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9초

고등학생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과 성 태도가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and Sexual Attitude on Gender Sensitivity in High School Students)

  • 최문지;박용경;하영선;김은휘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2호
    • /
    • pp.25-35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과 성 태도가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하는 고등학생 120명으로,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 후 참여하였다. 자료는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15일까지 수집되었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성인지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 태도(β=-.317, p<.001), 아버지의 교육수준(β=.305, p<.001), 성별(β=.262, p=.001), 성 지식 출처(β=-.252, p=.001),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β=-.143, p=.045)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41.6%로 나타났다(F=13.395, p<.001). 본 연구는 다양성이 강조되는 미래 사회에서 필수적인 역량으로 간주되는 성인지 감수성을 높이기 위해 학문적·실무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Factors Affecting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Secondary Data Analysis

  • Lee, Jung Min;Min, Hye Young;Kim, Yoo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04-212
    • /
    • 2021
  • Ethical sensitivity is a basic competency required for nursing students to work as professionals who will care patients in the clinical field after graduation.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knowledge on ethical sensitivity in undergraduate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that referred to a previous work measuring ethical sensitivity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28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ums. Among the participants, those who were third-year (t=2.345, 95% CI=[1.24, 14.64], p=0.021), female (t=2.635, 95% CI=[3.65, 25.69], p=0.009) and were satisfaction with major (t=-2.389, 95% CI=[-16.54, -1.50], p=0.019) consistently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on ethical sensitivity.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3.3%. Gender (Exp (B)=0.875, 95% CI=[0.804, 0.952], p=0.002) and year at universtiy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ethical sensitivity (Exp (B)=0.921, 95% CI=[0.873, 0.971], p=0.002). Based on the results, an appropriate ethics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provided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both genders' perspectives, seniors' further development, and students experiencing low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Future nursing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se individu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develop nurs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that will further affect their ethical behavior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Metaverse Platform Design for Strengthening Gender Sensitivity of MZ Generation

  • Kim, Sea Woo;Na, Eun G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79-84
    • /
    • 2022
  • Due to a series of online sex crimes cases and online class conversions caused by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alternatives to sex education in schools are urgently requi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taverse sex education platform was designed. Using this platform, learners are expected to cultivate correct adult awareness and digital citizenship.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learners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learning. Instead of exposing one's name and face in a place dealing with sensitive gender issues, one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through his or her decorated avatar and participate in education much more actively than face-to-face education and express one's opinion through chat. In addition, education by level can be receiv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hich can have the effect of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ex education platform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by utilizing metaverse.

아동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상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Research on the Variables Predicting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 민미희;성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depending on child variables, family variables, school variables, and predictive influences among these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1,364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ren's and Youth's Right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were school life experience, grade, the degree to which adolescents think they are respected in deciding family issues, gender, experiences of teacher's swear words, experiences of being neglected, and experiences of being bullied at school. Second, the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perception of human rights were gender, experiences of parents' swear words, school life experience, the degree to which adolescents think they are respected in deciding family issues, and father's educational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ed fundamental data about the important issues in researching children's right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m.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의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During Adolescents and Early Adulthoods)

  • 나혜수;이선구;백강민;임우영;강승걸;조성진;나경세;강재명;조서은;배승민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1호
    • /
    • pp.25-32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 시기에 해당하는 국내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의 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22년 7월부터 동년 12월까지 2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대학교(보건계열 전공 및 비보건계열 전공)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129명의 설문 답변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성별, 연령, 전공 및 대상자들이 보고하는 수강한 성교육의 실용성, 교제 경험, 폭력 및 성적 피해 경험, 자아존중감의 수준과 성지식 및 성인지 감수성 수준을 각 집단 별로 확인하였다. 이후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모든 연령과 집단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성인지 감수성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4). 청소년기 집단에 비해 초기 성인기 집단에서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 수준이 높았으며(p<0.001; p<0.001), 연령과 성지식, 성인지 감수성 수준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집단 중에서는 보건의료계열 전공자들이 비보건의료계열 전공자들에 비해 높은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 수준을 보고하였다(p<0.001; p=0.005). 결 론 본 연구에서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에서 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 성지식 및 성인지 감수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와 함께 최근 사회적으로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의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및 가해 문제가 증가하는 상황을 감안할 때, 향후 성지식 및 성인지 감수성의 연령별, 성별, 전공별 차이를 고려하여 이들의 개선을 위한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겠다.

양성평등 관점에서 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남녀 삽화 연구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of Male and Female o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Gender Equality Perspective)

  • 이은선;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53
    • /
    • 2019
  • 성 고정관념에서 오는 성별 불평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 즉 젠더적 민감성과 더불어 젠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개선 및 보안하고자 가정 교과에서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양성평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반면 2015 교육과정 개편이 새로이 있었으나 성 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성평등 관점에 기반을 두고 기술 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술·가정」 교과서 내 삽화가 학생들에게 균형적인 사회상을 제시한다는 교과서로서의 책임을 다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2개 출판사에서 발행한 검정교과서 「기술·가정 1」과 기술·가정 2」를 기준으로 총 24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삽화의 외형적 특징과 내용적 특징을 분석범주로 삼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판단해보자면 우리 교과서가 모든 면에서 성 평등적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부분적으로는 많은 개선이 있었지만 여전히 특정 성별에 편중되어 성 정형성이 잔재하고 있었으며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발적이며 능동적인 태도를 갖추고 비판의식을 함양한다는 성 평등교육의 목적을 이루기위해서는 여성과 남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협력하며 활약하는 균형적인 사회상을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과서 편집 시 성별의 처방적 고정관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 주의하고 편견 요소를 축소하여 양성평등 한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점검 및 검토를 진행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공대 여학생 진로장벽과 관련된 공대 교수의 성인지적 태도 탐색 (Examination of Gender-Related Attitudes of Engineering Professors as a Correlate for Career Barrier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 김지현;정윤경;오명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46-54
    • /
    • 2011
  • 국내 공대 여학생의 전공 진로 장벽과 관련된 사회 환경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공대 교수들의 성인지 인식 및 행동을 파악하고 여학생 비율이 높은 타 전공 교수와 비교하였다. 220명의 교수(공대 169명, 비공대 51명) 설문조사 결과 공대 비공대 교수들 모두 여학생들이 학업과 관련된 능력보다는 모험정신, 리더십, 능동성, 자신감 등과 같은 소프트 스킬이 부족하다고 답변하였다. 여학생의 전공 분야 진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공대 교수들이 비 공대 교수 보다 높은 수준의 기대를 나타냈으나 직장에서의 핵심 업무 담당, 리더십 발휘 가능성에 대해서는 더 낮은 수준의 기대치를 보였다. 공대 교수들의 수업 관련 성인지 행동 수준은 비 공대 교수보다 낮았으며 여학생들이 실제 인식하는 수준보다 자신의 성인지적 행동 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여학생의 전공 분야 취업 확대를 위한 교육 강화 필요성에 대해 비 공대 교수보다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참여 의지도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대 여학생 교육 강화를 위해서는 공대 교수들의 여학생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대 교수, 대학생, 기업가의 성인지력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Gender Sensitivity Among Faculty, Students, and Enterprisers in Engineering)

  • 백성혜;조수선;김정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43-5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공대 교수, 학생, 기업의 성인지에 대한 사고를 조사하였다. 한국교통대학교 공대 교수 59명, 남학생 226명, 여학생 109명, 그리고 충북에 소재한 기업의 인사담당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대상 설문지는 26문항, 학생용은 30문항, 기업용은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chi}^2$ 교차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성차이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수들은 여학생이 리더십이 부족하고 성공에 대한 자신감이 낮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여학생의 취업에 불이익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생각을 교육이나 취업 안내에 반영하지 않았다. 여학생들 역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낮았으며,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교수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공학전공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교수의 인식과 유사하였다. 한편 남학생은 동료 여학생의 성인지에 대해 무심하였다. 기업의 취업담당자들의 인식은 교수나 학생의 인식과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교수와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여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공학전공교육을 위하여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아 상호작용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 정미라;이방실;권정윤;박수경;강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15-728
    • /
    • 2012
  •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49 toddlers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and observed in the child lab during free pla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involvement' was frequently used in comparison with the 'rejection' was the hardly used in their interaction. Second,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and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mothers' job status or gender of toddlers. However, their parenting stress was lower in working mothers or mothers who have girls. Third,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yle, and the temperament of toddlers.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e variables influencing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discussed.

청소년 성교육을 위한 성성(性性)의 재개념화 커리큘럼 모색 : N번방 시대,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몸'과 '성'을 새롭게 이야기하다 (Searching for a Curriculum to Reconceptualize Sexuality for Youth Sex Education : Nth Room Era, New Talk of 'Body' and 'Sex' from a Feminist Theological Point of View)

  • 이주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301-337
    • /
    • 2021
  • 연구자는 현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던져주었던 N번방 사건을 계기로 한국 청소년성교육을 둘러싼 각종 논쟁들과 시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한국 청소년 성교육은 학교 성교육과 및 청소년성문화센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공적 성교육과 보수적·전통적 개신교 성교육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공적 성교육은 여성주의 성윤리 및 해외의 포괄적 성교육의 영향을 일부 받아 성인지 감수성 및 성적 자기 결정권을 기본으로 성희롱, 성매매, 성폭력, 가정폭력 예방의 4가지 예방을 주요 사업으로 실시 중이다. 단, 학교 성교육표준안은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내용, 성폭력에 대한 왜곡된 통념 강화 및 성적 다양성과 다양한 가족 형태의 배제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청소년성문화센터 교육의 일부 내용 역시 마찬가지의 비판을 받고 있다. 보수적·전통적 개신교는 양성에 의한 결혼 등의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와 혼전순결주의, 결혼 관계 안에서만 인정되는 성관계 윤리 등을 기본으로 하여 청소년들에게 피임법을 성에 대한 생물학적이고 의학적 지식을 가르치는 것-피임법 등-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면서 공적 성교육과 대치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연구자는 한국 청소년 성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구성하면서 먼저 공적 성교육, 보수적·전통적 개신교 성윤리와 성교육, 여성주의 성윤리와 성교육, 해외 청소년성교육의 특징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성교육의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금욕주의나 혼전순결주의, 성인지 감수성과 성적 자기결정권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의 대안을 여성신학에서 말하는 몸과 성 개념에서 찾았다. 연구자는 다양한 여성신학자의 연구를 중심으로 왜곡된 성인식과 성문화는 이원론적 성과 몸 이해가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인식 하에 몸과 성에 대한 재개념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이를 통전적 성,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는 상호연대적인 성, 전 지구적인 공동체로 확장되는 영성으로서의 성 개념의 세 가지로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1)통전적 성: 호흡하기, 내러티브, 자신의 몸과 마음의 형태를 만들어보기 2)타인과의 관계성 안에서 이해되어지는 상호연대적인 성: 다른 사람의 호흡 느껴보기, 의식화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선한 바람 보내기 3)전 지구적 관심으로 확장되는 영성으로서의 성: 자연에 주의를 기울이고 공동 경작하기, 지구의 신음을 듣고 새로운 삶의 형식 만들어가기, 지구 및 동료 생명체들과 함께 하는 기도문 작성하기로 제안하였다.