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First Job Employment Outcom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공학계열 대학 졸업자의 첫 일자리 취업성과 결정요인 탐색

  • Lee, Jiyeon (Bangmok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
  • Lee, Yeongju (Institut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Myongji University)
  • 이지연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
  • 이영주 (명지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Received : 2022.08.16
  • Accepted : 2022.09.19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first job employment outcomes(employment status, salary, company size)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using 201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as variables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and job preparation efforts. The prioritie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factors determining employment outcomes were identified us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irst job employment status' was 'exam preparation(public and private company, test for teacher recruitment)' among individual's job preparation efforts.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first job salary' was 'gender'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irst company size' was the experience of 'corporate job aptitude study' among individual's job preparation effo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customized career development strategies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21). Retrieved July 1, 2022.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0188&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2. 길혜지.최윤미(2014). 대졸자의 고용형태 결정요인 분석연구. 직업교육연구, 33(6), 1-26.
  3. 김수경(2016). 대학입학 유형 및 대학생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취업진로연구, 9(3), 1-20. https://doi.org/10.35273/JEC.2019.9.3.001
  4. 김정숙(2009). 대졸자들의 취업준비 활동의 차이 및 직업이행 효과. 교육과학연구, 40(1), 141-165.
  5. 남재욱(2021).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 이후 이행과정의 불평등 연구. 한국사회정책, 28(1), 133-160. https://doi.org/10.17000/KSPR.28.1.202103.133
  6. 노경란.박용호.허선주(2011).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9(1), 63-92.
  7. 문승규.최기성.임세영(2014). 대학취업지원서비스가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및 취업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HRD연구, 9(2), 27-50.
  8. 문영만.홍장표(2019). 대졸 청년의 취업 결정요인 및 노동시장 성과 격차-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7(4), 70-93. https://doi.org/10.22921/JRS.2019.27.4.004
  9. 방하남 외(2007). 고용의 질-거시.기업.개인수준에서 지표개발 및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10. 백원영.이재성(2020). 직업지위점수를 활용한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 2020 KRIVET 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19-132.
  11. 부성필.김도한(2020). 취업률은 대학이 관리할 수 있는 지표인가?: 성과지표로서의 취업률 지표 타당성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2), 125-152. https://doi.org/10.23036/KAPAE.2020.30.2.005
  12. 신선미(2016). 대학이 제공하는 진로지도 및 취업지원 서비스의 교육적 효과. 2016 고용패널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5-71.
  13. 신수영(2022). 성별임금격차는 어떻게 완화되는가?: 최고경영자의 경영철학에 기반한 합리적 인사제도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5), 214-222. https://doi.org/10.5392/JKCA.2022.22.05.214
  14. 신하영.문보은(2017). 이공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의 질: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5), 59-73. https://doi.org/10.18108/JEER.2017.20.5.59
  15. 신혜숙.남수경.민병철(2013).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1), 211-235.
  16. 심재휘.김경근(2015). 대졸 청년층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 영향요인 분석: 대학 재학기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21(1), 113-138.
  17. 엄소영(2015). 한국 노인소득보장의 국가-시장-가족분담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191-199.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191
  18. 염동기.문상규.박성수(2017).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취업진로연구, 7(4), 45-68. https://doi.org/10.35273/JEC.2017.7.4.003
  19. 윤수경.한유경(2014).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 요인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3(4), 131-160.
  20. 윤정이(2020). 진로.취업프로그램이 이공계열 대학졸업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 857-878.
  21. 이계형.김경근(2008). 대졸자의 첫 일자리 취업형태 결정요인. 한국교육학연구, 14(3), 87-111.
  22. 이대응 외(2015).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분석-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4(4), 125-154.
  23. 이영민.이수영(2010) 대학 이공계열 전공 여학생의 취업준비 행동 분석 - 취업 후 고용형태 와 근무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 평생교육.HRD연구, 6(2), 77-98.
  24. 이영민.이수영.임정연(2013). 4년제 대학 예체능계열 졸업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52(1), 1-28.
  25. 이자형.연보라(2012). 전공계열에 따른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의 결정요인.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2(4), 199-226. https://doi.org/10.32465/KSOCIO.2012.22.4.008
  26. 이지연.이영주(2021).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 공학교육연구, 24(1), 15-23. https://doi.org/10.18108/JEER.2021.24.1.15
  27. 임다희.조일형.권기헌(2014). 대졸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임금 및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6(3), 529-554.
  28. 임정연.이영민(2008). 4년제 대학 이공계 전공 여학생의 직업준비과정이 이행결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5-47. https://doi.org/10.36907/KRIVET.2008.11.2.25
  29. 장기영(2008). 대학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사회경제적 배경, 교육특성 및 이행준비 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30. 정지선.이수정.신정철(2011).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4(3), 53-78.
  31. 조선에듀(2021). Retrieved July 1, 2022. from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2/24/2021122401098.html.
  32. 조장식(2017). Heckman의 표본선택모형을 이용한 대졸자의 임금 결정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8(5), 1099-1107.
  33. 조희숙.김안나(2014). 대졸자의 첫 직장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대학특성 요인. 교육종합연구, 12(4), 263-280.
  34. 주영효.전하람(2017).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 및 취업 효과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3(4), 135-159.
  35. 주휘정(2012). 신규 대졸자 임금에 대한 개인 및 대학 효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0(1), 603-626.
  36. 진명구(2020). 성별임금격차 완화를 위한 입법, 정책과제: 임금분포공시제 도입 논의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20(3), 27-49. https://doi.org/10.22914/JLP.2020.20.3.002
  37. 차성현.주휘정(2010).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9(3), 177-215.
  38. 채구묵(2007).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 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9(4), 35-61. https://doi.org/10.20970/KASW.2007.59.4.002
  39. 채창균.김태기(2009).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28(2), 89-107.
  40. 최일수.신은종(2016).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대학 취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중심으로. 경제교육연구, 23(1), 23-49.
  41. 황여정.백병부(2008). 대졸 청년층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1-23. https://doi.org/10.36907/KRIVET.2008.11.2.1
  42. Friedman, J., Hastie, T., & Tibshirani, R.(2000). Additive logistic regression: a statistical view of boosting (with discussion and a rejoinder by the authors). The annals of statistics, 28(2), 337-407. https://doi.org/10.1214/aos/1016218223
  43. Kass, G. V.(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Royal Statistical Society, 29(2), 119-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