 창업의도 혹은 기업가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주로 제시해왔지만, 이러한 사회인지 속성들이 무엇에서 비롯되는지 근본적 요인에 대해서는 기업가정신 분야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과 스키마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의 창업경험(Entrepreneurial experience)이 사회인지 속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가정하며, 경험이 창업의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다. 이를 위하여 기업가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이론에서 창업의도를 형성하는 주요 변수로 꼽히는 기업가적 자기효능감(Entrepreneurial Self-efficacy), 기회인식(Opportunity recognition), 실패두려움(Fear of failure)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러한 요인이 어떻게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와 함께 창업 경험과 창업의도 사이에 이어지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성별에 따라 생물학적 차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사회적 차이, 그리고 인지적 차이가 만들어지는 점을 고려, 성별에 따라 개인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 속성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분석한다.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의 87개국의 25,047명 기업가 데이터에 기반한 계량 분석을 한 결과, 창업경험은 기업가적 자기효능감과 기회인식을 높이고, 실패두려움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은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도 유의해, 남성과 여성은 창업경험으로부터 창업의도가 형성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업가 정신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과거 경험의 역할은 중요하지만 충준히 다뤄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창업경험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통해 창업의도 형성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우리나라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핵심요소와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Assessment Factors and Direction of Progress for New Technologies in South Korea)

  • 황보원주;박영일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2호
    • /
    • pp.173-214
    • /
    • 2023
  • 신기술에 대한 투자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과학기술이 사회 전반적으로 대규모·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신기술이 사회에 수용되려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만큼 기술이 국민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잘 평가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기술영향평가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50년째 지속되고 있고, 다양한 학술연구와 수많은 신기술 대응 정책을 통해 논의 된 이후 시대적 변화와 흐름이 있었기에 글로벌 학계와 정책에서 신기술의 미래사회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분석 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진국의 기술영향평가 창안 방식과 우리나라에서 발전된 방식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고려되어야 하는 예측요소와 단계 등 연구 변화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인식도에 대해 기술 이해도, 전문성, 성별특성 세 개 요소를 도출하고, 기존 요소에 추가해 신기술 예측요소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 개선된 기술영향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학술 및 정책적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